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pler loss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39초

소형화된 5.3 GHz 대역 360° 아날로그 위상천이기 설계 (Design of a Miniaturized 5.3 GHz 360° Analog Phase Shifter)

  • 정해창;손범익;이동현;압둘 라흐만;염경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602-61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5.3 GHz에서 소형화된 branch line 커플러와 $360^{\circ}$ 이상의 위상천이를 보일 수 있는 가변 리액턴스 부하를 결합하여 소형화된 위상천이기의 설계를 보였다. 위상천이기의 소형화를 위하여, branch line 커플러의 새로운 구조를 제안하였다. 새로운 branch line 커플러는 전송선의 T 및 ${\pi}$형 등가회로 변환 방법을 이용하여 소형화하였다. 소형화된 branch line 커플러는 일반적인 구조에 비해 50 % 이상 소형의 크기를 가진다. 넓은 위상천이량을 갖기 위하여 전송선에 버렉터 다이오드 두 개를 입력과 출력에 연결한 부하 구조를 채택하였다. 특히, 조정 전압에 대한 위상천이량이 완만하도록 임피던스 변환기 역할을 하는 전송선을 설계된 부하 구조에 추가하여 구조를 보완하였다. 추가된 임피던스 변환기에 사용된 전송선 및 선정된 부하 구조의 전송선은 소형화에 장애가 되기 때문에 이를 집중 소자로 등가하여 소형화하였다. 제작된 위상천이기는 $15{\times}15mm^2$의 소형의 크기를 가지며, 조정 전압 0~10 V 범위의 경우, 중심 주파수 5.3 GHz에서 삽입 손실은 약 -4~-6 dB, 반사 손실은 -20 dB 이하, 약 $480^{\circ}$의 넓은 위상천이를 보였다.

표면 절연층이 나노결정립 합금 리본의 자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rface Insulation Layer on the Magnetic Properties of Nanocrystalline Alloy Ribbons)

  • 오영우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226-231
    • /
    • 2007
  • 나노결정질 비정질 리본 표면에 졸-겔법에 의해 제조된 $TiO_2$$SiO_2$ 졸을 딥 코팅법을 이용하여 절연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전기 비저항의 증가를 통한 고주파 손실을 제어하고자 하였다. 졸-겔법에 의한 슬러리 제조에서, 금속 알콕사이드의 혼합조건 및 절연층 형성용 슬러리의 제조조건을 확립하였고, 비정질 합금 리본 표면에 균일하고 우수한 점착력을 가지는 절연층을 형성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표면 절연층이 형성된 나노 결정질 합금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자심재료는 전기 비저항의 증가로 인해 코어 손실을 약 40% 이상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표면 절연층을 형성시킨 자심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비접촉식 커플러는 코어 손실의 감소로 인해 삽입손실의 감소 효과가 나타났으며, 삽입손실의 감소효과는 주파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70 nm MHEMT와 DAML 기술을 이용한 우수한 성능의 94 GHz 단일 평형 혼합기 (High-performance 94 GHz Single Balanced Mixer Based On 70 nm MHEMT And DAML Technology)

  • 김성찬;안단;임병옥;백태종;신동훈;이진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3권4호
    • /
    • pp.8-1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70 nm InGaAs/InAlAs MHEMT와 DAML 기반의 하이브리드 링 결합기를 이용하여 낮은 변환 손실과 높은 격리도 특성을 갖는 94 GHz 단일 평형 혼합기를 개발하였다. 혼합기에 사용된 MHEMT는 607 mA/mm의 드레인 전류 밀도, 1015 mS/mm의 전달컨덕턴스, 330 GHz의 전류이득차단주파수, 425 GHz의 최대공진주파수 특성을 나타내었다. 제작된 하이브리드 링 결합기는 $85GHz{\sim}105GHz$의 범위에서 $3.57{\pm}0.22dB$의 커플링 손실과 $3.80{\pm}0.08dB$의 삽입 손실 특성을 나타내었다. 혼합기의 측정 결과, $93.65GHz{\sim}94.25GHz$의 범위에서 $2.5dB{\sim}2.8dB$의 변환 손실 특성과 -30 dB 이하의 격리도 특성을 얻었으며, 94 GHz의 중심주파수에서 6 dBm의 LO 전력을 인가하였을 때 2.5 dB의 최소 변환 손실 특성을 얻었다. 변환 손실 및 격리도 특성을 고려할 때, 본 논문에서 개발된 혼합기의 특성은 지금까지 보고된 GaAs 기반 HEMT소자들을 사용하는 94 GHz 대역용 혼합기 중에 가장 우수한 결과물이다.

Switch를 이용한 1.5 GHz 대역 고출력 Cavity 기반 Tunable Filter (High Power Cavity Type Tunable Filter Using Switch for 1.5 GHz Band)

  • 안세훈;이민호;박종철;정계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7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기계식 스위치를 이용한 1.5 GHz 대역 고출력 Cavity 기반 튜너블 필터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불요파를 제거하기 위해 저역통과필터를 삽입하고, 출력을 추출하기 위해 Coupler를 내장하였으며, 고출력에 적합한 기계식 스위치를 사용하여 튜너블 필터의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저역통과필터는 4~12.75 GHz까지 40 dB 이상의 감쇄 특성을 얻었고, Coupler는 40 dB의 Coupling Value와 55 dB 이상의 Coupling Isolation을 얻었다. 제작된 기계식 스위치를 사용한 튜너블 필터 시스템은 1,495.9~1,510.9 MHz Bypass Mode에서 0.88 dB, 1,495.9~1,500.9 MHz Fil Mode에서 3.29 dB의 삽입손실 특성 및 중심주파수 1,498.4 MHz에서 132 W의 출력전력과 10 ms 이하의 스위칭 절환속도를 얻었다.

무전극 램프의 성능 향상을 위한 커플러의 열특성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a Coupl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Electrodeless Lamp)

  • 이계승;이재민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487-495
    • /
    • 2017
  • 무전극 램프의 열특성은 램프의 설계와 성능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이다. 커플러는 열에 의해 임피던스 특성이 변화하며 그 사용온도가 보통 약 $150^{\circ}C$ 이내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논외였던 $150^{\circ}C$ 이상의 온도에 커플러가 노출되었을 때의 현상에 대해 관찰하였다. 벌브의 안쪽 내관과 커플러와의 이격거리가 다른 두 종류의 커플러 A와 커플러 B에 대해 방열 조건과 열 차단 조건을 달리하여 전기적 특성, 열적 특성, 광학적 특성과의 연계성 및 열화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우선 시스템의 임피던스를 구하여 이를 통한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는 기준으로 삼았다. 두 종류의 커플러의 직경차는 1mm이며, 실험 결과에서 커플러의 직경이 1mm 작아서 발생하는 자계강도의 손실을 상쇄할 수 있는 조건을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커플러가 약 $200^{\circ}C$의 고온에 노출될 때, 이에 대응하는 효율적인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나노 결정립 재료를 이용한 비접촉식 커플러의 설계 및 특성 (The Design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ductive Coupler Using the Nanocrystalline Materials)

  • 김종령;김현식;허정섭;이해연;이준희;오영우;변우봉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300-304
    • /
    • 2006
  • 저손실 고투자율 특성을 가지는 Fe-Si-B-Nb-Ci계 나노결정립 재료로 ${\alpha}-Fe$ 나노결정 자심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열처리 온도 변화에서, $510^{\circ}C$의 열처리 조건에서 가장 높은 투자율과 가장 낮은 코어손실 특성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자심재료를 이용한 비접촉식 커플러 제조에서, 저주파 대역에서의 신호전송 특성은 자심재료의 자기적 특성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데 열처리 온도에 따른 투자율 변화의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고주파 대역의 신호전송 특성은 임피던스 매칭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300 A의 고전류가 흐르는 지중선로에서 자기적 포화 없이 안정적인 특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500{\mu}m$ 이상의 에어-갭이 필요하였다. 또한 나노 결정질 자심재료 제조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해 5dB 이하의 삽입손실을 나타내는 전력선 통신용 비접촉식 커플러를 제조할 수 있었다.

Second order grating CCGSE-DFB 레이저 해석 (Concentric-Circle-Grating Surface Emitting (CCGSE)-DFB Laser with second order grating)

  • 박해령;김효창;이연호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2)
    • /
    • pp.313-316
    • /
    • 2000
  • Concentric-Circle-Grating (CCG) cavity is analyzed by coupled mode theory. In this case concentric grating is acting as both feedback element and output coupler. In our calculations radiation loss terms are included in guided coupled mode equations. The surface-emitted field distribution is obtained in self-consistent manner.

  • PDF

CPW 구조를 이용한 94 GHz Branch-line 대역통과 여파기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the 94 GHz Branch-line Bandpass Filter using CPW structure)

  • 권혁자;방석호;이상진;윤진섭;이진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4권5호
    • /
    • pp.36-4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동작하는 단일 평면 구조의 회로에 쉽게 집적화 할 수 있는 94 GHz CPW branch-line 대역통과 여파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본 논문은 커플링 포트들을 open load stub로 연결하고, 격리 포트를 출력노드로 취하여 branch-line 커플러를 transversal filtering section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94 GHz branch-line 대역통과 여파기를 설계하기 위해서 CPW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branch-line 커플러와 open load stub들의 임피던스 및 길이를 최적화하였다. 제작된 대역통과 여파기의 측정결과, 주파수 94 GHz를 중심으로 11.7 %의 3 dB 상대 대역폭과 2.5 dB의 삽입 손실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94 GHz에서 -18.5 dB의 입출력 반사 손실 특성을 얻었다.

파장 무의존형 광섬유 결합기의 제작 및 특성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avelength Insensitive Optical Fiber Coupler)

  • 장진현;신동호;정진호;한욱;김영권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78-184
    • /
    • 1998
  • 광섬유형 결합기는 광통신용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핵심 광수동부품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작공정이 어려운 파장 무의존형 광 결합기(WIC)를 광섬유가 서로 다른 광섬유 파라미터를 갖는 경우와 서로 다른 클래딩 직경을 갖는 경우에 대해 제작하여 그 특성을 측정하고 이론적 시뮬레이션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1310{\pm}40nm$$1550{\pm}40nm$의 대역에서 1.0dB 이내의 균일성과 과잉손실이 0.1dB 이하인 우수한 특성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