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oked characteristics

Search Result 70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잡곡을 이용한 압출면의 제조와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e of Extruded Noodles Mixed with Cereals)

  • 황인국;정헌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85-69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잡곡을 원료로 압출성형공정을 이용하여 압출면을 제조하고 삶음 후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잡곡 압출면의 삶음 후 중량, 수분흡수율, 부피는 각각 52.40~54.14 g, 161.74~170.16% 및 49.00~52.00 $m{\ell}$로 대조구에 비해 낮았고, 국물의 탁도는 0.60~0.87로 높게 나타났다. 삶음 전 잡곡 압출면의 색도는 대조구에 비해 L, b값은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였으며, 삶음 후 L값은 증가하고, a와 b값은 감소하였다. 잡곡 압출면 EN-2과 EN-3의 견고성, 부착성, 탄력성, 씹힘성, 검성, 응집성은 대조구와 유사한 조직감 특성을 보였다. 잡곡 압출면 EN-1의 외관, 풍미, 씹는 동안의 조직감, 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낮게 평가되었지만, N-2와 EN-3은 유사한 관능특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압출성형공정을 이용한 잡곡 압출면의 제조가 가능하며, 잡곡 압출면 제조시 녹두 첨가는 잡곡 압출면의 관능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 of Egg Albumen, Vegetable Oil, Corn Bran, and Cooking Method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Nugget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Pathera, Ashok Kumar;Riar, Charanjit Singh;Yadav, Sanjay;Singh, Pradeep Kumar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901-911
    • /
    • 2018
  •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used to study the effect of egg albumen (5-15 g), vegetable oil (5-15 g), and corn bran (5-15 g) on sensory and textural (firmness and toughness) quality of chicken nuggets cooked by the oven, steam, and microwave methods. The egg albumen and vegetable oil had a positive linear effect but corn bran had a negative linear effect at p<0.01 on sensory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of nuggets. Firmness and toughness score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p<0.01) with the increase in corn bran level in the formulation. The optimum level of egg albumen, vegetable oil, and corn bran were obtained and validated. Cooking methods also affected the sensory and textural quality of nuggets. Steam cooked nuggets had higher values of sensory scores than oven and microwave cooked nuggets. Oven cooked nuggets showed higher values of firmness and toughness than steam and microwave cooked nuggets.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mulsion based meat products can be enriched with dietary fiber source like corn bran without compromising the sensory and textural quality of the products.

파보일미(Parboiled rice)의 이화학적 특성 -III. 파보일미(추청벼)의 취반 및 노화특성- (Cooking Characteristics and Firming Rate of Cooked Parboiled Rice)

  • 이명선;조은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6-53
    • /
    • 1996
  •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and cooking properties of parboiled rice, choochung paddy processed to parboiled rice by three methods (PL, PT, PA) milled and examined hydration, cooking qualities and firming rate of cooked parboiled rice.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The longer the steaming time during parboiling the larger EMC of soaked parboiled rice. Water uptake rate constants (k) of all the parboiled rice during soaking except for PT rice were generally increased than those of raw rice. The longer the steaming time during parboiling the greater volume increase rate constants ( $k_{v}$) of parboiled rice samples. The glelatinization temperature of parboiled rice flour by DSC was more increased than that of raw rice flour. Gelatinized entalpy was decreased and gelatinization content (%SG: degree of starch gelatinization) was increased by parboiling process. In cooking tests, parboiled rices were harder than raw rice and softness (reciprocal of hardness) was greater PT30, PA, PL30 in turns the cooking time of the parboiled rice took longer 3-10 min than that of raw rice, PL30 took longer time than anyother rices. Cooking water of parboiled rices could be observed lighter turbidities than that of raw rice. Firming rate constants of cooked rice during storage 24 hours were generally decreased by parboiling-processing. The time constants, reciprocal of firming constants of cooked PL30 rice were 2 times slower than those of cooked raw rice.e.

  • PDF

굴 자숙향의 발현성분 (The Precursors and Flavor Constituents of the Cooked Oyster Flavor)

  • 강진영;노태현;황석민;김영아;최종덕;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06-613
    • /
    • 2010
  • In order to elucidate a mechanism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odor characteristics of cooked, desirable-flavored shellfish, oysters were extracted using various solvents and the resulting extracts were evaluated organoleptically after cooking. The 80% aqueous methanol extract was found to produce a desirable cooked flavor. This oyster extract was fractionated using ion-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and dialysis, and each of the fractions was subjected to cooking, followed by organoleptic evaluation. The outer dialysate fraction such as acidic and amphoteric water-soluble fractions produced a cooked oyster flavor.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identified from cooked oyster included 29 hydrocarbons, 20 alcohols, 16 acids, 12 aldehydes, nine nitrogen-containing aromatic compounds, eight ketones, five furans, three esters, three phenols, and one benzene.

쌀 품질 고급화 및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육종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in Varietal Improvement of Rice Cultivars for High-Quality and Value-Added Products)

  • 최해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
    • /
    • pp.15-32
    • /
    • 2002
  • 1980-'90년대에 쌀의 자급생산이 지속되고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양질미 수요가 점증되면서 자포니카 다수성 품종의 미질 개선에 힘을 크게 기울이게 되었고 식미향상을 위한 육종연구 와 효율적 평가 기술개발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어 쌀의 이화학적 특성과 식미 및 밥 물리성간 상관과 식미의 객관적 평가방법 개발, 양식미 쌀 및 가공적성 특수미 개발 등 그 동안 많은 연구성과를 올리게 되었다. 1990년대에 밥맛이 매우 좋은 고품질 자포니카 품종과 대립, 심백미, 향미, 유색미 등 가공용 특수미 품종을 개발 보급하였고 식미와 용도에 대하여 식미검정계, 신속점도측정계 및 texture 분석계 등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최근에는 아밀로스 함량이 9%로 찹쌀과 맵쌀의 중간 성질을 가진 중간찰 품종인 '백진주벼'와 배유가 보얀 멥쌀인 '설갱 벼'를 비롯하여 라이신 함량이 높은 '영안벼' 육성하여 쌀의 가공 이용성과 기능성을 한층 높혀 놓았다. 식미와 여러 가지 미질 특성간 관련성에 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쌀의 상온흡수율 및 최대흡수율은 K/Mg율 및 알칼리 붕괴도와 유의한 부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가열흡수율이 높은 품종일수록 밥의 용적팽창률이 컸다. 수분함량이 낮은 경질인 쌀일수록 침지 20분 후의 상온흡수율과 최대흡수율이 더 높은 경향이었으며 이러한 흡수 특성은 쌀 단백질 함량이나 아밀로스 함량 및 식미와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취반 적정가수량은 품종에 따라 마른 쌀 무게의 1.45-l.61배의 변이를 나타내었고 평균은 1.52배였으며 알맞게 취사된 밥의 부피는 평균 쌀 부피의 2.63배가되었다. 쌀 형태, 알칼리붕괴도, 호응집성, 아밀로스 및 단백질 함량은 거의 비슷하지만 식미에 차이가 있는 자포니카 품종들을 사용하여 식미와 관련된 쌀의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밥의 윤기와 식미 총평은 생산 연도에 따라 호화점도 특성 중 최고점도, 최저점도 및 응집점도와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밥맛이 가장 좋은 일품 벼는 쌀의 외층에 아밀로스 함량 분포가 낮고 쌀을 열탕에 담근 20분간 우러난 용출액의 요드 정색도가 낮고 증가정도도 완만하였다. 일품 벼는 밥맛이 떨어지는 동해 벼에 비해 밥알 횡단면의 주사형 전자현미경 사진에서 밥알 외층의 호화전분의 그 물망이 매우 치밀하고 속층의 전분립의 호화정도가 양호하였다. 식미총평은 식미관련 이화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이용한 중회귀식에 의해 매우 높은 결정계수로 추정이 가능하였다. 밥노화의 품종간 차이는 α-amylase-iodine 법으로 비교할 수 있었는데 노화정도가 적었던 품종은 일품벼, 추청벼, 사사니시끼, 진부벼 및 고시히까리였다. 통일형 품종인 태백벼와 자포니카 품종 중 섬진벼가 비교적 밥노화가 빨랐다 일반적으로 밥맛이 좋은 품종이 밥의 노화정도가 느렸으며 찬밥의 탄력성이 큰 경향이었다. 또한 밥노화가 느렸던 품종은 최저점도가 높았고 최종점도가 낮았다 찬밥의 탄력성은 쌀의 마그네슘함량과 밥의 용적팽창률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식은밥의 더운밥 대비 경도 변화율은 취반용출액의 고형물량과 취반용적 팽창률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식미관련 주요 이화학적 특성은 밥의 노화와도 직접 간접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쌀의 여러 가지 식품 가공적성과 관련된 형태 및 이화학적 특성은 가공식품 종류에 따라 매우 다르다. 쌀 튀김성은 호응집성이 연질이거나 아밀로스 함량이 낮을수록 양호하며 지질함량이나 단백질 함량이 높으면 좋지 않은 경향이다. 심복백정도가 심할수록 튀김현미 정립률이 떨어지며 현미 강도가 높을수록 튀김률은 높은 경향이었다 쌀국수는 밀가루와 50% 혼합시에 쌀의 칼륨 및 마그네슘 함량이 높은 품종일수록 제면 총평이 낮은 경향이었고 제면이 양호한 것이 국수물의 용출고형 물량이 적은 경향이었다. 쌀빵 가공적성은 품종에 따라서 현미와 백미간에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 있는데 현미에서 반죽의 부피 증가율이 큰 쌀일수록 푹신한 감이 있는 쌀방 제조가 가능하였으며 백미에서 단백질 함량이 높은 품종일수록 쌀빵이 더욱 촉촉한 느낌이 있는 경향이었다. 아밀로스 함량이 높고 호응집성이 경질인 쌀일수록 쌀빵의 탄력성이 더 높은 경향이었다. 쌀의 발효 및 양조적성은 심복백이 심한 쌀이나 새로운 돌연변이인 뽀얀 멥쌀이 홍국균이나 홍국균의 균사활착 밀도가 높고 당화 효소 역가도 높은 경향이었으며 쌀알이 대립이면서 단백질 함량이 낮은 쪽이 양조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찰벼 품종도 여러 가지 이화학적 특성과 전분구조 특성의 차이에 따라 9개의 품종군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을 만큼 품종적 변이가 크며 이들 이화학적 및 구조적 특성간에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유과·인절미·식혜ㆍ미숫가루 등에 상당한 가공적성의 차이를 보였다. WTO 체제 출범이후 생산비와 가격 면에서 경쟁력이 약한 우리 쌀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품질의 고급화와 쌀 가공식품의 다양화 및 고기능성 개발을 추구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노력은 벼 품종개발만으로 소기의 성과를 올리기 어렵고 쌀 식품의 고급화 및 다양화를 위한 여러 분야의 긴밀한 연구협력이 수반되지 않으면 안 된다.

취반 재고미를 청가하여 제조한 저지방 분쇄우육의 관능검사 및 물성학적 특성 (Sensory and Instrumental Texture Characteristics of Low Fat Ground Beef Manufactured with the Addition of Cooked Old Rice)

  • 황기;하영득;김혁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68-672
    • /
    • 1996
  • 10% 지방육은, 풍미, 단단함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10% 지방에 재고미 5%를 첨가한 육은 풍미, 입자 크기, 단단함, 전반적 적성은 좋게, 다즙성, 연도는 재고미의 첨가량이 더 많은 육과 30% 지방육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0% 지방에 10% 또는 20%의 재고미가 첨가된 육은 다즙성, 연도, 입자 크기, 전반적 적성은 좋게, 풍미, 단단함 등은 낮게 나타났으며 30% 지방육은 풍미, 다즙성, 연도, 단단함은 좋게, 입자 크기, 전반적 적성은 좋지 않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재고미를 다량(20%) 혼입하는 것은 전반적 적성을 감소시켰지만 5% 혹은 10% 수준의 재고미를 혼합하는 것은 재고미의 적절한 소비를 꾀하면서 열량 감소, 지방 제거시 잃기 쉬운 육의 풍미, 다즙성, 전반적 적성의 유지 등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관능 검사 결과 10% 지방에 5%와 10%의 재고미가 첨가된 우육이 좋은 평가를 받은 것은 근래 지방 섭취량을 줄이고자 하는 추세에 맞추어 큰 호응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재가열에 따른 벼 품종별 밥의 물리적 품질 특성 (Characterization of Physical Quality of Rice based on Reheating Process)

  • 김현주;우관식;이석기;이병원;이지혜;이유영;이병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60-765
    • /
    • 2018
  • In order to observe physical properties of rice depending on reheating, the study cooked rice developed for high quality cooked rice and analyzed physical properties of rice depending on reheating following 24 hr refrigeration. As a result of palatability of cooked rice, Samgkwang had the lowest hardness, while Daebo and Haiami had the highest one. With respect to adhesiveness, toughness and stickiness, Sindongjin exhibited lowest properties. After cooking each rice by cultivars, the study observed their color, texture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immediately after cooking, after 24 hr of refrigeration and further on. Lightness of cooked rice tended to drop because of refrigeration and reheating. Analysis of texture properties after cooking revealed that Haiami marked the highest points in all categories. When stored for 24 hr after cooking, hardness, viscosity and chewiness increased in cooked rice followed by a decrease after reheating. Observation of the microstructure of cooked rice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vealed that Haiami had its particles in the center as closely condensed. It was apparent that all the cultivars formed stoma in an obvious manner because of refrigeration and reheating.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physical properties of cooked rice varied according to reheating after cooking and storage depending on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rice cultivars.

뽕잎분말의 첨가가 국수의 조리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lberry Leaves Powder on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Noodle)

  • 김영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32-636
    • /
    • 2002
  • 뽕잎분말이 국수의 제면과 조리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뽕잎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한 국수를 제조한 후에 색깔, 조직, 조리특성, 관능검사를 실시한 곁과는 아래와 같다. 1. 뽕잎국수의 색깔은 뽕잎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어둡고 진한 녹색을 띠었으며, 이로 인해서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은 감소하였고. 녹색을 나타내는-a 값은 증가하였다. 황색을 나타내는 b값은 모든 뽕잎국수가 대조구보다는 높았으나, 2% 첨가국수에서 가장 높았고 뽕잎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2. 뽕잎분말의 함량이 높은 국수일수록 조리한 면의 중량과 부피가 높게 나타났으며, 조리액의 탁도나 조리손실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뽕잎분말을 첨가한 국수는 대조구와 비교해서 견고성에는 별 차이가 없었으나, 응집성과 탄력성은 떨어지고 부착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관능검사 결과, 뽕잎분말을 4%와 6% 첨가한 국수는 대조구와 비교해서 색상, 조직, 맛, 향에서 비슷한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나, 8%와 10%는 모든 면에서 낮은 점수를 얻었다.

능이버섯 첨가가 우육의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Sarcodon aspratu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ooked Beef)

  • 송영선;이승아;조정원;이종호;조재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66-272
    • /
    • 2001
  • An instrumental analysis of cooked beef was carried out along with sensory evaluation to find out the effect of Sarcodon aspratu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in comparision with kiwi fruit and pea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howed the muscle fiber started to be degraded when treated with Sarcodon aspratus(1,000unit) for 10 min at $25^{\circ}C$. No distinct sarcomere, A-band, and Z-line was observed when treated with Sarcodon aspratus for 60 min at same condition. The moisture content of cooked beef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ment of Sarcodon aspratus, kiwi fruit and pear. In the texture, shear force of cooked beef was de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Sarcodon aspratus, kiwi fruit and pear. In terms of color, L-value was decreased by addition of Sarcodon aspratus, whereas L-value was increased by addition of kiwi fruit and pear in dose-dependent manners. a-value and b-value was de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Sarcodon aspratus, kiwi fruit and pea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in which control was most preferred in taste and flavor. As the content of Sarcodon aspratus, kiwi fruit and pear was increased, the score of juiciness and tenderness was increased. In the overall acceptance, score of 0.05~0.1% Sarcodon aspratus and 10% pear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0.05~0.1% addition of Sarcodon aspratus might be desirable for the improvement of texture and juiciness of cooked beef.

  • PDF

전기보온밥솥으로 보온한 쌀밥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Stored in an Electric Rice Cooker)

  • 이영주;민봉기;신명곤;성내경;김광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87-493
    • /
    • 1993
  • 전기보온밥솥으로 취반한 쌀밥을 온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보온하면서 품질 특성변화를 관능적 방법과 기기적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쌀밥의 바람직한 정도는 보온에 의해 저하되었으며, 특히 $80^{\circ}C$에서 장시간 저장시 뚜렷하였다. 보온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쌀밥의 윤기, 덩어리지는 정도, 부착성, 촉촉한 정도와 단향미는 감소하였으나, 갈변과 이취는 증가하였다. 보온온도가 높을수록 윤기, 경도, 응집성, 촉촉한 정도와 단향미가 감소하였고, 갈색화와 이취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뚜렷하였다. Hunter color value 중의 L값과 b값이 관능검사에 의해 평가된 윤기 및 색깔과 높은 상관관계(r=0.802, r=0.779)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