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ridor

검색결과 740건 처리시간 0.035초

복도에서 소방관에 의한 카운터플로우 발생 시 밀도와 속도 측정 (The Counterflow Speed and Density of a Fire fighter in Corridor)

  • 김운형;김흥열;정우인;김종훈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76-83
    • /
    • 2019
  • 연구목적:본 연구는 화재 시 소방관에 의한 카운터플로우 현상에 따른 밀도와 속도 실험 데이터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복도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을 위하여 복도폭 1.5m 및 2m 각각에 대하여 일반적인 유동상황과 카운터플로우 발생상황을 구현하였다. 이동 시 데이터는 카메라를 통해 측정되었으며, 영상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복도에서의 카운터플로우의 발생은 평균밀도를 약 $0.55P/m^2$ 정도 상승시키고, 정 방향 이동인들의 평균보행속도는 0.61m/s정도가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 데이터는 카운터플로우가 발생되는 시점에서 측정되었다. 결론: 카운터플로우 현상의 발생은 순간적으로 밀도를 상승시키고 평균보행속도의 감소를 초래함이 확인되었다. 전체피난에서의 카운터풀로우 영향에 대한 추가실험이 필요하다.

도심항공교통(UAM) 운용 실증 노선의 기상 특성 및 시사점: 한강회랑의 시정 및 바람을 중심으로 (Weather Barriers of Urban Air Mobility (UAM) Operations: A Case Study of the Visibility and Wind Shear around Han-River Corridor)

  • 원완식;김연명
    • 대기
    • /
    • 제33권4호
    • /
    • pp.413-422
    • /
    • 2023
  • Urban Air Mobility (UAM) is promising, sustainable and efficient air transportation in a metropolitan area.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announced operation demonstration plans as a step toward commercialization of UAM. However, there is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potential impact of weather on UAM operation. We collected weather observations from Gimpo International Airport and 5 automatic weather stations (AWS) along UAM corridor of the Han-River to assess weather barriers such as low visibility, wind gust and wind shear. The results show the frequency of low visibility near the corridor fluctuated significantly from year to year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in Seoul. The frequency of high wind speed-shift calculated using 1-minute wind observations was increased not only during the spring season (March, April, and May) but also the beginning of rainy season (Jun). In addition, a chance of high wind shear from 1-minute wind observations varied by the stations, suggesting that the condition is largely affected by topography including a river and high-rise buildings. These basic weather properties suggest that there are substantial weather barriers to UAM operations along the Han-River Corridor, while they cannot properly surveil micro-scale weather conditions in detail such as wind gust and wind shear over the corridor.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potential barriers related to adverse weather need to be evaluated, building high-density weather observations infrastructure prior to UAM demonstration and commercialization.

충돌 위험 모델을 활용한 UAM 평행 항로 충돌 위험 분석 (UAM Parallel Corridor Collision Risk Analysis based on Collision Risk Model)

  • 김연실;배중원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561-56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유인기 회랑에 적용되는 충돌 위험 모델을 활용하여 UAM (Urban Air Mobility) 회랑의 충돌 위험을 분석하였다. K-UAM 로드맵과 운용개념서에 따르면 UAM은 기존 유인기 운항과 유사하게 지정된 항로를 비행하는 형태를 가지며 출발지와 도착지를 왕복하는 두 가지의 노선으로 운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유인기 노선 중 김포공항-제주공항 간 유인기 운행이 이와 유사하며 두 개의 노선 간 횡 방향 분리간격을 가진 평행항로 형태를 띤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UAM 회랑에 대해 유인기 평행 항로 충돌 위험 분석에 활용되는 충돌 위험 모델을 활용하여 횡 방향 분리간격에 따른 UAM 회랑의 충돌 위험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K-UAM 실증 노선을 고려하여 한강 폭 내에 몇 개의 평행 항로가 설치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비행시험을 통한 복합형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의 회랑 산출을 위한 통합시스템오차 분석 (Total System Error Analysis for Corridor derivation of Hybrid VTOL through Flight Test)

  • 김정민;엄송근;오정환;이동진;김도윤;한상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448-45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UTM(UAS Traffic Management) 체계 구축 시, 무인항공기 간의 비행 간격을 분리하기 위해 회랑(Corridor)을 설정하여야 하며, 통합시스템오차(TSE; Total System Error)를 고려하여 회랑 크기를 산출하였다. 복합형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직선 구간과 선회 구간의 비행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비행 데이터는 SQSM(Scalar Quantity Summation Method) 방법을 통해 TSE를 도출하였으며, 항법시스템오차 (NSE; Navigation System Error) 와 비행기술오차 (FTE; Flight Technical Error)를 세부적으로 산출하여 직선 및 선회 구간에 대한 영향성을 분석하였다. 회랑 크기는 TSE 분석 결과와 PBN(Performance-based Navigation) manual을 참고하여 산출하였다.

요양병원 외래 및 중앙진료부의 의료영역 간 연결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Network System between of the Outpatient and Central Treatment Department of Long Term Care Hospitals)

  • 배선미;김석태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7-17
    • /
    • 2016
  • Purpose: As our population ages and becomes an elderly society the number of elderly care hospitals is rapidly increasing. Because physical functions and spatial perception in the elderly decrease with age, these hospitals require more systematic and intelligent space designs. The design of these spaces are even more complex because they must accommodate medical programs to treat various different diseases and ailments and also because there are many first time patients and irregular short term patients that seek out outpatient treatment services. Also by analyzing the spatial configuration systems and systematic relationships between each of the functional spaces of the outpatient treatment service departments for hospitals specialized in care for the elderly by focusing on the hallway and corridor systems of these hospitals, the according characteristics and trends were examined. Methods: Based on preceding research, the types of hallway and corridor systems of these hospital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including gallery corridors, middle corridors, hall-type, mixed type and cyclic type corridors, and into six types according to function including by medical diagnosis, patient registration, examination, administration and convenience and shared common space to derive any interconnect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corridor systems. Also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types and combined utilization of the corridor types and the integration and the intelligibility of the space syntax, any trends within the corridor system were derived. The elderly care hospitals examined in this research study were twelve hospitals that opened after the year 2000 in Korea with more that 150 sick beds with areas larger than $1000m^2$ and with all outpatient medical service related rooms located entirely on a single floor of the hospital.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confirmed based on this research study. 1) The spaces where medical diagnosis and examination occurred were adjacent, and the movement lines for first time patients and re-visiting patient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by separating the treatment space. 2) This research study confirmed that the larger the size of the hospital was, there were more detailed categorizations of treatment services and that there was a tendency for treatment areas to be separated and independent from examination areas. 3) There was a tendency for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to decrease the more complex and diverse the combination of hall types designed into the corridor systems of these hospitals was. cyclic type corridors dramatically decreased the intelligibility of the corridor systems of these hospitals. 4) The priority rank of these spaces were confirmed to be highest in the order of registration, diagnosis, examination, treatment, administration and shared common spaces. However it was confirmed for the local integration that the diagnosis scope had the highest priority rank. Implications: There were exceptional cases confirmed where the number of unit spaces did not have an absolute effect on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is can be overcome through efficient architectural planning.

도시 열환경 개선을 위한 바람길 특성 분석 및 관리 전략 - 부산광역시를 사례로 - (Ventilation Corridor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Management Strategy to Improve Urban Thermal Environment - A Case Study of the Busan, South Korea -)

  • 문호경;김동필;권영달;박현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59-668
    • /
    • 2021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열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바람길 관리 방안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Landsat-7 위성 열영상 자료와 공간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부산광역시의 Hot spot과 Cool spot 지역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WRF 기상모의를 통해 주요 바람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Hot spot 지역 중 열환경 개선이 요구되는 지역은 부산진구, 동래구, 연제구와 사상구 공업지역, 대규모 시설지역에는 부산항 부두로 나타났으며 주요 바람길에는 금정산~백양산~구덕산 계곡부로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바람길 관리 전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공업시설과 부산항 일대는 대기 온도 상승 요인으로서 주변 지역의 열환경을 악화시키므로 시설의 온도저감 및 바람길을 고려한 도시·건축계획이 요구된다. 바람길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만덕동, 사직동 일대 산림에 대한 추가적인 훼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산림과 인접한 지역의 대규모 고층아파트는 산림에서 생성된 차고 신선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므로 금정산과 접해있는 제3종 일반주거지역의 신규·재개발에 따른 고층아파트 단지 조성은 지양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는 부산광역시의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계획 및 환경계획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밀폐된 복도 공간내의 연기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moke Movement in an Enclosed Corridor.)

  • 김성찬;유홍선;정진용;김충익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8-25
    • /
    • 1999
  • 건물 공간에 대한 연기 거동을 해석하기 위한 많은 실험이나 수치해석이 이루어져 왔고 그 중 공간과 공간을 연결해주는 복도 공간에 대한 연기거동을 해석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비 정렬 격자계, PISO 알고리즘, 부력 Plume 모델을 이용한 Field 모델을 이용하여 복도 공간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얻은 온도장과 유동장 및 변수를 연기 퍼짐 시간과 연충 온도, 천장제트속도로 계산하여 한국기계연구원에서 실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Hinkley가 제안한 평균 연층 속도와 계산된 연층 속도를 비교하였다. 복도 공간 내에서 Soffit 주위의 유동특성을 파악하고 천장세트의 속도가 복도 향상, 화원으로부터의 거리, 발열량등에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 PDF

지역기후기능을 고려한 주거단지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 바람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ethod of Planning for a Residential Unit under Consideration of Local Climate - Focused on Wind Corridor -)

  • 김태욱;정응호;류지원;박지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05-112
    • /
    • 2007
  • This research has been implemented based on the area of #369 Dowon-dong, Dalseo-gu, Dae-gu which is considered as a place with satisfactory characteristics for the flow of fresh air into the city. Simulations of the target area both prior to the development plan and after apartment complex blocking were analyzed in regard to blocking planning and pilotis based on the main direction of wind, $90^{\circ}$ (east wind) and $180^{\circ}$ (south wind). In addition, congested wind corridor flow in the target place was identified through a pollution spread simulation according to the wind corridor. Therefore, the flow of wind in the one area is affected by the blocking of the complex and the main direction of the wind. Also blocking, in regard of pilotis, provides a better flow of wind. This study was implemented based on wind formation by apartment complex planning, so further study on the other factors affecting the flow of a wind corridor along with block planning and pilotis need to be carried out. Sustainable environmental factors through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have to be analyzed. Moreover, building and complementing fundamental resources and systematic devices should be suppor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