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ling source

검색결과 635건 처리시간 0.027초

2 L급 수소 직접분사 전기점화 엔진의 워밍업 시 공기과잉률에 따른 질소산화물 배출 및 연료 소모율에 대한 실험적 분석 (Effect of Varying Excessive Air Ratios on Nitrogen Oxides and Fuel Consumption Rate during Warm-up in a 2-L Hydrogen Direct Injection Spark Ignition Engine)

  • 하준;김용래;박철웅;최영;이정우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2-58
    • /
    • 2023
  • 지구 기상이변에 대해 탄소중립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무탄소 연료인 수소의 에너지원으로서의 활용도 역시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소는 연료전지(FC, Fuel Cell)에 활용되고 있으나, 이는 연소를 기반으로 하는 내연기관(ICE, Internal Combustion Engine)에도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연료전지만으로 수소 활용 및 인프라 확장이 어려운 때에 이미 생산 측면이나 공급 측면에서 인프라가 기 구축되어 있는 내연기관은 수소 에너지 저변 확대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만 수소를 연소기반으로 활용할 경우 고온에서 공기 중 질소가 산소와 반응하여 유해배기물질인 질소산화물(NOx, Nitrogen Oxides)이 생성될 수 있는 단점은 존재한다. 특히 냉간 (Cold Start) 운전 영역시 포함될 EURO-7 배기규제의 경우 워밍업(Warm-up)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기배출물의 저감을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 L급 수소 직접분사방식 전기점화 (SI, Spark Ignition) 엔진을 활용하여 냉각수를 상온에서 88 ℃로 워밍업하는 과정에서 질소산화물 및 연료소모율의 변화 특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수소는 기존의 가솔린, 천연가스, 액화석유가스(LPG, Liquified Petroleum Gas)와 달리 가연범위(Flammable range)가 넓기 때문에 공기과잉률(Excessive air ratio)을 희박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워밍업하는 과정에 있어서 공기과잉률을 1.6/1.8/2.0으로 변화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워밍업 시 공기과잉률이 희박해질수록 시간당 질소산화물의 배출이 적고, 열효율도 상대적으로 높으나 최종 온도까지 도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누적 배출량 및 연료소모율은 악화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북극-동아시아 지역의 봄철 온난화가 북극 진동-한국의 황사 사례일의 종관 기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Influence of Spring Warming in the Arctic-East Asia Region on the Arctic Oscillation and Dust Days in Korea Attributed to Dust Storms)

  • 김지선;조재희;김학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21-135
    • /
    • 2024
  • 1991-2020년의 30년 동안 봄철(3-5월)에 북극-동아시아 지역의 지표면 부근 대기 온난화가 북극 진동에 따라 한국의 서울에서 발생하는 황사 사례일의 종관 기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북극-동아시아 지역의 봄철 온난화 증가는 한국의 서울에서 황사 사례일을 6일을 감소시켰고, 황사 사례일의 PM10 질량 농도도 -1.6 ㎍ m-3yr-1으로 강도를 약화시키는데 기여하고 있었다. 2010년대 한국에서 감소하고 있는 황사 사례일에 대한 동아시아 지역의 종관 기상 특성은 음(-)의 잠재소용돌이도(Potential Vorticity Unit; PVU)로 나타나는 고기압성 활동이 증가하고 있었다. 또한, 한국에서는 음(-)의 북극진동지수(Arctic Oscillation Index; AOI)에서 황사 사례일이 증가하고 양(+)에서는 감소하는 정적 편포를 보였다. AOI가 음(-)인 황사 사례일에서는 중국 대륙에 온난한 고기압이 강화되고 있었다. 더불어 한대 제트의 중심 위치가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몽골과 중국 북부에서는 한대 기단의 남하에 의한 저기압성 활동이 약해지고 있었다. 황사의 발생이 감소하였을 뿐 아니라 발원지로부터 한국으로 황사를 수송하는 풍속이 감소하고 있었다. 반면, AOI가 양(+)인 황사 사례일에서는 중국 대륙에 광역적으로 온난하고 정체적인 고기압이 위치하고 있었으며, 한대 제트의 북쪽이 더욱 냉각되어 있었다. 몽골-중국 북부-한국에 이르는 지역에서 하층 대류권의 현저한 풍속 감소가 황사 발생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장거리 수송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위증에 대한 동서의학적(東西醫學的) 고찰(考察) (The Literatual Study on the Wea symptom in the View of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 김용성;김철중
    • 혜화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11-243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ause, symptom, treatment, medicine of Wei symptom through the literature of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Wei symptom is the symptom that reveals muscle relaxation without contraction and muscle relaxation occures in the lower limb or upper limb, in severe case, leads to death. 2. Since the pathology and etiology of Wei symptom was first described as "pe-yeol-yeop-cho"(肺熱葉焦) in Hung Ti Nei Ching(黃帝內經), for generations most doctors had have accepted it. but after Dan Ge(丹溪), it had been classified into seven causes, damp-heat(濕熱), phlegm-damp(濕痰), deficiency of qi(氣虛), deficiency of blood(血虛), deficiency of yin(陰處), stagnant blood(死血), stagnant food(食積). Chang Gyeng Ag(張景岳) added the cause of deficiency of source qi(元氣). 3. The concept of "To treat Yangming, most of all"(獨治陽明) was emphasized in the treatment of Wei symptom and contains nourishment of middle warmer energy(補益中氣), clearance of yangming-damp-heat(淸化陽明濕熱). 4. Since Nei-ching era(內經時代), Wei and Bi symptom(痺症) is differenciated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pain. After Ming era(明代) appeared theory of co-existence of Wei symptom and pain or numbness but they were accepted as a sign of Wei symptom caused by the pathological factor phelgm(痰), damp(濕), stagnancy(瘀). 5. In the western medical point of view, Wei symptom is like paraplegia, or tetraplegia. and according to the causative disease, it is accompanied by dysesthesia, paresthsia, pain. thus it is more recommended to use hwal-hyel-hwa-ae(活血化瘀) method considering damp-heat(濕熱), qi deficiency of spleen and stornach(脾胃氣虛) as pathological basis than to simply differenciate Wei and Bi symptom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pain. 6. The cause of Gullian-Barre syndrome(GBS) is consist of two factors, internal and external. Internal factors include asthenia of spleen and stomach, and of liver and kidney. External factors include summur-damp(暑濕), damp-heat(濕熱), cold-damp(寒濕) and on the basis of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according to the symptom of Zang-Fu"(臟腑辨證論治), the cause of GBS is classified into injury of body fluid by lung heat(肺熱傷津), infiltration of damp-heat(濕熱浸淫), asthenia of spleen and kidney(脾腎兩虛), asthenia of spleen and stomach(脾胃虛弱), asthenia of liver and kidney (肝腎兩虛). 7. The cause of GBS is divided by according to the disease developing stage: Early stage include dryness-heat(燥熱), damp(濕邪), phlegm(痰濁), stagnant blood(瘀血), and major treatment is reducing of excess(瀉實). Late stage include deficiency of essence(精虛), deficiency with excess(虛中挾實), and essencial deficiency of liver and kidney(肝腎精不足) is major point of treatment. 8. Following is the herbal medicine of GBS according to the stage. In case of summur-damp(暑濕), chung-seu-iki-tang(淸暑益氣湯) is used which helps cooling and drainage of summer-damp(淸利暑濕), reinforcement of qi and passage of collateral channels(補氣通絡). In case of damp-heat, used kun-bo-hwan(健步丸), In case of cool-damp(寒濕), used 'Mahwang-buja-sesin-tang with sam-chul-tang'(麻黃附子細辛湯合蓼朮湯). In case of asthenia of spleen and kidney, used 'Sam-lyeng-baik-chul san'(蔘笭白朮散), In case of asthenia of liver and kidney, used 'Hojam-hwan'(虎潛丸). 9. Following is the herbal medicine of GB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according to the symptom of Zang-Fu"(臟腑辨證論治). In the case of injury of body fluid by lung heat(肺熱傷津), 'Chung-jo-gu-pae-tang'(淸燥救肺湯) is used. In case of 'infiltration of damp-heat'(濕熱浸淫), us-ed 'Yi-myo-hwan'(二妙丸), In case of 'infiltration of cool-damp'(寒濕浸淫), us-ed 'Yui-lyung-tang', In case of asthenia of spleen, used 'Sam-lyung-bak-chul-san'. In case of yin-deficiency of liver and kidney(肝腎陰虛), used 'Ji-bak-ji-hwang-hwan'(知柏地黃丸), or 'Ho-jam-hwan'(虎潛丸). 10. Cervical spondylosis with myelopathy is occuered by compression or ischemia of spinal cord. 11. The cause of cervical spondylosis with myelopathy consist of 'flow disturbance of the channel points of tai-yang'(太陽經兪不利), 'stagnancy of cool-damp'(寒濕凝聚), 'congestion of phlegm-damp stagnant substances'(痰濕膠阻), 'impairment of liver and kidney'(肝腎虛損). 12. In treatment of cervical spondylosis with myelopathy, are used 'Ge-ji-ga-gal-geun-tang-gagam'(桂枝加葛根湯加減), 'So-hwal-lack-dan-hap-do-hong-eum-gagam(小活絡丹合桃紅飮加減), 'Sin-tong-chuck-ue-tang-gagam(身痛逐瘀湯加減), 'Do-dam-tang-hap-sa-mul-tang-gagam'(導痰湯合四物湯加減), 'Ik-sin-yang-hyel-guen-bo-tang'(益腎養血健步湯加減), 'Nok-gakyo-hwan-gagam'(鹿角膠丸加減). 13. The cause of muscle dystropy is related with 'the impairement of vital qi'(元氣損傷), and 'impairement of five Zang organ'(五臟敗傷). Symptoms and signs are classified into asthenia of spleen and stomach, deficiency with excess, 'deficiency of liver and kidney'(肝腎不足) infiltration of damp-heat, 'deficiency of qi and blood'(氣血兩虛), 'yang deficiency of spleen and kidney'(脾腎陽虛). 14. 'Bo-jung-ik-gi-tang'(補中益氣湯), 'Gum-gang-hwan'(金剛丸), 'Yi-gong-san-hap-sam-myo-hwan'(異功散合三妙丸), 'Ja-hyel-yang-gun-tang'(滋血養筋湯), 'Ho-jam-hwan'(虎潛丸) are used for muscle dystropy. 15. The causes of myasthenia gravis are classified into 'insufficiency of middle warmer energy'(中氣不足), 'deficiency of qi and yin of spleen and kidney'(脾腎兩處), 'asthenia of qi of spleen'(脾氣虛弱), 'deficiency of qi and blood'(氣血兩虛), 'yang deficiency of spleen and kidney'(脾腎陽虛). 16. 'Bo-jung-ik-gi-tang-gagam'(補中益氣湯加減), 'Sa-gun-ja-tang-hap-gi-guk-yang-hyel-tang'(四君子湯合杞菊地黃湯), 'Sa-gun-ja-tang-hap-u-gyi-eum-gagam'(四君子湯合右歸飮加減), 'Pal-jin-tang'(八珍湯), 'U-gyi-eum'(右歸飮) are used for myasthenia gravis.

  • PDF

보국 코발트 광상의 산출 광물종 및 황동위원소 조성의 시간적 변화: 함코발트 열수계의 성인과 지화학적 특성 고찰 (Temporal Variations of Ore Mineralogy and Sulfur Isotope Data from the Boguk Cobalt Mine, Korea: Implication for Genesis and Geochemistry of Co-bearing Hydrothermal System)

  • 윤성택;염승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30권4호
    • /
    • pp.289-301
    • /
    • 1997
  • 보국 코발트 광산은 백악기 경상분지내에 위치하며, 셰일로 구성된 건천리층을 천부 관입한 암주상의 미문상 화강암내에 국한하여 배태된다. 광상은 열극 충진형 석영${\pm}$액티놀라이트${\pm}$탄산염 광물맥으로 이루어지며, 광석광물로는 함코발트광물 (비독사석, 휘코발트석, 글로코도트), 함코발트 유비철석과 소량의 황화광물 (자류철석, 황동석, 황철석, 섬아연석) 및 미량의 산화광물 (자철석, 적철석)이 산출된다. Rb-Sr 절대연령 측정 결과, 화강암의 관입 및 이와 관련된 광화작용은 후기 백악기 (85.98 Ma)에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산출광물종은 다소 복잡한 양상을 보이며, 시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액티놀라이트, 탄산염광물 및 석영에 수반되는 함코발트 광물의 정출 (광화시기 I, II)${\rightarrow}$석영에 수반되는 황화광물, 금 및 산화광물의 정출 (광화시기 III)${\rightarrow}$탄산염광물의 정출(광화시기 IV, V). 고온성 광물 (함코발트 광물, 휘수연석, 액티놀라이트)과 더불어 저온성 광물 (황화광물, 금, 탄산염광물)이 산출되는 점으로 보아 열수광화작용은 xenothermal 환경에서 형성되었다. 화강암은 특징적으로 높은 코발트 함유량 (평균 50.90 ppm)을 나타내며, 이는 코발트가 냉각하는 화강암 암주에서 기원하였음을 지시한다. 반면, 건천리층 셰일의 높은 동 및 아연 함유량은 이들 원소가 주로 셰일로부터 유래되었음을 지시한다. 열수용액의 온도 감소와 더불어 산소분압이 감소 (광화 I, II기의 코발트광물 형성, $T=560^{\circ}C-390^{\circ}C$, log $fO_2=$ > -32.7 to -30.7 atm at $350^{\circ}C$; 광화 III기의 황화광물 형성, $T=380^{\circ}-345^{\circ}C$, log $fO_2={\geq}-30.7$ atm at $350^{\circ}C$함은 열수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기 마그마성 계로부터 천수로 지배되는 열수계로 전이되었음을 나타낸다. 광화 II기의 유황 동위원소 값은 초기 함코발트 열수 용액이 화성기원 ($${\delta}^{34}S_{{\Sigma}S}{\sim_=}3-5$$‰)으로부터 기원하였음을 증거한다. 열수용액의 ${\delta}^{34}S_{H_2S}$ 값은 광화 II기의 코발트 형성기 (3-5‰)로부터 황화광물 형성 시기인 광화 IV기 (최대 약 20‰)까지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후기로 갈수록 천수가 우세한 열수계로 진화하면서 주위의 퇴적암을 순환하는 과정에 동위원소적으로 무거운 유황 (퇴적기원의 황산염)과 천금속 (Cu, Zn 등) 및 금을 용해, 농집시켰음을 시사한다. 후기에 천수의 유입이 없었더라면, 보국 광상은 단순히 액티놀라이트 + 석영 + 함코발트 광물로 구성된 광맥으로만 형성되었을 것이다. 또한, 마그마 기원의 열수계가 형성된 이후에 천수 순환계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고온 광물과 저온 광물이 함께 산출되는 xenothermal 한 광상의 특성을 나타내게 되었다.

  • PDF

대봉 금-은광상에 대한 유체포유물 및 안정동위원소 연구 (Stable Isotope and Fluid Inclusion Studies of the Daebong Gold-silver Deposit, Republic of Korea)

  • 유봉철;이현구;김상중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6호
    • /
    • pp.391-405
    • /
    • 2003
  • 대봉 금-은광상은 선캠브리아기 경기육괴의 호상 또는 화강편마암내에 발달된 단열대(NE, NW)를 따라 충진한 중열수 괴상석영맥광상이다. 광석광물의 산출조직과 공생관계에 의하면, 이 광상의 광화작용은 여러번의 단열작용에 의해 형성된 괴상백색석영맥(광화I시기)과 투명석영시기(광화II시기)로 구성된다. 광화I기는 3회의 substages로 구분된다. 각 substage의 광석광물은 다음과 같다: 1) 광화I시기 조기=자철석, 자류철석, 유비철석, 황철석, 섬아연석, 황동석, 2) 광화I시기 중기=자류철석, 유비철석, 황철석, 백철석, 섬아연석, 황동석, 방연석, 에렉트럼과 3) 광화I시기 말기=황철석, 섬아연석, 황동석, 방연석, 에렉트림, 휘은석. 광화II시기의 광석광물로는 황철석, 섬아연석, 황동석, 방연석 및 에렉트럼이 관찰된다. 유체포유물의 체계적 연구에 의하면, 물리-화학적 상태가 상반되는 유체가 관찰된다: 1) 광화 I시기 조기와 중기 광석광물 정출과 관련된 $H_2O-CO_2-CH_4-NaCl{\pm}N_2$ 유체(조기=균일화온도: 203∼388^{\circ}C$, 압력: 1082∼2092 bar, 염농도: 0.6∼13.4wt.%, 중기=균일화온도: 215∼280^{\circ}C$, 염농도: 0.2∼2.8wt.%), 2) 광화I시기 말기와 광화II시기 광석광물과 관련된 $H_2O-NaCl{\pm}CO_2$ 유체(광화I시기 말기=균일화온도: 205∼2$88^{\circ}C$, 압력: 670bar, 염농도: 4.5∼6.7wt.%, 광화II시기=균일화온도: 201∼358^{\circ}C$, 염농도: 0.4∼4.2wt.%)이다. 광화I시기 조기의 $H_2O-CO_2-CH_4-NaCl{\pm}N_2$계 유체는 유체압력의 차이에 의해 CO_2$ 상분리가 일어났으며 광화작용이 진행됨에 따라 $H_2O-NaCl{\pm}CO_2$계 유체로 진화되었다. 또한 여기에 기원이 다른 $H_2O$-NaCl계 유체의 유입에 의해 혼입 및 희석작용으로 염농도의 감소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광화II시기 좀더 가열된 $H_2O-NaCl{\pm}CO_2$ 계 유체는 불혼합, 희석 및 냉각작용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열수용액의 {\gamma}^{34}$S__{H2S}$ 값은 3.5∼7.9{\textperthansand}$로서 황은 주로 화성기원이지만 부분적으로 모암내의 황에서도 기원되었다고 생각된다. 광화유체의 산소({\gamma}^{18}O_{H2O}$)와 수소({\gamma}$D)안정동위원소값이 광화I시기에는 각각 11∼9.${\textperthansand}$, -92∼-86${\textperthansand}$, 광화 II시기에는 각각 0.3${\textperthansand}$(${\gamma}^{18}O_{H2O}$),-93${\textperthansand}$({\gamma}$D)이며, 리본-호상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대봉광상의 광화유체에 대한 기원과 진화과정을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1) 마그마유체로부터 광화작용이 진행됨에 따라 계속적인 순환수의 혼입이 있었으며 2) 조기 마그마${\pm}$변성유체에서 유체압력의 차에 의해 $CO_2$ 상분리와 더불어 계속적인 ${\gamma}$D가 높은 순환수의 혼입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