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king rate

검색결과 424건 처리시간 0.021초

굴과 굴 자숙액을 이용한 가수분해 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Hydrolysis Using Oyster and Oyster Cooking Drip)

  • 유태현;김진희;신지영;김성훈;양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95-800
    • /
    • 2015
  • 굴은 영양학적으로 뛰어난 식품이다. 또한 굴은 소스를 만드는 좋은 원료로 사용되어 진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굴과 굴 자숙액을 이용하여 좋은 맛과 풍미를 나타내는 아미노산 조성을 가지기 위한 가수분해 조건과 생성된 가수분해물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효소는 상용되고 있는 것으로 Acalase, Flavourzyme, Neutrase 와 Protamax가 사용 되었다. 효소활성이 최대가 되는 조건은 각 회사에서 주어진 것을 이용하였다. 각 효소들의 최적 조건하에서 균질화된 굴과 굴 자숙액은 0.5, 1.0,1.5, 2, 4, 6시간 동안 반응 시켰다. 굴의 가수분해도는 13.2±0.1%이었지만, 효소를 사용한 경우에는 2시간까지는 가수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여 29.9-32.7%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8시간 후에는 36.9-40.5% 범위를 나타내었다. 효소 중에서는 Protamax가 2시간 이내에는 27.4±0.4%의 가수분해율을 나타냈었다. 굴 자숙액의 경우 초기의 가수분해율이42.7±0.1%이었고, 가장 높은 가수분해물의 Protamax를 사용한 것으로 가수분해율은 72.1±0.1%이었다. 굴은 모든 효소에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지만, 굴 자숙액은 효소 별 차이가 있었다. 가장 높은 가수분해율을 보이는 Protamax를 사용한 경우, 아미노산의 조성을 분석해 보면, 6시간 가수분해한 것이 최상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효수분해 반응의 적합한 시간과 아미노산의 함량을 비교하여 판단하였을 때, 6시간 가수분해한 것이 최적의 조건으로 판단되었다.

조리방법이 꽁치(Cololabis seira)의 고도불포화지방산 및 주요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oking Methods on Composition of Polyunsaturated and Other Fatty Acids in Saury (Cololabis seira))

  • 김정희;김충기;권용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19-923
    • /
    • 1999
  • 꽁치의 가식부를 가정에서 쓰이고 있는 조리방법 (pan frying, deep fat frying, steaming, microwave cooking)으로 조리를 한 후에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꽁치의 총지방질 함량은 $21.87%{\sim}30.63%$로 개체마다 차이가 있었지만, 지방산 조성 (평균값)은 $C_{22:1}\;(21.75%)>C_{20:1}\;(15.81%)>C_{16:0}\;(11.75%)>C_{22:6}\;(DHA,\;10.61%)>C_{14:0}\;(7.04%)>C_{20:5}\;(EPA,\;5.13%)$ 등의 순으로 주요 지방산을 구성하고 있었다. SFA에 대한 PUFA의 조성비는 1.07이었고, n-6 계열 PUFA에 대한 n-3 계열 PUFA의 조성비는 9.15로 꽁치는 n-3 계열 PUFA의 주요 공급원임을 보여 주었다. 조리를 한 후, 대표적인 n-3 계열 PUFA인 EPA와 DHA의 조성비 변화를 살펴보면 EPA는 pan frying한 후에는 6.98%, deep fat frying한 후에는 26.93%, steaming한 후에는 1.16%, microwave cooking한 후에는 15.12% 감소하였다. DHA역시 pan frying한 후에는 4.30%, deep fat frying한 후에는 15.99%, steaming한 후에는 3.26%, microwave cooking한 후에는 9.56% 감소하였다. 본 실험 결과 steaming 조리한 경우에서 EPA와 DHA 모두 가장 적은 감소율을 나타내었고, pan frying, microwave cooking, deep fat frying 순으로 감소율이 커졌다.

  • PDF

조리 온도와 조리 방법에 따른 돼지고기 뒷다리살의 물리 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차이 비교연구 (Effect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and Temperatures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Pork Hams: Ocoo, Sous-Vide, steaming, and boiling)

  • 전민선;심제원;윤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09-316
    • /
    • 2013
  • Quality changes of cooked meat products are dependent upon cooking temperature and heating methods. Pork ham is the most preferred pork dish using pork hams in South Korea although it is not suited to various cooking methods because its low fat content does not provide desirable physi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to consumer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four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pork legs by comparing Ocoo, Sous-vide, steaming, and boiling technique at $80^{\circ}C$ and $100^{\circ}C$. Ultimately, the most effective cooking method and temperature to improve the quality of cooked pork hams was investigated. As the results of texture analysis, the samples cooked using Ocoo and Sous-vide methods showed higher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than those using steaming and boiling methods. For the sensory evaluation, participants liked the hardness, juiciness, chewiness, tenderness of the samples using the OC method, resulting in the highest overall acceptance r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using Ocoo or Sous-Vide cooking methods can improve the quality of cooked pork hams in both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남녀대학생들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지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II. 평가 및 개선방향에 대한 의견을 중심으로 -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Knowledge and Opin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 II. The evaluation and option for improvement on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

  • 이경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83-191
    • /
    • 1993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personal rating reason for preference, and opinion for improvement on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Questionnaire were answered by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t 8 universities in Seoul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General trend of subjects showed preference for traditional food in order of nutrition, appearance, taste, economics, and cooking method. While the value of food itself such as nutrition, appearance, taste was rated high, practical side such as economics, and cooking method was not so agreed. Especially female students set as lower value on cooking method. 2) As a reason for rating it low, male and female students answered without distinction that traditional food are laborious and much time is needed for cooking. 3) For the idea of improving traditional food, all students had same opinion that standardized cooking method should be developed for convenient use at home, and secondly, special salestore of traditional food should be promoted. Particularly more male students had the opinion that traditional cooking method should be succeeded to at home than female students. Summarizing some significant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data, all students prefer traditional food itself relatiovely. But generally they rate it low because traditional food is difficult to cook and there are not so many chances of eating. Therefore, it is regarded that standardized cooking method and promoted special salestore for more chance of eating will activated the interest of young generation, and hence contribute to succession of tradition.

  • PDF

가열처리방법에 따른 쇠고기 등심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Changes of Beef Loin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 양종범;이경혜;최성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68-375
    • /
    • 2012
  • 쇠고기 등심을 섭취할 때에 동물성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가열처리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쇠고기 등심을 삶기, 찌기, 굽기 및 튀기기의 방법으로 가열처리한 후,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열처리에 따른 가열감량, 탈수량 및 탈콜레스테롤양은 튀기기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탈유량은 삶기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시료의 pH는 찌기 처리구에서, 시료로부터 추출한 지질의 산가는 삶기 처리구에서 그리고 굴절율은 튀기기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시료의 경도, 점착성 및 저작성은 가열처리에 의하여 크게 증가하였는데, 경도는 찌기 처리구에서 점착성과 저작성은 튀기기 처 리구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탄력성은 가열처리에 의하여 감소하였으며, 응집성은 가열처리에 의하여 거의 변화가 없었다. CIE $L^*$ 값은 가열처리에 의하여 증가하였는데 삶기 처리구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CIE $a^*$ 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는데 삶기와 찌기 처리구에서 크게 감소하였으며, CIE $b^*$ 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가열처리 방법에 따른 시료의 지방산 조성은 튀기기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므로 쇠고기 등심을 섭취할 때, 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줄이기 위한 가열처리 방법은 삶기가 효과적이라고 생각되지만 기호적인 가치 등을 고려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보리의 이화학적 특성과 취반성에 관한 연구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oking Qualities of Barley)

  • 장학길;정일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816-821
    • /
    • 1994
  •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oking qualities of six cultivars of covered barley, four malting barley and six naked barley were investigated. The 1, 000 kernel weight was heavier in the malting barley and ash content was the highest in covered barley. The varietal variation of amylose content was 17.7 to 20.2%. $\beta$-Glucan viscosity was generally lower in the malting barely, and varied greatly among barley cutivars with 2.16 to 8.47 cSt. The pearling rate was highest in naked barley with a mean of 75.5% and protein content of aw and pearled barel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cultivars. In the cultivars tested, Doosan 8, Youngsan and Iri 5 showed the higher milling rate. Amylose patterns showed that the covered barley cultivars has lower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higher peak height and height at 50 $^{\circ}C$ than the malting and naked barley. The water absorptions were highest in covered barley cultivars , and lowest in naked barley cultivars. The soluble solid was highest in naked barley cultivars.

  • PDF

취반중 쌀의 수분 흡수 및 열수 가용성화 특성 (Hydration and Hot-water Solublilization of Milled Rice During Cooking)

  • 강길진;노일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02-508
    • /
    • 1998
  • 우리나라 쌀로서 계통이 다른 일반계와 통일계 쌀의 취반 및 가공 적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취반 중 백미의 수분 흡수 특성과 열수 가용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100^{\circ}C$에서 취반 중 백미의 수분 흡수 속도는 일반계가 $0.43{\sim}0.47m^{-1/2}$이고 통일계가 $0.49{\sim}0.53m^{-1/2}$로서 일반계가 통일계보다 더 느린 속도로 일어났다. 쌀의 취반에 따른 열수 가용화 특성은 가용성 물질 뿐만 아니라 가용성 아밀로오스 모두 통일계 쌀이 일반계 쌀보다 더 빠른 속도로 가용화가 일어났다. 가용성 물질에 대한 가용성 아밀로오스의 비율은 취반 30분 후에 일반계 쌀이 $51{\sim}55%$, 통일계 쌀이 $44{\sim}48%$로서 일반계 쌀이 다소 높았으며, 30분 이전까지는 그 비율이 점차 감소하였으나 30분 이후에는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취반 중 백미의 수분 흡수 및 열수 가용화 특성은 취반 및 가공 적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Limiting Pink Discoloration in Cooked Ground Turkey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Sodium Tripolyphosphate Produced from Presalted and Stored Raw Ground Breasts

  • James R. Claus;Jong Youn Je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331-345
    • /
    • 2023
  • The effects of pink inhibiting ingredients (PII) to eliminate the pink color defect in cooked turkey breast produced from presalted and stored raw ground turkey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sodium tripolyphosphate (STP) were examined. Ground turkey breast was mixed with 2% sodium chloride and vacuum packaged. After storage for 6 d, ten PII were individually incorporated without or with added STP (0.5%) as follows: none (control), citric acid (CA; 0.1%, 0.2%, 0.3%), calcium chloride (CC; 0.025%, 0.05%),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disodium salt (EDTA; 0.005%, 0.01%), and sodium citrate (SC; 0.5%, 1.0%). Treatments were cooked at a fast or slow cooking rate, cooled, and stored before analysis. All PII tested were capable of lowering inherent pink color compared to the control (No STP: CIE a* pooled day reduction of 23.0%, 5.2%, 12.6%, and 12.6% for CA, CC, EDTA, and SC, respectively; STP: reduction of 21.5%, 17.4%, 6.0%, and 18.2% for CA, CC, EDTA, and SC, respectively). For samples without STP, fast cooking rate resulted in higher CIE a*. However, slow cooking resulted in more red products than fast cooking when samples included STP. Presalting and storage of ground turkey caused the pink discoloration in uncured, cooked turkey (CIE a* 6.24 and 5.12 for without and with STP). This pink discoloration can be decreased by inclusion of CA, CC, EDTA, or SC, but incorporation of CA decreased cooking yield. In particular, the addition of SC may provide some control without negatively impacting the cooking yield.

쌀의 취반 및 식미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취반 시 쌀의 배유 조직의 변화 (Physicochemical Factors Affecting Cooking and Eating Qualities of Rice and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Rice during Cooking)

  • 이영은;오스만엘리자베쓰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37-645
    • /
    • 1991
  • Physicochemical factors affecting cooking and eating quality of rice and their mechanisms were investigated. The stickiness of cooked ri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mylose content(r=0.58, p<0.05) and protein content(r=-0.72, p<0.01), but not affected by crude fat content of rice. The ultrastructure of cooked rice grain showed the progressive gelatinization of starch from the periphery toward the center of the endosperm as water and heat energy diffused into. The rate of water diffusion appears to be dependent on the cell arrangement in the endosperm and the protein content of milled rice. Once water and heat reach the starch granules, the rate of in situ gelatinization of starches appears to be dependent on their own gelatinization temperature range and amylose content. Protein acts as a barrier for the swelling of starch and water diffusion in two ways : 1) by encasing starch granules in the starchy endosperm, and 2) by forming a barrier between the subaleurone layer and the starchy endosperm. Therefore, the separation and fragmentation of the outermost layers of the endosperm occurred more easily in the low-protein content rices, and was associated with increases of solids lost in cooking-water at 95$^{\circ}C$ and stickiness of cooked rice.

  • PDF

일반계(천마벼)와 다수계(가야벼) 쌀의 조리특성 (Cooking Properties of Chunmabyeo(Japonica) and Kayabyeo(J/Indica) Rice)

  • 박선희;조은자;김성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9-74
    • /
    • 1987
  • 일반계인 천마벼와 다수계인 가야벼를 이용하여 팥알의 수분흡수속도와 부피증가속도, 침지조건별 가열시 호화도 및 취반속도를 구하여 일반계와 다수계 쌀의 조리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수분흡수량과 부피증가량은 모두 침지시간의 평방근과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고, 동일한 침지온도와 침지시간에서는 부피증가량이 수분증가량 보다 많았다. 쌀의 조리중 호화도는 무침지한 것보다 침지한 것이 더 빨랐으며, $120^{\circ}C$에서의 취반속도는 100%에 비하여 천마벼가 1.79배, 가야벼가 1.83배 높았다. 수분흡수량, 부피증가량, 쌀의 조리중 호화도 및 취반속도는 모두 다수계인 가야벼가 일반계인 천마벼 보다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