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epod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2초

빵 이스트를 먹이로 이용한 부유성 코페포다 Apocyclops sp.(Copepod: Cyclopoida)의 배양 (The Culture of free-swiming Copepod Secies Apocyclops sp. (Copepod; Cyclopoida)by baking Yeast)

  • 정민민;김형신;노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03-307
    • /
    • 1999
  • Copepod is useful live food organism in the larval rearing. However of fin fish, culcures of copepod species (Specially calanoida and cyclopoida) were very difficult under artificial management conditions. In this study, we report successful culture of a free swimming cyclopodia copepod species (Apocyclops sp.) by easily baker's yeast as food. The maximum culture density of Apocyclops sp. was observed 11,200±2,660 ind/ℓ during the 30 days culture periods in the 1.5ℓ culture tanks. The nauplii were growth up maximum density 6,400±432 ind/ℓ on day 16th. The number of egg carring female was observed maximum density (666.7 ind./ℓ) of two times after 6days and 28 days of initial culture.

  • PDF

해산 cyclopoid copepod, Paracyclopilna nana 암컷의 생산력에 대한 각 성장 단계별 개체밀도의 영향과 성체의 nauplius 공식 여부조사

  • 이균우;박흠기;허성범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01-202
    • /
    • 2002
  • copepod는 일반적으로 rotifer에 비해 매우 낮은 밀도로 배양되기 때문에 상업적 양식에 적응할 수 있는 원활한 양적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먹이생물로써 copepod의 충분한 양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배양규모를 늘리거나 copepod의 배양 밀도를 높여야 하는데, 배양규모를 늘리는 것은 많은 시설비와 그에 따른 노동력증가 문제가 뒤따르기 때문에 배양밀도 증가를 위해 효율적인 배양 밀도 규명이 요구된다. (중략)

  • PDF

한국산 해마, Hippocampus coronatus의 출산과 초기성장 (Parturition and Early Growth of Crowned Seahorse, Hippocampus coronatus in Korea)

  • 최영웅;노섬;정민민;이영돈;노경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9-118
    • /
    • 2006
  • 체색의 변화가 다양하여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은 Hippocampus coronatus의 안정적인 번식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가막만과 여자만 부근해역의 잘피밭에서 채집 한 후 실험실에서 사육하면서 어미의 출산특성, 자치어의 성장 및 초기자어사육에 알맞은 먹이조건을 조사하었다. $7{\sim}11$월에 가막만과 여자만에서 출현한 체장(SL) $53.91{\sim}87.31 mm$ (평균 $77.76{\pm}9.84 mm$, n=12) 범위의 개체들이 실험실내에서 $6{\sim}75$ 개체(평균 39 ind./male/time)를 출산하였다. 출산 직후 자어의 크기는 $11.69{\sim}15.81 mm$(평균 $13.7{\pm}1.3 mm$, n=15)였고 몸통과 꼬리의 체륜수는 10 그리고 39개였으며 가슴지느러미, 등지느러미 그리고 뒷지느러미 줄기수는 각각 12, 14 그리고 4개였다. 출산 후 60일에는 $23.48{\sim}25.29 mm$ (평균, $24.65{\pm}0.83 mm$, n=4)로 성장하였고 일간성장률은 0.18 mm/day였다. Copepod와 Artemia를 혼합 공급하여 포식량을 조사한 결과 출산 후 5일째에 copepod nauplii의 포식량은 평균 21 ind./larva/hour였고 Artemia napulii의 포식량은 평균 3 ind./larva/hour로 copepod nauplii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고 출산 후 30일째에는 copepod nauplii에 대한 포식량이 평균 5 ind./larva/hour, 그리고 Artemia napulii의 포식량이 평균 9 ind./larva/hour로 성장함에 따라 Artemia napulii에 대한 포식량이 증가하였다. 생존율을 고려한 먹이 공급방법에 있어서 Artemia nauplii와 copepod nauplii를 혼합 공급할 경우 생존율은 출산 후 50일에 48.9%로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해양 부유성 요각류인 Calanus sinicus와 Acartia clausi(A. omorii)의 포식 행동 (The feeding behavior of the marine planktonic copepod, Calanus sinicus and Acartia clausi(A. omorii))

  • 신경순;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18
    • /
    • 1992
  • 요각들은 Calanus sinicus와 Acartia clausi(A. omorii)의 먹이섭취 양상을 파악 하기 위하여 식물 플랑크톤의 농도변화와 시간경과에 따른 먹이섭취율 및 여과율의 변 화를 실험실에서 조사하였다. 두종의 요각류들의 여과율은 먹이농도가 증가에 따라서 감소했으며, 평균 여과율은 C. sinicus가 2.42 ml/copepod/hr,이고, A. clausi가 3.37 ml/copepod/hr. 이였다. 먹이섭취율은 먹이농도의 증가에 따라 다소 변동은 있지만 수 평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시간에 따른 요각류들의 여과율은 주기성 을 보이지 않고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A. clausi 는 어떤 시간의 경과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신물플랑크톤의 농도변화에 따른 요각류의 먹 이섭취율과 여과율의 경향은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측정된 값들은 다소 차이를 보였 다. 그리고 시간경과에 따른 조사에서 두종의 요각류들은 불연속적인 포식활동을 전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부착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배양방법 및 먹이효율 (Culturing Method and Dietary Value of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박흠기;허성범;김철원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61-269
    • /
    • 1998
  • 본 연구는 부착성 요각류인 Tigriopus japonicus의 대량배양을 위해서 배양방법과 먹이효율을 조사하였다. 유수식 배양에 있어서 암컷의 생존율과 유생생산은 정수식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유생의 생존율은 정수식에서 높게 나타났다. T. japonicus의 배양에 있어서 표면적이 증가할수록 T. japonicus의 증식은 효과적이였다. 또한 T. japonicus와 rotifer의 혼합배양에 있어서 rotifer는 T. japonicus의 영향을 받지 않으나 T.japonicus는 rotifer의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산 자어에 대한 T. japonicus의 먹이효율은 참돔과 자주복 등과 같은 쪼아먹는 식성의 치어에 있어서는 Artemia nauplius보다 높은 먹이효율을 보였다. 그러나 넙치치어와 같이 저서성치어에게는 먹이로서 부적합하였다.

  • PDF

Seasonal changes in copepod biomass and production in Gamak Bay, Korea

  • Moon, Seong Yong;Oh, Hyun Ju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4호
    • /
    • pp.171-179
    • /
    • 2021
  • To better understand the ecological functioning of the coastal ecosystem in Gamak Bay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seasonal changes in the density, biomass, and secondary production of the copepod community were investigated. Environmental measurements (temperature, salinity, and chlorophyll a) and copepod sampling were performed seasonally from January to December 2006. The mean density of copepods (excluding nauplii) varied from 949 to 5,999 ind · m-3; copepod density was at its highest from March to July. The copepod community comprised 32 taxa, including Calanoida, Cyclopoida, and Harpacticoida. The predominant species were Paracalanus parvus s. l., Acartia omorii, Eurytemora pacifica, Oithona similis, A. erythraea, Centropages abdominalis, Pseudodiaptomus marinus, and Calanus sinicus. There were significant spatial and seasonal variations in copepod total biomass, which ranged from 0.33 to 43.10 mg C m-3. Mean secondary production of the copepods in Gamak Bay, estimated as 2.05 ± 1.63 mg C m-3 d-1 using the Huntley and Lopez growth model, was over 2 times higher than the value given by application of the Hirst and Bunker model (1.09 ± 0.85 mg C m-3 d-1). The daily production rate to biomass (P/B) ratio varied between 0.08 and 0.86 d-1 (Huntley and Lopez model), and 0.18 and 0.33 d-1 (Hirst and Bunker model). Our results emphasize the ecological significance of using models to estimate the secondary production of copepods and provides the first report of copepod production in Gamak Bay.

Study on the Copepod Ectoparasites of Sebastes melanops (Girard) and Sebastes crameri (Jordan) in Aquarium

  • Chun, Kae-Shik
    • 환경생물
    • /
    • 제21권4호
    • /
    • pp.366-367
    • /
    • 2003
  • Nineteen rockfishes representing two species in the family Scorpaenidae were collected from Oregon Coast Aquarium in July 2003 and examined for parasitic copepods. The parasitic copepods were taken from the gills of Sebastes crameri and fins of S. melanops. With regard to the prevalence of copepod 22.2% of the fishes were infected by C. uncinata, and 30.0% by N. robusta. Intensity of infections of Clavella uncinata to Sebastes melanops, showed a range of 4 to 6 with a mean of 5.0 per fish while Neobrachiella robusta to S. crameri was 1 to 6 with a mean of 2.7.

DNA Barcoding of Antarctic Freshwater Copepod Boeckella poppei (Crustacea: Copepoda: Calanoida: Centropagidae) Inhabiting King George Island, South Shetland Islands, Antarctica

  • Kang, Seunghyun;Jo, Euna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4호
    • /
    • pp.396-399
    • /
    • 2020
  • The Antarctic freshwater copepod, Boeckella poppei (Mrazek, 1901), has the widest range of distribution extending from southern South America to Antarctic continent, among all Boeckella species. Boeckella poppei is the only freshwater copepod known to be inhabiting the Antarctic continent. In present study, we analyzed the DNA barcodes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gene of B. poppei from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The intraspecific genetic distances varied from 0% to 13% and interspecific genetic distances ranged from 11% to 14%. The overlap of DNA barcode gap suggests careful threshold-based delimitation of species boundaries.

기수산 요각류 Paracyclopina nana의 대량배양 (Mass culture of the brackish water cyclopoid copepod Paracyclopina nana Smirnov)

  • 이균우;최영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262-266
    • /
    • 2016
  • 해산 copepod는 어류 양식을 위한 초기먹이생물로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이들의 대량배양에 관한 연구가 많이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수산 copepod인 Paracyclopina nana의 대량생산을 위해, 실용화 가능한 배양방법개발의 일환으로 rotifer 대체를 위한 P. nana의 nauplius 생산법과 Artemia 대체를 위한 P. nana의 C4-성체 생산법으로 나누어 대량배양을 시도하였다. P. nana의 nauplius 생산 시, 수확된 nauplius는 약 95% 이상이 N1-N2였다. 15일 동안 수확된 nauplius의 일일 평균 생산량은 1, 2차 각각 $6.9{\times}10^6$, $7.2{\times}10^6$였으며, 배양수 내의 암컷과 포란한 암컷의 수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5일 동안 비교적 일정한 개체수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4-성체의 생산시, 수확된 copepod의 비율은 C4-수컷, 암컷 및 포란한 암컷이 각각 약 49%, 28% 및 18%였으며 일일 평균 생산량은 1, 2차 각각 $8.2{\times}10^5$, $9.0{\times}10^5$ 개체였다. 결과적으로, P. nana 대량배양 방법에서 nauplius와 C4-성체의 일정한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어류의 입 크기에 따라 배양 방법의 선택에 의해 연속적인 먹이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Direct Examination of the Dietary Preference of the Copepod Calanus helgolandicus Using the Colorimetric Approach

  • Kang, Hyung-Ku;Poulet, Serge;Ju, Se-Jong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2권3호
    • /
    • pp.193-197
    • /
    • 2007
  • The food selectivity of tethered females of the copepod Calanus helgolandicus was examined by using the colorimetric approach. First, feeding behavior of the copepod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between the red-color stained with neutral red and non-stained diets using the diatom Coscinodiscus curvatulus. Then, the copepods were fed a mixtures of two diets, the diatom C. curvatulus, stained with neutral red, and the dinoflagellate Gymnodinium sanguineum for $14\sim60$ minutes of feeding duration. The foregut colors of females were examined using a stereo-microscope and a video monitor. The foreguts of animals fed with a high density of diatoms in mixed diets showed a dark red color, whereas those fed with a high density of dinoflagellate in mixed diets were a dark yellow. The results suggest that this species of copepod may not selectively feed either one of the diets used for this study. Their feeding activity may be more likely related to the density of available prey in their environment. Therefore, this quick and easy colorimetric approach could provide very useful information, like the pre-screening procedure before designing and conducting the time-consuming and complex feeding experiments to understand the feeding ecology of copep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