• 제목/요약/키워드: crane scheduling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32초

조선소의 메가블록 조립작업장을 위한 공간계획알고리즘 개발 (Spatial Scheduling for Mega-block Assembly Yard in Shipbuilding Company)

  • 고시근;장정희;최대원;우상복
    • 산업공학
    • /
    • 제24권1호
    • /
    • pp.78-86
    • /
    • 2011
  • To mitigate space restriction and to raise productivity, some shipbuilding companies use floating-docks on the sea instead of dry-docks on the land. In that case, a floating-crane that can lift very heavy objects (up to 3,600 tons) is used to handle the blocks which are the basic units in shipbuilding processes, and so, very large blocks (these are called the mega-blocks) can be used to build a ship. But, because these mega-blocks can be made only in the area near the floating-dock and beside the sea, the space is very important resource for the process. Therefore, our problem is to make an efficient spatial schedule for the mega-block assembly yard. First of all, we formulate this situation into a mathematical model and find optimal solution for a small problem using a commercial optimization software. But, the software could not give optimal solutions for practical sized problems in a reasonable time, and so we propose a GA-based heuristic algorithm. Through a numerical experiment, finally, we show that the spatial scheduling algorithm can provide a very good performance.

복수 크레인을 활용한 블록 내 컨테이너 이적 계획 (A Heuristic Approach to Scheduling Multiple Cranes for Intra-Block Remarshalling)

  • 오명섭;강재호;류광렬;김갑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3-421
    • /
    • 2005
  • 블록 내 이적이란 컨테이너를 선박에 싣는 적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유혹 시간에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대상 컨테이너들을 적하 순서에 맞춰 몇 개의 베이로 모으는 작업이다. 이적 작업을 가능한 일찍 완료하기 위해서는 블록 내의 설치된 여러 대의 트랜스퍼 크레인들을 모두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이적 계획 수립 시 크레인들 간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고려하지 못하면 상당한 작업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호 교차가 불가능한 크레인들을 이용하여 이적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간섭에 의한 지연이 보다 빈번히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교차가 불가능한 크레인들 간의 간섭을 고려하여 개별 컨테이너를 취급할 크레인의 선정과 작업 순서를 결정하는 휴리스틱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 실험 결과 본 제안 방안이 다양한 환경에서 간섭에 의한 지연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복수 크레인을 활용한 블록 내 컨테이너 이적 계획 (A Heuristic Approach to Scheduling Multiple Cranes for Intra-Block Remarshalling)

  • 오명섭;강재호;류광렬;김갑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47-455
    • /
    • 2005
  • 블록 내 이적이란 컨테이너를 선박에 싣는 적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유휴 시간에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대상 컨테이너들을 적하 순서에 맞춰 몇 개의 베이로 모으는 작업이다. 이적 작업을 가능한 일찍 완료하기 위해서는 블록 내의 설치된 여러 대의 트랜스퍼 크레인들을 모두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이적 계획 수립 시 크레인들 간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고려하지 못하면 상당한 작업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호 교차가 불가능한 크레인들을 이용하여 이적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간섭에 의한 지연이 보다 빈번히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교차가 불가능한 크레인들 간의 간섭을 고려하여 개별 컨테이너를 취급할 크레인을 선정하고 작업 순서를 결정하는 휴리스틱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 실험 결과 본 제안 방안이 다양한 환경에서 간섭에 의한 지연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컨테이너 터미날에서의 유전자 해법을 이용한 적하계획법 (Load Scheduling Using a Genetic Algorithm in Port Container Terminals)

  • 김갑환;김기영;고창성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45-660
    • /
    • 1997
  • An application of the genetic algorithm(GA) to the loading sequencing problem in port container terminals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efficiency of loading operations in port container terminals is highly dependent on the loading sequence of export containers. In order to sequence the loading operation, we hove to determine the route of each container handling equipment (transfer crane or straddle carried in the yard during the loading operation. The route of a container handling equipment is determined in a way of minimizing the total container handling time. An encoding method is developed which keeps intermediate solutions feasible and speeds up the evolution process. We determine the sequence of each individual container which the container handling equipment picks up at each yard-bay as well as the visiting sequence of yard-bays of the equipment during the loading operation. A numerical experiment i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algorithm developed.

  • PDF

선석 및 크레인 일정계획에서 반복적 개선 탐색을 위한 제약조건의 활용 (Exploiting Constraint for Iterative Improvement Search in Berth and Crane Scheduling)

  • 황준하;류광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2)
    • /
    • pp.1-3
    • /
    • 2001
  •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선석 및 크레인 일정계획은 일정 기간 동안 입항 예정인 선박들을 대상으로 접안 위치와 접안 시기 및 기간을 결정하며, 또한 각 선박별로 컨테이너를 싣고 내릴 크레인을 배정하되 각 크레인의 서비스 시작과 완료시간가지 지정하는 전 과정을 포함한다. 이 문제는 여러 선박들 사이의 시간적 공간적 제약관계를 준수하고 크레인들을 충돌 없이 각 선박에 할당하여야 하는 제약조건 만족 문제인 동시에, 각 선박의 선호 위치와 희망 입출항 시간을 최대한 준수해야 하는 최적화 문제이기도 하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제약만족탐색기법을 사용하여 초기계획을 수립한 후 최적의 해를 유도해 내기 위해 휴리스틱 교정기법을 제약만족 탐색기법의 틀 내에서 반복적으로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반복적 개선 탐색 도중에 도출되는 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제약조건을 추가함으로써 다음 제약만족 탐색 시 보다 쉽게 더 충은 해를 찾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 방법을 기존의 휴리스틱 교정기법과 결합하여 휴리스틱 교정기법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 PDF

제약만족 및 휴리스틱 교정기법을 이용한 최적 선석 및 크레인 일정계획 (Optimal Berth and Crane Scheduling Using Constraint Programming and Heuristic Repair)

  • 백영수;류광렬;박영만;김갑환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지능형 정보기술과 미래조직 Information Technology and Future Organization
    • /
    • pp.151-157
    • /
    • 1999
  • 선석계획 및 크레인 일정계획은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입항하는 선박들의 빈번한 변동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유연하면서도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여러 명의 전문가가 장기적인 계획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해 나가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사 및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수시로 변경되는 다양한 요구조건을 수용하는 최적의 선석 및 크레인 일정계획 수립을 위하여 제약만족기법과 휴리스틱 교정(Heuristic Repair)기법을 이용하였다. 선석계획 및 크레인 일정 계획문제는 기본적으로 제약조건 만족문제로 정형화할 수 있지만 선박의 접안위치를 결정하는 문제는 목적함수를 가지는 최적화문제이다. 따라서 이 문제는 제약조건 만족문제와 최적화문제가 혼합된 문제(CSOP, Constraint Satisfaction and Optimization Problem)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선박의 최적 전압위치를 찾고 최우선 순위 선박의 최적 접안위치로부터 주어진 모든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해를 찾는 탐색기법을 활용했고 휴리스틱 교정기법을 사용해서 제약만족기법에서 찾은 해를 교정했다.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선박부터 탐색을 하기 위해 Variable Ordering 기법을 사용했고 그 선박의 최적 접안위치부터 탐색을 해 나가는 Value Ordering 기법을 사용하였다. 실제 부산 신선대 컨테이너 터미널의 선석계획자료를 사용해서 실험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