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n seed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2초

자동제어식 파종조절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Seed Metering Device)

  • 이용국;이대원;오영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9권2호
    • /
    • pp.91-98
    • /
    • 1994
  • Planting, transplanting, and harvesting are important processes for the successful production of farm products in Korea because those require the high labor intensity during limitted period. Recently, many researches of using automatic control with a microcomputer are carried in the agricultural field, but are not much spread to the seeder development. Automatic sowing technology would be much attractive if there was a way to assure that each seed was count accurately in the seed metering device. Thus, an automatic seed metering device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to be controlled by microcomputer. This device could be improved in not only counting the number of seeds in but also sowing seeds between row spacings. Automatic seed metering device consisted of conveyor belt and temporary storage device. Performance of seed metering device depends on the apparatus including sensor, stepping motor and DC-solenoid. Research contents an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eed metering device involving seed hopper, sorter and temporary storage device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2. A seed counting system with six photo electric sensors, designed and built for this project, was adequate for tranferring and counting seeds accurately. 3. Operating algorithm for stepping motor and photo electric DC-solenoid was developed. The Seed metering device proved to be a smooth and accurate operating device using the algorithm. 4. The performance of second prototype metering device was examined with five kinds of seeds ; mung beans, red beans, white beans, black beans and corn to transfer and count the seeds. The error ratio of seed metering was less than 3.5%.

  • PDF

파종양식과 재식밀도가 옥수수 변형단교잡종 교배친의 생육 및 채종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ing Pattern and Plant density on Seed Production of a Modified Single Cross Corn Hybrid)

  • 박근용;강영길;박승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2-66
    • /
    • 1984
  • 옥수수 변형단교잡종 채종재배에 있어서 웅주간파 ♂♀ 1 : 2, 2 : 4 등의 파종양식과 재식밀도가 종자친의 생육 및 채종량과 화분친의 웅수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83년 제천옥의 종자친 KS8/B68과 화분친 KS5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 및 간장은 파종양식이나 재식밀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고 종자친의 착수고는 파종양식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재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2. 종자친의 100주당 수수는 10a당 종자친 3,500본에서는 파종양식간에 비슷하나 5,000본 이상에서는 2 : 4 재배보다 웅주간파나 1 : 2재배에서 많았으며 재식밀도 증가에 따라 파종양식에 관계없이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수당입수는 파종양식간에는 차이가 없고 파종양식과 재식밀도의 상호작용도 유의하지 않았으나 재식밀도 증가에 따라 작아졌다. 100입중은 25g 내외로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3. 화분친의 화분이 제한되지 않은 조건에서의 채종량은 웅주간파, 1 : 2재배, 2 : 4재배순으로 많은 경향이였고 10a당 종자 친 3,500본에서 5,000본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크게 증가하나 5,000본에서 6,500본으로 재식밀도 증가에 따른 채종량 증가는 크지 않았다. 4. 화분친의 웅수장과 웅수당 영화수는 1 : 2나 2 :4재배에 비하여 웅주간파 재배에서 작았고 재식밀도 증가에 따라 1 : 2 및 2 : 4재배에서는 크게 감소하였으나 2: 4재배에서는 유의하게 작아지지 않았다. 5. 변형단교잡종의 채종에는 1 : 2나 2 : 4재배의 10a당 종자친 5,000본 재식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식물 품종 및 종자의 품질평가 기준에 대한 규정현황 (Legal Aspects for Quality Evaluation Standard of Plant Variety and Seed)

  • 최근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
    • /
    • pp.200-215
    • /
    • 2002
  • There are som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organization control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rieties and seeds such as UPOV, OECD, ISTA, AOSA. The National List system to check variety performance such as quality characteristics of plant varieties and seeds was established by each countries. The UPOV (International Union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 regulates the requirement of plant variety protection that is distinctness (D), uniformity (U), stability (S) (here in after called DUS), Novelty and Denomination, and some quality characteristics are used to examine the requirement of plant variety protection by each crops.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Development) seed scheme regulates the seed certification for seed trade between countries. ISTA (International Seed Testing Association) and AOSA(Association for Official Seed Analyst) regulates the seed analysis standard and methods. Most of the countries in Europe has the National List system, which check the value for cultivation and use(VCU), that is to say, variety performance such as yield, quality and stress to environment. All the seeds should be enlisted in the National List before sell the seed in their country. All the quality characteristics checked variety performance are for instance, amylose and amylopectin content in rice, molting quality, $\beta$-glucan, protein in barley, protein and sugar content in soybean, sugar and amylopectin content in corn etc. Conditions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y of plant are DUS. Quality characteristics may be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and used to check DUS in crop by crop.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a new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 standard method fur examine the VCU and DUS test for each crop.

수분포텐셜이 콩, 땅콩 및 옥수수 종자의 발아와 화학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Potential on Germina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oybean, Peanut and Corn Seeds)

  • 성락춘;김형곤;박세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69-577
    • /
    • 1996
  • 본 실험은 콩(황금콩, 방사콩), 땅콩(남대땅콩, 진풍땅콩) 및 옥수수(진주옥, 수원19호)를 공시재료로 하여 PEG처리에 의한 수분 포텐셜이 발아 및 묘의 생육과 저장양분의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 실험에서 발아 배지로 사용된 PEG(M.W. 10,000)용액의 수분 포텐셜은 각각 0.0, -0.2, -0.SMPa이었다. 묘의 수분함량, 묘장이 조사되었으며, 단백질, 지방, 전분은 종자의 함량에 대한 감소율과 가용성 당은 증가율로 조사되었다. 1. 세 작물중 콩의 수분흡수율이 가장 높았다. 2. 세 작물 모두 -0.5MPa의 수분포텐셜에서 수분함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묘의 신장은 수분포텐셜이 감소함에 따라 지연되었다. 3. 수분포텐셜이 감소함에 따라 종자발아에 의한 단백질의 감소율은 콩과 땅콩에서 낮았고, 전분의 감소율은 옥수수의 -0.5MPa 처리에서 낮았다. 4. 수분포텐셜에 의한 당의 증가율은 세 작물 모두 -0.5MPa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5. 세 작물 모두에서 발아를 위한 수분의 이용은 -0.5MPa 이하의 수분포텐셜에서 영향을 받으며, 당의 합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산 종자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 of Domestic Seed Lipids)

  • 윤태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5-30
    • /
    • 1990
  • The seeds of 16 domestic plants were studied for their moisture, total lip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16 seeds, chestnut, corn, mungbean and ginko nut yielded less than 9% by weight of total lipids compared to others that gave 20-73%. The identified fatty acids from the seed lipids ranged from lauric acid (12:0) to lignoceric acid(24:0). It was intended in this study to classify the seed lipids according to their major fatty acids: Group t-Oleic acid; Group 2-0leic acid and linoleic acid; Group 3-linoleic acid; Group 4-linolenic acid ; Group 5-erucic acid ; Group 6-ricinoleic acid. The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mungbean (33%) was the highest among the seed lipids studied. The highest value for the P/S fatty acid ratio(10) was in perilla.

T.T.C 검정방법에 의한 종자의 발아력검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ed's Germinability test by the T.T.C. testing method.)

  • 전우방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0-77
    • /
    • 1988
  • In order to determine and to reduce the differences between biochemical test method for the seed viability with T.T.C. (2, 3, 5. Triphenyl tetrazolium Chloride) reagent and germinator method, the topographical diagram of red colored formazan was carried out in 15-16 parts differences. From this resulted information,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ical staining reaction given for 3 species were derived into 3-4 parts for the germinable in normal seedling, the same as the following results. 1. Corn (Gram inaceae) * Entier embryo stained in bright red color. * Both extremities of scutellum unstained * Both extremities of scuttlium, coleorhiza and non-critial portions of radicle unstained. 2. Soybean (Leguminosae) *Seed completely stained in red color. *Minor unstained areas on cotyledons. *Extreme tip of radicle unstained; minor unstained areas on cotyledons 3. Radish (Cruciferae) *Seed completely stained. *Minor unstained areas on cotyledons. *Outer cotyledon mostly unstained: inner cotyledon completely stained Extreme tip of radicle unstained: large portion of outer cotyledon unstained.

  • PDF

Chewing Activities of Selected Roughages and Concentrates by Dairy Steers

  • Moon, Y.H.;Lee, S.C.;Lee, S.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7호
    • /
    • pp.968-973
    • /
    • 2002
  • To evaluate the chewing activity of ruminant feeds, four Holstein steers (average body weight $742{\pm}15kg$) were employed. Experimental feeds were four roughages ($NH_3$-treated rice straw, alfalfa hay, corn silage, orchard grass hay) and four concentrate ingredients (cotton seed hull, beet pulp pellet, barley grain, oat grain). Regarding palatability for each experimental feeds which was overviewed during the adjustment period, animals were fed roughages alone, but with 50% $NH_3$-treated rice straw ($NH_3$-RS) for concentrate ingredients. Therefore, all the data for concentrate ingredients was derived by extracting the result per unit obtained from steers fed $NH_3$-RS alon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s for roughages and concentrate ingredients. Experimental feeds were fed during a 10 d adaptation and 2 d chewing data collection during each experimental period. Animals were gradually adjusted to the experimental diet. Dry matter intake (DMI) was restricted at a 1.4% of mean body weight (10.4 kg DM/d). Time spent eating and eating chews per kilogram of DMI were greatest for beet pulp pellet, and lowest for barley grain (p<0.05). Time spent rumination per kilogram of DMI was greatest for $NH_3$-RS, cotton seed hull and orchard grass, but rumination chews were greatest for cotton seed hull and orchard grass except $NH_3$-RS (p<0.05). Roughage index value (chewing time, minute/kg DMI) was 58.0 for cotton seed hull, 56.1 for beet pulp pellet, 55.5 for $NH_3$-RS, 53.1 for orchard grass hay, 45.9 for corn silage, 43.0 for alfalfa hay, 30.0 for oat grain, and 10.9 for barley grain. The ratio of rumination time to total chewing time (eating plus ruminating) was about 72% for the roughages except corn silage (66.9%), and followed by cotton seed hull (69.5%), and ranged from 49.5% to 52.9% for other feeds. Higher percentages of rumination in total chewing time may be evidently indicate the characteristics of roughage. Therefore, this indicate that the chewing activity of concentrate ingredients can be more fully reflects by the ruminating time than total chewing time (RVI), although it is reasonable to define the RVI for roughages.

어유 및 식물 종자유의 급이가 흰쥐가 간장, 뇌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sh Oil and Some Seed Oils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Liver and Brain Tissue in Rats)

  • 정승용;김성희;김한수;최운정;김희숙;정효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18-425
    • /
    • 1991
  • S-D계 흰쥐에 중성지방 혈증 유발을 위해 12% 야자종실유와, 시험유지로서 올리브유, 돈지(豚脂), 어유, 들깨유, 옥수수유, 고추종자유 및 달맞이꽃종자유를 각각 3%씩 급여하여 4주간 사육한 후 간장 및 뇌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한 바, 간장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SFA의 함량이 많고 MUFA는 적었으며, 중성지질에서는 MUFA의 함량이 SFA보다 약간 많은 편이었고 콜레스테롤 에스테르는 SFA 함량은 적고 MUFA는 월등히 많았다. 각 획분 모두 PUFA의 함량은 적었으며 PUFA중 $C_{18:2}(n-6)$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n-3계 PUFA는 어유 및 들깨유 급여군에 비교적 많은 반면 n-6계 PUFA는 옥수수유, 고추종자유 및 달맞이꽃종자유 급여군에 많았다. 뇌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에서 SFA의 함량은 적은 반면 PUFA의 함량이 현저히 많았으며, n-3계 PUFA로서는 $C_{20:5}와\;C_{22:6}$이 n-6계 PUFA로서는 $C_{18:2}$가 주요 지방산을 이루고 있었다.

  • PDF

녹차씨기름이 고콜레스테롤식이를 섭취시킨 C57BL/6 Mice의 콜레스테롤, TBARS 및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Tea Seed Oil on the Cholesterol, TBARS and Inflammatory Responses in C57BL/6 Mice Fed High Cholesterol Diet)

  • 김종경;김소희;노경희;장지현;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84-290
    • /
    • 2007
  • 녹차씨유의 장기간 섭취가 혈청 콜레스테롤과 간 조직에서의 항산화능 및 염증반응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동맥경화 유발이 용이한 콜레스테롤식이를 섭취시킨 쥐에서 연구하였다. 4주령의 C57BL/6 mice($male,\;20.01{\pm}0.24\;g$)를 3군으로 나눈 후 콜레스테롤식이에 옥수수유, 녹차씨유, 올리브유를 각각 10%씩 함유한 식이를 9주간 섭취시켰다. 3주마다 안구혈관으로부터 혈액을 취해 혈청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고 항산화능은 9주 후 간 조직에서 TBARS로 측정하였으며 혈장과 대식세포에서의 LTB4, TNF-α, PGE2, NO측정을 통하여 염증반응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군 간의 체중의 증가는 녹차씨유군에서 올리브유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식이섭취량은 녹차씨유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군 간의 식이효율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녹차씨유군에서 다른 군에 비해 체중이 감소한 것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식이섭취량이 다소 낮은 수준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간의 무게는 올리브유군에서 가장 낮았으나 녹차씨유군과 옥수수유군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혈청의 콜레스테롤농도는 식이 섭취 6주까지는 모든 군에서 증가하였으나 그 증가수준은 녹차씨유군에서 옥수수유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식이섭취 9주에는 군 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조직의 TBARS는 옥수수유군에 비해 녹차씨군과 올리브유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혈장의 LTB4, TNF-α, NO의 생성능은 녹차씨유 섭취군에서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대식세포에서는 녹차씨유을 섭취시킨 군이 옥수수유를 섭취시킨 경우보다 이들 염증반응인자의 생성정도가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실험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아 녹차씨유는 염증반응인자에 대하여 다른 식물성기름과 다르지 않는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올리브유와 지방산 조성이 유사한 녹차씨유의 일정기간섭취는 콜레스테롤식이 섭취에 따른 혈장의 콜레스테롤 농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옥수수유 섭취군에 비해 효과적으로 TBARS생성을 낮추므로 녹차씨유가 콜레스테롤식이 섭취에 따른 산화적 스트레스를 방어하는 효과가 있고 녹차씨유가 혈장과 대식세포에서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옥수수유나 올리브유와 크게 다르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온도의 변화가 수수, 수수X수단그라스교잡, 수단그라스 및 옥수수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ternative temperature on germination of sorghum, sorghum-sudangrass and corn seeds)

  • 한흥전;양종성;안수봉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74-178
    • /
    • 1986
  • 본시험(本試驗)은 온도(溫度)의 변화(變化)가 사료작물(飼料作物)의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수수(Pioneer 931), 수수${\times}$수단그라스교잡종(交雜種)(Pioneer 988), 수단그라스(Piper) 및 옥수수(수원(水原) 19호(號))를 공시재료(供試材料)로 하여 Growth chamber내(內)에서 수행(遂行)하였다. Growth chamber 내(內)의 주야간(晝夜間) 온도(溫度)는 10/5, 15/10, 20/15, 25/20, 30/25, 35/30 및 $40/35^{\circ}C$ 등(等) 7처리(處理)로 하였으며 주간온도(晝間溫度)는 각처리(各處理) 공(共)히 14시간(時間)으로 유지(維持)하였는바 그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수${\times}$수란그라스의 발아적온(發芽適溫)은 $20{\sim}40^{\circ}C$ 로 적응범위(適應範圍)가 넓어서 $40/35^{\circ}C$의 고온(高溫)에서도 각각(各各) 95.8% 및 89.9%의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이에 비(比)하여 옥수수의 발아적온(發芽適溫)은 $20{\sim}30^{\circ}C$ 였으며 $40/35^{\circ}C$의 고온(高溫)에서는 심한 장해(障害)를 받아 낮은 발아율(發芽率)(15.3%)을 보였다. 2 수수${\times}$수단그라스교잡종(交雜種)은 저온발아성(低溫發芽性)이 강(强)하여 $10/5^{\circ}C$의 저온(低溫)에서도 80.0%의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인데 반(反)하여 동일온도(同一溫度)에서의 옥수수 및 수단그라스의 발아율(發芽率)은 각각(各各) 43.2% 및 24.8%에 불과(不過)하였다. 수수의 경우도 저온(低溫)에 약(弱)한 편이어서 $30/25^{\circ}C$ 에서의 발아율(發芽率)이 98.1%이던 것이 68.8%로 감소(減少)하였다. 3. 온도변화(溫度變化)에 따른 수수의 발아소요일수(發芽所要日數)는 12일(日)($15/10^{\circ}C$), 6일(日)($25/20^{\circ}C$) 및 3일(日)($40/35^{\circ}C$)로 온도(溫度)가 상승(上昇)함에 따라 비례적(比例的)으로 단축(短縮)되었다. 옥수수 수는 16일(日), 7일(日) 및 3일(日)이 소요(所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