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olutional network

검색결과 1,575건 처리시간 0.032초

Vehicle Image Recognition Using Deep Convolution Neural Network and Compressed Dictionary Learning

  • Zhou, Yanya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7권2호
    • /
    • pp.411-425
    • /
    • 2021
  • In this paper, a vehicle recognition algorithm based on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compression dictionary is proposed. Firstly, the network structure of fine vehicle recognition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s introduced. Then, a vehicle recognition system based on multi-scale pyrami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s constructed. The contribution of different networks to the recognition results is adjusted by the adaptive fusion method that adjusts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accuracy of a single network. The proportion of output in the network output of the entire multiscale network. Then, the compressed dictionary learning and the data dimension reduction are carried out using the effective block structure method combined with very sparse random projection matrix, which solves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caused by high-dimensional features and shortens the dictionary learning time. Finally, the sparse representation classification method is used to realize vehicle type recogni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detection effect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stable in sunny, cloudy and rainy weather, and it has strong adaptability to typical application scenarios such as occlusion and blurring, with an average recognition rate of more than 95%.

인공신경망 기반의 기타 코드 분류 시스템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Guitar Chords Classification System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 박선배;유도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91-399
    • /
    • 2018
  • In this paper, we construct and compare various guitar chord classification systems using perceptron neural network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without pre-processing other than Fourier transform to identify the optimal chord classification system. Conventional guitar chord classification schemes use, for better feature extraction, computationally demanding pre-processing techniques such as stochastic analysis employing a hidden markov model or an acoustic data filtering and hence are burdensome for real-time chord classifications. For this reason, we construct various perceptron neural networks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that use only Fourier tranform for data pre-processing and compare them with dataset obtained by playing an electric guitar. According to our comparis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provide optimal performance considering both chord classification acurracy and fast processing time. In particular,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exhibit robust performance even when only small fraction of low frequency components of the data are used.

Modeling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based Recommendation System

  • Kim, Tae-Yeun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183-188
    • /
    • 2021
  • Collaborative filtering is one of the commonly used methods in the web recommendation system. Numerous researches on the collaborative filtering proposed the numbers of measures for enhancing the accuracy. This study suggests the movie recommendation system applied with Word2Vec and ensembl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irst, user sentences and movie sentences are made from the user, movie, and rating information. Then, the user sentences and movie sentences are input into Word2Vec to figure out the user vector and movie vector. The user vector is input on the user convolutional model while the movie vector is input on the movie convolutional model. These user and movie convolutional models are connected to the fully-connected neural network model. Ultimately, the output layer of the fully-connected neural network model outputs the forecasts for user, movie, and rating. The test result showed that the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showed higher accuracy than the conventional cooperative filtering system and Word2Vec and deep neural network-based system suggested in the similar researches. The Word2Vec and deep neural network-based recommendation system is expected to help in enhancing the satisfaction while considering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ResNet-50 합성곱 신경망을 위한 고정 소수점 표현 방법 (Efficient Fixed-Point Representation for ResNet-50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강형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8
    • /
    • 2018
  • 최근 합성곱 신경망은 컴퓨터 비전에 관련된 여러 분야에서 높은 성능을 보여 주고 있으나 합성곱 신경망이 요구하는 많은 연산양은 임베디드 환경에 도입되는 것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ASIC이나 FPGA를 통한 합성곱 신경망의 구현에 많은 관심이 모이고 있고, 이러한 구현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고정 소수점 표현이 필요하다. 고정 소수점 표현은 ASIC이나 FPGA에서의 구현에 적합하나 합성곱 신경망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합성곱 계층과 배치(batch) 정규화 계층에 대해 고정 소수점 표현을 분리해서, ResNet-50 합성곱 신경망의 합성곱 계층을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비트 수를 16비트에서 10비트로 줄일 수 있게 하였다. 연산이 집중되는 합성곱 계층이 더 간단하게 표현되므로 합성곱 신경망 구현이 전체적으로 더 효율적으로 될 것이다.

Recognition of Virtual Written Characters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Leem, Seungmin;Kim, Sungyoung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6권1호
    • /
    • pp.3-8
    • /
    • 2018
  • This paper proposes a technique for recognizing online handwritten cursive data obtained by tracing a motion trajectory while a user is in the 3D space based on a 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algorithm. There is a difficulty in recognizing the virtual character input by the user in the 3D space because it includes both the character stroke and the movement stroke. In this paper, we divide syllable into consonant and vowel units by using labeling technique in addition to the result of localizing letter stroke and movement stroke in the previous study.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separated consonants and vowels are converted into image data, and Korean handwriting recognition was performed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fter learning the neural network using 1,680 syllables written by five hand writers, the accuracy is calculated by using the new hand writ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writing of training data. The accuracy of phoneme-based recognition is 98.9%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he proposed method has the advantage of drastically reducing learning data compared to syllable-based learning.

컨볼루션 신경망을 이용한 도시 환경에서의 안전도 점수 예측 모델 연구 (A Safety Score Prediction Model in Urban Environment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강현우;강행봉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8호
    • /
    • pp.393-400
    • /
    • 2016
  • 최근, 컴퓨터 비전과 기계 학습 기술의 도움을 받아 효율적이고 자동적인 도시 환경에 대한 분석 방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분석들 중에서도 도시의 안전도 분석은 지역 사회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더욱 정확한 안전도 점수 예측과 인간의 시각적 인지를 반영하기 위해서, 인간의 시각적 인지에서 가장 중요한 전역 정보와 지역 정보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리는 전역 칼럼과 지역 칼럼으로 구성된 Double-colum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를 사용한다. 전역 칼럼과 지역 칼럼 각각은 입력은 크기가 변환된 원 영상과 원 영상에서 무작위로 크로핑을 사용한다. 또한, 학습 과정에서 특정 칼럼에 오버피팅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학습방법을 제안한다. 우리의 DCNN 모델의 성능 비교를 위해 2개의 SVR 모델과 3개의 CNN 모델의 평균 제곱근 오차와 상관관계 분석을 측정하였다. 성능 비교 실험 결과 우리의 모델이 0.7432의 평균 제곱근 오차와 0.853/0.840 피어슨/스피어맨 상관 계수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그래프 합성곱-신경망 구조 탐색 : 그래프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신경망 구조 탐색 (Graph Convolutional - Network Architecture Search : Network architecture search Using Graph Convolution Neural Networks)

  • 최수연;박종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649-654
    • /
    • 2023
  • 본 논문은 그래프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신경망 구조 탐색 모델 설계를 제안한다. 딥 러닝은 블랙박스로 학습이 진행되는 특성으로 인해 설계한 모델이 최적화된 성능을 가지는 구조인지 검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신경망 구조 탐색 모델은 모델을 생성하는 순환 신경망과 생성된 네트워크인 합성곱 신경망으로 구성되어있다. 통상의 신경망 구조 탐색 모델은 순환신경망 계열을 사용하지만 우리는 본 논문에서 순환신경망 대신 그래프 합성곱 신경망을 사용하여 합성곱 신경망 모델을 생성하는 GC-NAS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GC-NAS는 Layer Extraction Block을 이용하여 Depth를 탐색하며 Hyper Parameter Prediction Block을 이용하여 Depth 정보를 기반으로 한 spatial, temporal 정보(hyper parameter)를 병렬적으로 탐색합니다. 따라서 Depth 정보를 반영하기 때문에 탐색 영역이 더 넓으며 Depth 정보와 병렬적 탐색을 진행함으로 모델의 탐색 영역의 목적성이 분명하기 때문에 GC-NAS대비 이론적 구조에 있어서 우위에 있다고 판단된다. GC-NAS는 그래프 합성곱 신경망 블록 및 그래프 생성 알고리즘을 통하여 기존 신경망 구조 탐색 모델에서 순환 신경망이 가지는 고차원 시간 축의 문제와 공간적 탐색의 범위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우리는 본 논문이 제안하는 GC-NAS를 통하여 신경망 구조 탐색에 그래프 합성곱 신경망을 적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컨볼루션 신경망 기반 유해 네트워크 트래픽 탐지 기법 평가 (Asses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based Malicious Network Traffic Detection Methods)

  • 염성웅;뉘엔 반 퀴엣;김경백
    • KNOM Review
    • /
    • 제22권1호
    • /
    • pp.20-29
    • /
    • 2019
  • 최근 유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탐지하기 위해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론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컨볼루션 신경망 (Convolutioanl 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유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류하는 기법을 소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한다. 이미지 처리에 강한 컨볼루션 신경망의 활용을 위해, 네트워크 트래픽의 주요 정보를 규격화된 이미지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변환된 이미지를 입력으로 컨볼루션 신경망을 학습시켜 유해 네트워크 트래픽의 분류를 수행하도록 한다. 실제 네트워크 트래픽 관련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이미지 변환 및 컨볼루션 신경망 기반 네트워크 트래픽 분류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특히, 다양한 컨볼루션 신경망 기반 네트워크 모델 구성에 따른 트래픽 분류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잔류 합성 곱 신경망 기반의 코골이 식별 방식 (Snoring identification method based on residu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신승수;김형국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74-579
    • /
    • 2019
  • 코골이는 전형적인 수면장애 증상이며 수면 무호흡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코골이의 발생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코골이 식별 알고리즘으로 잔류 합성 곱 신경망을 제안한다. 잔류 학습과 합성곱 신경망을 결합한 구조인 잔류 합성 곱 신경망은 기존의 신경망보다 데이터에 존재하는 특징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코골이 식별 정확도를 향상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한 코골이 식별 알고리즘의 성능이 기존 방식보다 더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Introduction to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using Keras; an understanding from a statistician

  • Lee, Hagyeong;Song, Jongwoo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6권6호
    • /
    • pp.591-610
    • /
    • 2019
  • Deep Learning is one of the machine learning methods to find features from a huge data using non-linear transformation. It is now commonly used for supervised learning in many fields. In particular,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is the best technique for the image classification since 2012. For users who consider deep learning models for real-world applications, Keras is a popular API for neural networks written in Python and also can be used in R. We try examine the parameter estimation procedures of Deep Neural Network and structures of CNN models from basics to advanced techniques. We also try to figure out some crucial steps in CNN that can improve image classification performance in the CIFAR10 dataset using Keras. We found that several stacks of convolutional layers and batch normalization could improve prediction performance. We also compared image classification performances with other machine learning methods, including K-Nearest Neighbors (K-NN), Random Forest, and XGBoost, in both MNIST and CIFAR10 datas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