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epoda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28초

Brachionus rotundiformis (rotifera)와 Tigriopus japonicus(copepoda; harpacticoida)의 혼합배양에 있어서 광주기 변화가 두 동물먹이생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toperiod Exchanges on the Growth of two Common Live Food Organisms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and Harpacticoida Copepoda, Tigriopus japonicus) in the Combination Cultures)

  • 정민민;문태석;위종환;지영주;민광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8-172
    • /
    • 2007
  • 해산어의 종묘생산 과정에서 로티퍼 B. rotundiformis와 코페포다 T. japonicus는 매우 대표적인 동물먹이생물이다. 그리고 이 두 종의 혼합배양 방법은 대량배양과 안정배양을 목적으로 하였을 때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로티퍼 B. rotundiformis와 코페포다 T. japonicus의 혼합 배양 과정에서 미칠 수 있는 배양조건으로서 광주기가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로티퍼 B. rotundiformis와 코페포다 T. japonicus의 혼합 배양에서는 배양 환경 조건 중 광주기 조건에 따라서 혼합배양수조내 로티퍼와 코페포다의 증식 양상이 매우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로티퍼의 증식율을 비교하면 반일 광주기 조건의 최고 밀도에 비하여 전일 광주기 조건하에서 로티퍼의 최고 밀도는 200% 이상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코페포다 T. japonicus의 증식은 12L:12D<24L:0D<0L:24D의 순으로 전일 암주기 조건의 광주기 조건하에서 가장 높은 증식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코페포다의 증식과정을 각 발생 단계별로(nauplii, copepodites 그리고 female carrying eggs) 계수한 결과, 세 가지 광주기 조건별로 각 발생단계별(nauplius, copepodid 그리고 female carrying eggs)의 증식 양상은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DNA 메타바코딩을 이용한 광양만 및 어시장 해양 생물 위 내용물 분석 (Analysis of Stomach Contents of Marine Orgnaisms in Gwangyang Bay and Yeosu Fish Market Using DNA Metabarcoding)

  • 오건희;김용준;김원석;홍철;지창우;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5권4호
    • /
    • pp.368-375
    • /
    • 2022
  • 보구치는 어류와 요각류가 공통 먹이원으로 분석되었다. 광양만에서 채집한 보구치가 가장 많이 먹은 먹이원은 단각류로 ASV 빈도가 62.5%로 나타났으며 여수 어시장에서 구입한 보구치는 어류의 ASV 빈도가 16.6%로 가장 많았다. 광양만에서 채집한 참조기의 우점 먹이원은 십각류로 ASV 빈도가가 99.9%로 나타났으며 어시장의 참조기는 어류의 ASV 빈도가 51.2%로 조사되었다. 광양만과 어시장의 자주새우 우점 먹이원은 각각 요각류로 92.6%와 100%로 조사되었다. 광양만에서 채집한 꼴뚜기는 요각류(91.4%)를 가장 많이 먹었으나 어시장에서 구입한 갑오징어는 어류(96.6%)를 가장 많이 섭식하였다. 계층적 군집 분석 결과, 꼴뚜기 및 채집한 자주새우와 구입한 자주새우는 먹이원이 유사하였으며 보구치와 참조기, 갑오징어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요각류는 참조기를 제외한 모든 수서 생물과 연결되어 있어 가장 중요한 먹이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먹이원 폭 분석 결과 광양만에서 채집한 참조기의 먹이원 폭 값은 0.001로 낮았으나 어시장에서 구입한 참조기의 먹이원 폭 값은 0.886으로 먹이원 다양성이 가장 높았다. 영양단계 분석 결과, 어류를 주로 섭식했던 갑오징어가 3.98로 가장 높았으며, 광양만에서 채집한 보구치가 2.0으로 영양단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위 내용물의 DNA 메타바코딩을 활용한 먹이원 분석 연구는 육안을 통한 먹이원 분석 사이에서 상호보완하여 섭식생태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 New Genus and Two New Species of Copepoda(Poecilostomatoida, Sabelliphilidae) Associated with the Tubicolous Polychaetes in the Yellow Sea

  • Hoi, I-I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5권1호
    • /
    • pp.1-9
    • /
    • 2001
  • Terebelliphilus simplex n. gen., n. sp. and Myxomolgus invulgus n. sp. are described from the tubicolous polychaetes found in the intertidal shores in the Yellow Sea. The new genus Terebelliphilus belongs to the family Sabelliphilidae but is characteristic in bearing the reduced segmentations In legs 1-4, an unusual sexual dimorphism in antennule, and the ventral location of genital areas. Myxomolgus invulgus is readily distinguishable from its congeners by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rostrum, antennule, mandible, maxilla, leg 4 and female leg 5.

  • PDF

Two New Species of Siphonostomatoid Copepods (Crustacea) Associated with the Stoloniferan Coral Tubipora musica (Linnaeus) from Madagascar

  • Kim, Il-Hoi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8권3호
    • /
    • pp.187-196
    • /
    • 2004
  • Two new species of siphonostomatoid copepods, Asterocheres tubiporae n. sp. and Entomopsyllus stocki n. sp., associated with the stoloniferan coral Tubipora musica (Linnaeus) are described from Madagascar. Asterocheres tubiporae is characterized by the possession of a large posteroventral process on the caudal ramus and the elongated free segment of leg 5. Entomopsyllus stocki is readily distinguished from its congeners by the possession in the female of 15-segmented antennule and three spines plus two setae on the third exopodal segment of leg 4.

New Species of Copepods (Crustacea) Associated with Marine Invertebrates from the Pacific Coast of Panama

  • Kim, Il-Hoi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8권3호
    • /
    • pp.165-186
    • /
    • 2004
  • Five new species of copepods associated with marine invertebrates are described from shallow water of the Pacific coast of Panama. They are Pseudomacrochiron pocilloporae n. sp., Acontiophorus panamensis n. sp. and Asterocheres urabensis n. sp. associated with the scleractinian coral Pocillopora damicornis (Linnaeus), Asterocheres pilosus n. sp. associated with the echinoid Eucidaris thouarsii (Valenciennes), and Asterocheres walteri n. sp. associated with the sea star Oreaster brevispinis.

Two Semi-subterranean Copepods from Korea

  • Lee, Ji-Min;Jeon, Jin-Mo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8권3호
    • /
    • pp.145-154
    • /
    • 2004
  • Two freshwater cyclopoid species including a new species are added to Korean copepod fauna: Ochridacyclops coreensis n. sp. and Itocyclops yezoensis (Ito, 1953). Both species were collected from the semi-subterranean waters like springs and wells.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the description of the new species and the systematic accounts on the two species,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 comparison with the related congeners.

Freshwater Harpacticoids of Genera Phyllognathopus and Harpacticella from South Korea

  • Chang, Cheon-Young;Yoon, Hong-Ju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3권1호
    • /
    • pp.57-68
    • /
    • 2007
  • A taxonomic study on the genera Phyllognathopus and Harpacticella has been accomplished as one of the serial researches on the freshwater harpacticoids in South Korea. As a result, four species belonging to the genera are clarified, three of which are new to Korean fauna: P. viguieri (Maupas), P. paludosus Mrazek, and H. paradoxa (Brehm).

A Pictorial Key to the Freshwater Cyclopoid Copepods from Korea

  • Lee, Ji-Min;Jean, Jin-Mo;Chang, Cheon-Young
    • 환경생물
    • /
    • 제23권4호
    • /
    • pp.343-356
    • /
    • 2005
  • A pictorial key to total 46 species belonging to 15 genera of two subfamilies in the family Cyclopidae is provided as a result of the serial researches on the freshwater cyclopoid copepods in South Korea.

한국 담수산 검물벼룩류(키클로프스 목, 검불벼룩 과) (Freshwater Cyclopoid Copepods (Cyclopoida , Cyclopidae) of Korea)

  • 김훈수;장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5권2호
    • /
    • pp.225-256
    • /
    • 1989
  • 1983년 5월부터 1989년 5월까지 남한의 각종 담수역 총 141개 지점에서 채집하여 서울대학교 동물학과에 보관중이던 검물벼룩류의 표본들을 검토한 ㅕㄹ과 검물벼룩과에 속하는 2아과 12속 25종 및 아종을 동정하였다. 이중 한국미기록종으로 밝혀진 17종에 대하여는 재기재를 하고 도판을 작성하였다.

  • PDF

동해의 노래미류에 기생하는 요각류 1신종, Lepeophtheirus tuberculatus (Lepeophtheirus tuberculatus, a New Copepod (Siphonostomatoida, Caligidae) Parasitic on the Greenlings(Pisces) from the Sea of Japan)

  • 김일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9권1호
    • /
    • pp.61-67
    • /
    • 1993
  • 강릉 인근의 동해에서 잡힌 어류 Hexagrammos otakii(쥐노래미) 및 H. agrammus (노래미)로부터 채집된 기생성 요각류 일종을 조사한 결과 신종임이 밝혀져 기재한다. 이종은 과거에 L. scutiger Shiino, 1952 및 L.sheni Boxshall and Bellwood, 1981와 혼동되어 왔으마 후자의 종들과는 분명히 다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