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pler loss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38초

금속층이 포함된 측면 연마 광섬유 결합기의 편광 분리 특성 (Polarization splitting characteristics of the side-polished fiber coupler with a thin metal interlayer)

  • 김광택;황보승
    • 한국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28-234
    • /
    • 2002
  • 금속박막이 포함된 측면 연마 광섬유 결합기의 편광 선택적 결합 특성에 관한 이론적 연구 결과를 보고한다. 직교 모드이론을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 조건에서 소자의 결합 특성을 분석하였다. 금속 박막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TE 모드사이의 결합의 세기는 급격히 약해지는 반면에 TM 모드의 결합의 세기는 커짐을 보였다. 높은 편광 소멸비와 낮은 삽입 손실을 가지는 편광 분리기의 설계 조건을 제시하였다.

저온 동시소성 기술을 이용한 Dual band 방향성 결합기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dual band directional coupler utilizing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technology)

  • 유명재;유찬세;박성대;이우성;강남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2
    • /
    • pp.574-577
    • /
    • 2004
  • A coupler is a microwave passive component used for power coupling or dividing. Regarding the trend of current telecommunication systems it is highly desirable for monolithic integration of passive components as such LTCC(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technology offers potential advantage in size, cost and performance. Utilizing LTCC technology a 2012 size type dual band coupler for DCS and EGSM band was fabricated. Its characteristics such as coupling, insertion loss, isolation and directivity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simulation results

  • PDF

저온 동시소성 기술을 이용한 1608 크기의 듀얼 밴드 결합기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1608 size dual band coupler utilizing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technology)

  • 유명재;배석훈;유찬세;박성대;이우성;강남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7
    • /
    • pp.392-395
    • /
    • 2004
  • A coupler is a microwave passive component used for power coupling or dividing. Regarding the trend of current telecommunication systems it is highly desirable for monolithic integration of passive components as such LTCC(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technology offers potential advantage in size, cost and performance. Utilizing LTCC technology a 1608 size type dual band coupler for DCS and EGSM band was fabricated. Its characteristics such as coupling, insertion loss, isolation and directivity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simulation results.

  • PDF

저온 소성 유전체 재료를 이용한 DCS 대역 방향성 결합기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rectional coupler of DCS band using a Low Temperature Co-fire dielectric material)

  • 이중근;유찬세;김경철;이우성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6
    • /
    • pp.317-320
    • /
    • 2003
  • Nowadays, the study on the ceramic components and modules used in telecommunication system is being performed. Coupler is a microwave passive component used for power coupling or dividing and directional coupler is designed to be possible optional dividing percentage. In our research, We developed 14dB and 19dB directional couplers of DCS band. The good characteristics, the target insertion loss and high isolation, of couplers is obtained by LTCC processing using a ceramic material.

  • PDF

양측 혼합성 난청 환자에서 Vibrant Soundbridge를 이용하여 시행한 인공중이이식술 1예 (A Case of Middle Ear Implantation Using the Vibrant Soundbridge in a Patient with Bilateral Mixed Hearing Loss)

  • 신용국;구자원;강진욱;송미현
    •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
    • 제61권12호
    • /
    • pp.705-709
    • /
    • 2018
  • It is challenging to achieve sufficient hearing gain in patients with mixed hearing loss. In chronic middle ear diseases, conventional passive reconstructive surgeries often result in suboptimal hearing gain and additional hearing aids may have limitations due to insufficient sound amplification, occlusion effect, acoustic feedback, and skin irritation. Middle ear implantation (MEI) using Vibrant Soundbridge (VSB) is another option for auditory rehabilitation in mixed hearing loss as well as sensorineural hearing loss. The floating mass transducer of VSB can be placed on various middle ear structures either directly or using different types of couplers in order to deliver vibratory mechanical energy to the cochlea. We report a patient who presented with bilateral mixed hearing loss due to chronic otitis media and had limitations using conventional hearing aids in the worse hearing ear.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MEI using the Bell coupler together with middle ear surgery in a single step.

임의의 분배비를 갖는 새로운 이중 대역 가지 선로 결합기 (A New Dual Band Branch Line Hybrid Coupler with Arbitrary Power Division Ratio)

  • 김귀수;권칠현;;임종식;안달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44-44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대역에서 서로 다른 임의의 분배비를 갖는 이중 대역 가지 선로 결합기를 제안한다. 가지 선로 결합기의 선로들을 $\pi$-형 등가회로로 변환할 때 이 등가회로가 임의의 두 주파수에서 서로 다른 임피던스 특성을 갖고 두 주파수에 대하여 선로의 전기적 길이는 중심 주파수의 $\lambda/4$가 되도록 설계한다. 제안된 설계법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서 0.9 GHz와 2 GHz에서 서로 다른 분배비를 갖는 결합기를 설계하였다. 분배비가 두 주파수에서 각각 1:1과 1:3이 되는 결합기를 설계, 제작 및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중심 주파수에서 삽입 손실은 0.33 dB 이내의 오차 범위를 보였고, 반사 손실과 격리 특성은 -18.07 dB 이상으로 매우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메타 물질을 이용한 초소형, 광대역 90° 커플러 (Compact and Broadband 90° Coupler Using a Metamaterial)

  • 김홍준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7호
    • /
    • pp.844-847
    • /
    • 2012
  • 메타 물질의 한 형태인 LHTL(Left-Handed Transmission Line)과 기존의 전송 선로 형태인 RHTL(Right-Handed Transmission Line)을 이용하여 광대역 I-Q 벡터 신호 생성을 위한 $90^{\circ}$ 커플러를 설계, 제작하고 측정을 하였다. LHTL과 RHTL 모두 커패시터와 인덕터를 이용하여 합성 전송 선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그 크기를 최소화 하였다. 또한, 제안된 커플러 제작에 필요한 Wilkinson 전력 분배기를 합성 RHTL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구현함으로써 전체 회로의 크기를 $11mm{\times}12mm$로 만들 수 있었다. 주파수 범위 0.8~1.25 GHz에 대해 출력의 위상 차이가 $90^{\circ}{\pm}5^{\circ}$를 유지함으로써 광대역 $90^{\circ}$ 커플러를 작은 크기로 만들 수 있었다. 동 주파수 범위에 대해 삽입 손실을 1.6 dB 이하로, 반사 손실을 10.1 dB 이상으로 유지 가능했다. 필자가 아는 한 이는 그 주파수 대에서 가장 작은 광대역 $90^{\circ}$ 커플러이며, MMIC(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로 만들 경우 그 크기를 훨씬 더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무선통신 송신시스템용 전력검출부 설계 (Design of Power Detection Block for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tter Systems)

  • 황문수;구재진;안달;임종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000-100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CDMA 단말기용 상향 대역에서 송신출력을 모니터링 하는 전력검출부 회로를 제시한다. 제안된 전력검출부는 출력 전력 추출을 위한 커플러와 추출된 전력을 모니터링 해주는 검출기 회로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커플러는 손실이 적고, 위아래로 둘러싼 접지금속면으로 인해 외부의 전계와 차단되어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한 스트립라인 구조를 갖는다. 설계 주파수는 CDMA 상향 송신 대역인 824-849MHz이고, 스트립라인 커플러의 결합계수는 -20dB이다. 전력검출기 설계를 위해 회로가 간단하고 전력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고속 동작을 할 수 있는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가 사용되었다. 일반적인 다이오드의 비선형성에 의한 검파 출력의 선형성 개선과 낮은 입력레벨의 출력 전압 감도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낮은 검출기 입력 레벨에서의 임피던스 매칭을 하였다. 다이오드 패키지의 기생 성분을 고려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로써 예측한 성능은 측정 결과와 잘 일치한다.

  • PDF

광대역성 2단 Power divider와 매칭 Hybrid coupler를 이용한 Six-port 위상 상관기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Six-port Phase Correlator using Wideband Two Section power divider and Matching Hybrid Coupler)

  • 유재두;김영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129-132
    • /
    • 2008
  • Six-port 위상 상관기는 한 개의 divider와 세 개의 coupler로 구성되어 진다. 일반적인 wilkinson power divider와 $90^{\circ}$ hybrid coupler를 결합하여 제작시 10% 미만의 대역특성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대역폭이 33%인 2 section power divider와 15%인 external matching $90^{\circ}$ hybrid coupler 세 개를 이용하여 six-port 위상 상관기를 시뮬레이션 후 제작하였다. ADS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 중심 주파수 2.5GHz에서 RF port, LO port 모두 15%의 대역폭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제작한 six-port 위상 상관기는 손실이 증가 하였으나 비슷한 대역폭(600MHz)을 얻을 수 있었다. 또 이 구간에서의 위상 오차는 약 $5^{\circ}$로 양호한 특성을 얻었다.

  • PDF

다중결합 Power divider 와 Coupler를 이용한 Six-port 위상 상관기 제작 (Fabrication of Six-port Phase Correlator using Multi-section Power Divider and Coupler)

  • 유재두;김영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3-28
    • /
    • 2009
  • 기존의 six-port 위상 상관기는 한 개의 Wilkinson power divider와 세 개의 $90^{\circ}$ Hybrid coupler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Wilkinson power divider의 대역폭은 최대 18%이고 $90^{\circ}$ hybrid coupler의 대역폭은 최대 10%이기 때문에 기존 six-port 제작시 10% 미만의 대역 특성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대역폭이 33 %인 2 단 Wilkinson power divider와 15 % 대역폭 향상을 갖는 정합된 $90^{\circ}$ hybrid coupler를 이용하여 six-port 위상 상관기를 중심 주파수 2.5 GHz에서 설계 및 제작하였다. ADS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six-port 위상 상관기의 RF port와 LO port에서의 대역폭이 약 14% 증가하였으며, 실제 제작한 six-port 위상 상관기의 대역폭은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슷하게 약 12% 이었다. 또한 대역폭내의 최대 위상 오차와 삽입 손실은 각각 $6^{\circ}$와 2.5 dB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