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olymer sequenc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1초

Sequence Distribution and Thermal Property of PEN/PBN Copolymers

  • Park, Sang-Soon;Hwang, Jeong-Jun;Jun, Ho-Wook;Im, Seung-S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8권1호
    • /
    • pp.38-43
    • /
    • 1997
  • Poly(ethylene 2, 6-naphthalate-co-tetramethylene 2, 6-naphthalate) (PEN/PBN) copolymers were synthesized and studied by 13C NMR spectroscopy, DSC analysis and X-ray diffraction. A minimum in the melting point vs. composition curve was found at approximately 60 mol% tetramethylene 2, 6-naphthalate. The PEN/PBN copolymers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random throughout the range of 1, 4-butanediol compositions. The melting point depression behavior of annealed PEN/PBN copolymers depended upon the sequence propagation probability, PS, which is suggested by indivisual crystal formation of two pure comonomers; that is, ethylene-naphthalate-ethylene, EE, and tetramethylene-naphthalate-tetramethylene, BB. However, it can be seen from the X-ray curve that the peaks of PEN/PBN copolymers appear from a crystal lattice which is governed only by the rich component between two different aliphatic units in the copolymer composition.

비닐포스폰산 비스-${\beta}$-클로로에틸과 초산비닐의 혼성중합 (Copolymerization of Bis(${\beta}$-chloroethyl)vinylphosphonate and vinyl Acetate)

  • 진정일;변회섭;박유미
    • 대한화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9-224
    • /
    • 1977
  • 비닐포스폰산 비스-${\beta}$-클로로에틸(BCVP)과 초산비닐(VAc)의 혼성중합을 $50^{\circ{C$에서 행하여 단위체 반응성비를 구하였다. 이때 과산화벤조일을 개시제로 사용하였으며, 얻은 반응성비는 아래와 같다. $r_1 (VAc) = 0.33,\;r_2 (BCVP) = 0.47$ 이 값과 Alfrey-Price식을 이용하여 비닐포스폰산 비스-${\beta}$-클로로에틸의 Q와 e값을 계산하니 Q = 0.06 및 e = 1.1을 얻었다. 이 두 단위체로부터 얻어지는 혼성중합체중의 단위체 서열분포와 평균서열 길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혼성중합체가 비교적 높은 교대경향을 갖고 있음을 알았다. 또한 혼성중합체중에 비닐포스폰산 비스-${\beta}$-클로로에틸의 함량이 많을 수록 열안정성이 나뻐짐을 열시차분석에서 관찰하였다.

  • PDF

Certification of Gibroblase Cell Adhesion and Spreading Mediated by Arg-Gly-Asp (RGD) Sequence on Thermo-Reversible Hydrogel

  • NA, KUN;DONG-WOON KIM;KEUN-HONG PAR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6호
    • /
    • pp.922-927
    • /
    • 2001
  • In an effort to regulate the mammalian cell behavior in entrapment with a gel, we have functionalized hydrogels with the putative cell-binding (-Arg-Gly-Asp-)(RGD) domain. An adhesion molecule of Gly-Arg-Gly-Asp-Ser (GRGDS) peptides, a cell recognition ligand, was induced into thermo-reversible hydrogels, composed of N-isopropylacrylamide with small amounts of acrylic acid (typically 2-5 $mol\%$ in feed), as a biomimetic extracellular matrix (ECM). The GRGDS containing a p(NiPAAm-co-AAc) copolymer gel was studied in vitro for its ability to promote the spreading and viability of cells by introducing a GRGDS sequence. Hydrogel with no adhesion molecule was a poor ECM for adhesion, permiting spreading of only $3\%$ of the seeded cells for 36h. By immobilizing the peptide linkage into the hydrogel, the conjugation of RGD promoted $50\%$ of proliferation for 36h. However, the GREDS sequence, nonadhesive peptide linkage, conjugated hydrogel showed only $5\%$ of the seeded cell for the same time period. In addition, with the serum-free medium, only GRGDS peptides conjugated to hydrogel was able to promotecell spreading, while there was no cell proliferation in the hydrogel without GRGDS. Thus, the GRGDS peptide-conjugated thermo-reversible hydrogel specifically mediated the cell spreading. This result suggests that utilization of peptide sequences conjugating with the cell-adhesive motifs can enhance the degree of cell surface interaction and influence the long-term formation of ECM in vitro.

  • PDF

Copolymerization of N-Vinyl Pyrrolidone with Functionalized Vinyl Monomers: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Reactivity Relationships

  • Vijaykumar, S.;Prasannkumar, S.;Sherigara, B.S.;Shelke, N.B.;Aminabhavi, Tejraj M.;Reddy, B.S.R.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7권12호
    • /
    • pp.1003-1009
    • /
    • 2009
  • C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 (NVP) comonomer with styrene (St), hydroxypropyl methacrylate (HPMA) and carboxyphenyl maleimide (CPMI) were synthesized by free radical polymerization using 2,2'-azobisisobutyronitrile (AIBN) initiator in 1,4-dioxane solvent. The copolymers formed were characterized by FTIR, $^1H$ NMR and $^{13}C$ NMR techniques and their thermal properties were studied by DSC and TGA. Copolymer composition was determined by $^1H$ NMR and/or by elemental analysis and monomer reactivity ratios (MRR) were estimated by the linear methods of Kelen-Tudos (K-T) and extended Kelen-Tudos (EK-T) and the non-linear approach. Copolymers of St and HPMA with NVP formed blocks of one of the monomer units, whereas alternating copolymers were obtained in CPMI-NVP, depending upon the side chain substitution. The MRR values are discussed in terms of monomer structural properties such as electronegativity and electron delocalization. The sequence distribution of monomers in the copolymers was studied by statistical method based on the average reactivity ratios obtained by EK-T method.

Crystallization-induced Sequential Reordering in Poly (trimethylene to rephthalate)/Polycarbonate Blends

  • Bae, Woo-Jin;Jo, Won-Ho;Park, Yeun-Hum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0권3호
    • /
    • pp.145-149
    • /
    • 2002
  • Transesterification between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and bisphenol-A-polycarbonate (PC) is studi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When the blend of PTT/PC is annealed at higher temperatures, the samples do not show any melting peak at an initial stage, indicating the samples completely lose their crystallinity due to the formation of random copolymers. However, when the random copolymer is annealed at temperatures lower than the melting temperature of PTT, a melting peak is observed, indicating that the random copolymers are sequentially reordered. The melting point and the heat of fusion of crystals formed from the crystallization-induced sequential reordering depend upon the annealing temperature and time. The average sequence length determined from NMR is increased as the blocks are regenerated.

용융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해 제조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파라아세톡시벤조산 공중합체의 서열구조와 열적 성질 (Sequence Structure and Thermal Property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p-Acetoxybenzoic Acid (ABA) Copolymers Obtained Through Melt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 김도경;박수영;박종래
    • 폴리머
    • /
    • 제24권1호
    • /
    • pp.58-64
    • /
    • 2000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와 파라아세톡시벤조산 (p-acetoxybenzoic acid, ABA)의 조성비를 4/6, 5/5, 6/4로 하고, 온도를 각각 250, 260, 27$0^{\circ}C$로 하여 용융 에스테르 교환반응시킴으로써 poly(butylene terephthalate-co-oxybenzoate) (PBOT)를 합성하였다. 이에 대한 양성자 핵자기 공명 분광($^1$H FT-NMR) 분석을 통해서 분자내 서열 분석을 해본 결과 연속된 oxybenzoate 단위의 수는 1.2에서 1.5사이의 값을 가졌다. 이 값은 같은 조성비 및 같은 반응온도에서 합성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ABA (PEOT)쌍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값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블록길 이상의 차이는 열분해 거동에 영향을 미치며 그 결과 폴리옥시벤조에이트(POB), PBT 및 PEOT가 1단계의 열분해를 하는 반면 PBOT는 2단계의 열분해 거동을 나타내었다. 또한 PBOT는 PBT-rich 상, PBT와 ABA의 랜덤분포 상 및 ABA-rich 상의 3상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공단량체의 종류 및 조성이 지글러-나타 중합된 이중 분자량 분포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onomer Type and Content on the Properties of Ziegler-Natta Bimodal High-Density Polyethylene)

  • Meng, Weijuan;Li, Hongbo;Li, Jianwei;Chen, Biaohua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673-679
    • /
    • 2011
  •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을 중합함으로써 다양한 공단량체의 종류와 조성을 갖는 이중 분자량 분포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합성되었다. 이들의 구조와 물성을 GPC, NMR, DSC, 인장 측정기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가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보다 비슷한 조성을 가질 경우 높은 인장강도와 파단연신율을 가짐을 확인 하였다. 분자량은 고분자의 공단량체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짧은 곁사슬은 결정화도에 영향을 주어 결과적으로 이중 분자량 분포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모폴로지와 기계적 물성에 영향을 미쳤다. SSA로 처리 후 다수의 발열 곡선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주로 에틸렌 배열길이와 라멜라 두께의 불균일성에 기인한다. 분포지수의 차이로부터 공단량체의 조성이 높은 폴리에틸렌의 SCB 분포가 균일도를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소프트 리소그라피를 이용한 마이크로유체 채널 내의 단백질 및 세포 패터닝 (Soft lithographic patterning of proteins and cells inside a microfluidic channel)

  • 서갑양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5-73
    • /
    • 2007
  • 마이크로유체 채널 내에서 표면 성질과 기능성 분자들의 공간적인 위치를 제어하는 것은 진단소자, 마이크로 반응기, 또는 세포와 마이크로 유체역학의 기본적인 연구를 일해 매우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소프트 리소그라피 방법을 이용하여 채널 안에 패턴된 구조물을 포함하는 안정적인 마이크로 채널을 제작하는 방법을 소개하려 한다. 먼저 패턴된 영역을 폴리디메틸실록세인(PDMS) 몰드의 치수와 제작 과정을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산소 플라즈마로부터 보호한다. 마이크로 구조물은 대표적인 생물오손(biofouling) 억제 물질인 폴리에틸렌 글리콜(PEG)계 공중합 고분자 혹은 다당류인 히알루산(HA)을 패턴하여 얻었으며 이러한 패턴을 이용하여 피브로넥틴(FN), 소의 혈장 알부민(BSA) 등의 단백질과 동물 세포의 어레이를 제작하였다.

다리리간드의 구조가 이핵 CGC의 중합 특성과 생성된 에틸렌/스티렌 공중합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ucture of the Bridge on Polymerization Behavior of Dinuclear Constrained Geometry Catalysts and Properties of Ethylene-Styrene Copolymers)

  • 팜나탄;뉴옌티듀휴옌;웽티레탄;노석균
    • 폴리머
    • /
    • 제35권1호
    • /
    • pp.77-86
    • /
    • 2011
  • 굳은 특성을 가진 다리로 연결된 이핵 CGC 6개의 공중합특성을 조사하였다. 6개의 화합물 중에서 3개는 길이가 다른 para-phenyl (Catalyst 1), para-xylyl (Cata1yst 2), para-diethylene phenyl (Catalyst 6) 다리를 가진 화합물이며, 나머지 3개는 다리리간드는 para-xylyl 다리 기본구조를 가졌으나 치환체가 isopropyl (Catalyst 3), n-hexyl (Cataylst 4), n-octyl (Catalyst 5)인 화합물이었다. 이핵메탈로센 6가지와 Dow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스티렌을 공중합시켜 다리리간드의 특성변화가 촉매의 중합특성과 이로부터 생성되는 공중합체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다리리간드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촉매의 중합활성이 4배까지 향상되었으며 이로부터 생성되는 공중합체의 분자량도 증가하였다. 또한 para-xylyl 리간드의 치환체가 isopropyl에서 n-hexyl 및 n-octyl로 변함에 따라 중합활성은 증가하였으나 이로부터 생성되는 분자량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촉매구조 변화에 의한 고분자 미세구조 조절이라는 고분자 합성의 가장 어려운 부분이 이핵메탈로센을 활용하여 어느 정도 현실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폐폴리(염화 비닐)계 고분자 블렌드의 구조 및 물성 연구(III) -상용화제의 종류 및 혼합 조건에 따른 폐폴리(염화 비닐)/폴리에틸렌 고분자 블렌드의 형태학 및 물성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ecycled PVC Blends (III) - Morpholog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ecycled PVC/PE Blends with Different Kinds of Compatibilizers and Mixing Conditions)

  • 유영재;박재찬;원종찬;최길영;이재흥
    • 폴리머
    • /
    • 제28권6호
    • /
    • pp.468-477
    • /
    • 2004
  • 폐폴리(염화 비닐) 수지 [waste poly(vinyl chloride), RPVC]와 폐폴리에틸렌 수지 (waste polyethylene, RPE)의 용융 블렌드에 대한 연구로 상용성 향상을 위해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다른 4종류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EVA)와 에틸렌 메타크릴산 나트륨염 공중합체 (이오노머)를 상용화제로 사용하였으며, 혼합 순서 및 횟수를 변화시키며 물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비닐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높은 EVA가 상용화제로 첨가되었을 경우, 소량 첨가시 큰 인장 강도의 변화를 확인할수 있었으며 이오노머의 경우에는 첨가되는 양에 따라 인장 강도가 서서히 증가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형태학적 특성 변화를 관찰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블렌드에서의 상용화제의 종류에 따른 상용성은 적외선 분광기를 사용하여 관찰하였으며, 기계적 물성 분석을 통해 EVA 첨가시 이에 따른 인장 강도의 증가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혼합 순서 및 횟수 변화에 따른 물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