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 oils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6초

Phytochemical Screening, Isolation, Characterization of Bioactive and Biological Activity of Bungkang, (Syzygium polyanthum) Root-bark Essential Oil

  • Umaru, Isaac John;Umaru, Kerenhappuch I.;Umaru, Hauwa A.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6권3호
    • /
    • pp.5-21
    • /
    • 2020
  • Bungkang (Syzygium polyanthum) is a medium to tall plant which produces medicinal root-bark, the plant is normally found along inland river bank and produces small white flowers and fruits. Essential oils are among the most interesting components of the plant extracts consisting mostly of monoterpenoid or sesquiterpenoids. They are used as therapeutic agents in ethno, conventional, and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s.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the essential oil of Syzygium polyanthum as well as the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antifungal activity was ascertaine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100 chemical constituents were obtained and two pure compound was isolated as Eugenol (1) and Farnesol (2). Significant growth inhibi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ATCCⓒ25923) Klebsiellia pneumonia (ATCCⓒ19155), Salmonella typhi (ATCCⓒ14028) and Escherichia coli (ATCC©25922) and the fungal strains Aspergillus flavin, Aspergillus niger, Candida, tropicalis, and Fusarium oxysporium was observed from the essential oil at concentration of 500 ㎍/mL. Antioxidant potential was observed to be strong of 18.42 ㎍/mL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of 15.23 ㎍/mL.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oil obtained from root-bark of Syzygium polyanthum can be considered as an agent for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in pharmaceutical food and cosmetic industries trails.

다양한 분체를 이용한 W/O와 O/W 형 에멀젼의 안정화 (Stability of W/O and O/W Type Emulsions by Various Solid Particles)

  • 이상길;김영호;표형배;이동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53-360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solid particles as a stabilizing agent instead of surfactant for preparing emulsions in the cosmetics. The type of emulsions stabilized by solid particles was dependent on wettability of the particles for water and oil. The optimal conditions of emulsions stabilized by solid particles were determined with ratio of water and oil phase, polarity of oils and amount of stabilizers. In the foundation appling the optimal condition of emulsions stabilized by solid particles without surfactant, the stable emulsion type foundation was successfully prepared. As a result, this work indicates that emulsions stabilized by solid particles can be applied to make-up cosmetics.

초가공식품 섭취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Ultra-Processed Food Consumption on Health)

  • 류하은;남민영;권유진
    • 비만대사연구학술지
    • /
    • 제3권1호
    • /
    • pp.14-26
    • /
    • 2024
  • Ultra-processed foods, falling under group 4 of the Nova classification system, are manufactured from processed food ingredients such as oils, fats, sugars, starch, and protein isolates, containing minimal to no whole food. They commonly incorporate flavorings, colorings, emulsifiers, and various cosmetic additives to enhance their palatability. Ultra-processed foods have become increasingly prevalent in contemporary society owing to their convenience, affordability, extended shelf life, and enhanced taste and aroma through additives. This surge in the consumption of ultra-processed foods has sparked discussions regarding its adverse health effects. Numerous studies have highlighted that an increased intake of ultra-processed foods elevates the risk of metabolic disorders,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s, obesity, and diabetes, along with an increased risk of various cancers. Moreover, its association with an increased mortality risk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that opting for these foods based solely on taste and convenience is risky. Thus, by recognizing dietary habits as modifiable factors that can prevent health issues, maintaining a balanced diet with diverse nutrient intakes is crucial for overall health. Therefore, raising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ultra-processed food consumption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promoting healthy lifestyles.

GC/MS and HPLC/PDA characterization of essential oils and phenolic compounds from the aerial parts of common rue (Ruta graveolens)

  • Chang-Dae Lee;Hak-Dong Lee;Yunji Lee;Hwan Myung Lee;Sanghyun Lee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144-152
    • /
    • 2023
  • Two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were used to evaluate the medical value of common rue, Ruta graveolens L. (RGL). The results of our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ssays indicat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GL essential oil extract obtained through steam distillation was very low, whereas ethanol (EtOH) extracts of RGL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RGL essential oil was extracted by steam distillation and characterized by GC/MS analysis. Furthermore, EtOH extracts of RGL were obtained under reflux and analyzed by HPLC/PDA. The GC/MS results indicated that the ketone compounds 2-undecanol acetate, nonyl cyclopropanecarboxylate, and 2-nonanone accounted for more than 70% of the composition of RGL essential oil. The HPLC/PDA analyses indicated that the RGL extracts were rich in phenolic compounds such as protocatechuic acid, rutin, psoralen, xanthotoxin, and bergapten, among which rutin was the most abundant. Collectively,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RGL contains high levels of phenolic compounds and could thus be commercialized as a valuable plant-derived antioxidant.

새로운 화장료 함침재의 개발과 이를 활용한 메이크업 유중수형 에멀전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Novel Cosmetics Impregnation Material and Study on Makeup W/O Emulsions using It)

  • 강성수;김현정;오세웅;박상욱;김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7-33
    • /
    • 2017
  • 지금까지 저점도 메이크업 유중수형 에멀전을 함침재에 침적시켜 휴대 간편성과 사용 편리성을 높인 화장품이 개발되어 왔다. 종래에는 주로 경도가 높고 다공의 망상구조를 갖는 폴리우레탄 스펀지가 함침재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스펀지는 구조적인 특성상 화장료 함침이 잘 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초기 토출량이 높고, 사용 횟수에 따라 토출량의 감소가 큰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발포형태의 스펀지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특징을 갖는 메이크업 유중수형 에멀전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목적에 맞는 다양한 소재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natural rubber (NR)와 styrene butadiene rubber (SBR)의 조합을 통해 성형성이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의 적절한 흡수 및 배출 능력을 가지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함침재는 고무와 같은 탄성성질의 부드러움과 높은 신율 및 균일한 토출력을 가지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오일의 극성도(polarity)에 따른 신규 스펀지의 특성을 이해하고, 메이크업 유중수형 에멀전의 점성을 조절하여 메이크업 제품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새로운 특성을 갖는 화장료 함침재로써의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LC-MS/MS 와 GC-MS/MS 를 이용한 에센셜 오일 중 320 종 잔류농약 분석법 개발 (320 Pesticides Analysis of Essential Oils by LC-MS/MS and GC-MS/MS)

  • 오가향;박성막;이소민;정소영;곽병문;이미기;이미애;최성민;빈범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17-331
    • /
    • 2021
  •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은 1 개의 단일 식물형 및 식물종이 만들어낸 향이 나는 식물 재료를 물리적인 방법으로 얻어낸 휘발성 물질로 방부, 살균, 항균 효과가 뛰어나 화장품, 향료, 아로마 테라피 치료 등의 목적으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에센셜오일은 추출 및 농축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재배 과정 중 살포된 농약 또한 추출 및 농축이 됨으로써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센셜 오일 중 320 종의 잔류농약을 분석하기 위하여 LC-MS/MS와 GC-MS/MS를 이용하였으며 기존의 정제과정인 hexane 대신 freezing 과정을 이용하여 전처리방법을 개선하였다. 에센셜 오일을 분석한 결과 기준치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chlorpyrifos, piperonyl butoxide, silafluofen 성분이 basil oil 및 clove leaf oil에서 검출되었다. 따라서 에센셜 오일에 대한 잔류농약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 약초 추출 향이 뇌파 활성과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tural Herbal Extracts on Electrical Brain Activity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 이은경;박진오;이해광;신진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63-170
    • /
    • 2024
  • 문헌에 따르면, 천연 추출물 또는 천연 에센셜 오일을 포함한 화장품 향의 흡입으로 뇌파 변화가 유도된다는 사례가 보고되어 있다. Angelica gigas (AG)와 Cnidium officinale (CO)는 건강을 개선하는 전통 약재로 동아시아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의 향을 흡입하여 뇌파(EEG)기록을 통해 뇌 활동 변화를 평가한 이전 보고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Compositae), AG, and CO와 같은 천연 약초 추출물의 향을 흡입하고 후각 자극으로 감정적인 상태 변화가 야기되는지에 대한 평가를 하였으며, 20 ~ 30 세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천연 약초 추출물의 향을 흡입하기 전과 후에 뇌 활동을 EEG기록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향을 흡입하는 동안 자율신경계 변화는 심전도(ECG) 기록을 통해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관찰하였다. 시험 결과, 양성 대조군인 라벤더를 포함하여 Compositae, AG, CO 추출물의 향을 맡으면 뇌의 전반 영역에서 뇌파의 relative alpha power 와 alpha/beta ratio가 크게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ECG 기록은 Compositae 향의 흡입이 low-frequency/high-frequency 비율을 유의미한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전통 약초 추출물 향의 흡입은 뇌파와 자율신경계 변화가 유도하여 감성적 편안함과 심리적 안정감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에너지유화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나노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 (The Effects of Ethanol on Nano-emulsion Prepared by High-energy Emulsification Method)

  • 원보령;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9-19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poly(oxyethylene) hydrogenated castor oils (HCOs)/오일/에탄올/물로 이루어진 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에멀젼은 고에너지법인 균질기(homogenizer)를 병합하여 제조하였다. 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입자 크기와 입자 분포 등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다른 성분의 조성은 같도록 하였다. HCO-20의 경우 에멀젼의 크기가 마이크로미터 크기에서 에탄올이 증가할수록 입자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HCO-30의 경우 계면활성제 농도 4.00 %에서 입자 크기가 나노미터 크기로 나타났으며, 에탄올의 농도가 4.25 % 일 때 조성 1에서 입자 크기가 $128.15{\pm}1.06nm$이고 조성 2에서는 $136.10{\pm}0.99nm$로 가장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생성되었다. 마찬가지로 HCO-40은 계면활성제 농도 4.00 %에서 입자가 나노미터 크기로 나타났으며, 에탄올이 4.50%일 때 조성 1에서 입자 크기가 $115.85{\pm}0.78nm$이고 조성 2는 $121.15{\pm}0.35nm$로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생성되었다. HCO-60의 경우에서는 계면활성제 농도 4.00 %, 에탄올 농도 2.25 %에서 에멀젼의 크기가 $262.35{\pm}0.64nm$인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생성되었다. 마이크로 크기의 에멀젼에서는 에탄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입자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나노에멀젼에서는 에탄올의 특정 농도에서 최저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나노에멀젼의 불안정화 과정은 Ostwald ripening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른 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안정한 에멀젼을 만들기 위한 에탄올의 함량을 계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henoxyethanol을 이용한 저자극 방부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Low Irritable Preservative System with Phenoxyethanol in Cosmetics)

  • 안기웅;이춘몽;김형배;정지헌;조병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3-49
    • /
    • 2005
  • 최근, 민감성 피부가 증가함에 따라 화장품의 안전성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으며, 특히 방부제는 화장품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주요 자극원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방부제의 세포 독성 피부 투과, 유/수 분배, 항균력 비교 및 이를 통한 피부 자극과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기의 여러 factor를 고려하여 화장품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방부제의 하나인 phenoxyethanol을 이용한 저자극 방부시스템 개발에 관한 것이다. MTT assay를 통하여 human norm기 fibroblast cell에 대한 독성을 평가해 본 결과, 세포 독성은 propylparaben>butylparaben>ethylparaben>methylparaben>triciosan>phenoxyethanol 순으로 확인되어 phenoxyethanol이 다른 방부제에 비해 낮은 세포 독성을 나타낸 반면, 피부 일차자극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한 인체 첩포시험에서는 triclosan, methylparaben에 비해 높은 피부 자극을 나타내었다. 5 ${\~}$ 8 주령의 웅성 무모생쥐의 피부를 적출하여 in vitro Franz diffusion cell system을 이용한 방부제의 피부 투과도를 측정하여 본 결과, 피부 투과도는 phenoxyethanol > methylparaben > ethylparaben > propylparaben > butylparaben > triclosan 순으로 확인되어 세포 독성이 낮은 phenoxyethanol의 높은 피부 자극이 높은 피부 투과도와 연관성이 큰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독성이 낮은 phenoxyethanol의 피부 투과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 제형내 polarity가 낮은 oil을 사용할 경우 phenoxyethanol의 피부 투과가 현격히 감소하며, 피부 자극도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Oil polarity에 따른 Phenoxyethanol의 유/수 분배 측정 결과, Polarity가 낮은 oil에서는 $70\%$ 이상의 Phenoxyethanol이 수상에 존재한 반면, polarity가 높은 oil에서는 약 $70 {\~} 90\%$의 phenoxyethanol이 유상에 존재하였다. 또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도 phenoxyethanol이 수상에 많이 존재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제형 내 oil tomposition을 변화시킴으로써 phenoxyethanol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투과를 감소시켜 보다 피부 자극이 적은 저자극 방부시스템 개발이 가능하리라 보여 진다.

편백(Chamaecyparis obtusa) 정유의 항균, 항염, 항산화 효과 (Biologic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a)

  • 안정엽;이성숙;강하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03-507
    • /
    • 2004
  • 천연물은 지역 및 그 이용 특성에 따라 약용 및 식용으로 다양한 쓰임새가 있으며 그 연구 대상으로는 초본, 목본 등의 식물류와 담자균류, 미생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최근 연구가 활성화된 해양생물과 광물에까지 다양하게 소재를 탐색 할 수 있다 그 결과물의 활용은 의약품, 식품 및 화장품의 소재로써 넓게 쓰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천연물의 활용이 날로 증가되는 현상과 더불어 이미 알려진 수목의 물질 소재에 대해 다양한 생리활성 검색을 실시하여 그 적용을 검토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선택된 수목 수종은 우리나라 자생 침엽수 중 가장 계절적 수량적 확보가 용이하다고 보고된 편백 정유를 이용하여 항세균, 항산화 그리고 항염 작용에 대한 활성 정도를 검토하였다. 항세균 활성 검정에는 그람음성균 2종과 그람양성균 2종에 대하여 실험하였으며 disc paper법, 탁도법, $IC_{50}$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항세균 효과는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 대해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랫드를 이용한 in vitro 항염 실험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실험 대조균의 $75\%$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검토되었으며 hyaluronidase 저해 정도를 이용한 in vitro 실험에서는 $55\%$의 저해 정도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정도는 methanol based DPPH법에 의해 $0.78\%\;(IC_{50})$를 나타내었으며 butylated hydroxy toulene (BHT)를 표준 물질로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