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ntrol system and monitoring system development

검색결과 944건 처리시간 0.031초

실시간 소전력 감시 및 원격제어용 지능형 콘센트 개발 (Development of Intelligent Outlets for Real-Time Small Power Monitoring and Remote Control)

  • 홍경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69-174
    • /
    • 2023
  • 현재 가정이나 사무실 및 공장 등 전력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체 전력 사용량도 증가하고 있다. 전력사용의 증가는 에너지 절약에 대한 의식 변화가 나타나면서 대기전력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졌다. 가정용 및 사무용 기기는 대기상태에서도 전력을 소모하고 있다. 이에 대기전력의 저감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커지고 있으며 대기전력 1W이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지능형 콘센트는 근거리 무선망을 이용하여 홈네트워크에 연결하고 콘센트에 연결된 램프나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절감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근거리 무선망(Zigbee)를 이용하여 콘센트에 연결된 조명램프나 가전기기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사용량을 원격으로 모니터링 하고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과 지능형 콘센트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하는 지능형 콘센트와 모니터링 시스템은 휴대용 장치(리모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지능형 콘센트는 대기전력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화재 방재 시스템에도 응용 가능할 것이다. 대기하는 전력을 차단 하는 장치는 지능형 콘센트와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를 포함하므로 누전과 화재를 방지할 것이다.

제2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자동 맞춤형 셀프케어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utomated Personalized Self-Care (APSC) Program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 박가은;이해정;강아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535-549
    • /
    • 2022
  • Purpose: The study aimed to design and develop an automated personalized self-care (APSC) program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secondary aim was to present a clinical protocol as a mixed-method research to test the program effects. Methods: The APSC program was developed in the order of analysis,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and was guided by the self-regulatory theory. The content validity, heuristics, and usability of the program were verified by experts and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Results: The APSC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goal setting, education, monitoring, and feedback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phases of forethought, performance/volitional control, and self-reflection of self-regulatory theory. Using the mobile application, the participants are able to learn from educational materials, monitor their health behaviors, receive weekly-automated personalized goals and feedback messages, and use an automated conversation system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self-care. The ongoing two-year study utilizes a mixed method design, with 180 patients having type 2 diabetes mellitus randomized to receive either the intervention or usual care. The participants will be reviewed for self-care self-efficacy, health behaviors, and health outcomes at 6, 12, 18, and 24 months. Participa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will be interviewed about their experiences. Conclusion: The APSC program can serve as an effective tool for facilitating diabetes health behaviors by improving patients' self-care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for self-care. However,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인공부화기의 실시간 중량감지를 위한 로드셀을 이용한 시스템 연구 (Study of system using load cell for real time weight sensing of artificial incubator)

  • 정진형;김애경;이상식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44-149
    • /
    • 2018
  • 인공부화기 내에 종란이 입란하여 18일간 발생기를 거쳐 발육기로 이란을 한다. 발생기 동안 계태아 무게 손실은 곧 기실형성과 상관되며 적당한 기실 형성은 곧 건강한 초생추와 입란 대비 부화율과도 연결된다. 그러나 국내 부화장의 부화기에는 현재 무게를 측정하는 장치 없이 부화실장과 관계자의 경험과 발육기로 이란시 표준 무게 측정으로 결과적 측면을 습득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로 인하여 부화 중 조기 폐사, 약추, 병약한 초생추 발생이 빈번한 실정이다. 종란 중량 감소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발육장치기 안에서의 무게 변화에 따른 병아리 품질과 부화율 성과를 얻는 데에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종란의 크기와 난각질, 노계 군에 따라 수분 손실은 각기 다르다. 발육기 안에서 무게 변화를 실시간 측정하고 그에 따른 환기 변화를 최적화하여 부화율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으며 부화 시 전체 무게의 10~13% 감소를 컨트롤할 수 있는 실시간 측정 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연구를 통한 시스템은 기존의 입란과 이란시 직접적으로 일회성을 체크하는 방식으로 발육 기간 내에는 계태아 수분 증발 측정 제어가 불가능하여 부화율에 영향을 못 미치는 시스템과 달리 아두이노 스케치 보드에 로드셀 4개를 병렬로 연결하고 실시간으로 휴대폰,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해 Hyper-termina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T-command 명령어를 활용하여 정상적으로 연동하였다. 블루투스의 통신속도는 15200으로 설정하여 아두이노와 Hyper-terminal 프로그램의 통신 속도를 맞춰주었다.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여 인공부화기 내의 계태아 무게의 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종란의 부화율 상승 및 건강상태의 향상을 목표로 하였으며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온실 공기유동 계측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evice Measuring Real-time Air Flow in Greenhouse)

  • 노재승;권진경;김유용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0-26
    • /
    • 2018
  • 작물생육의 품질 및 생산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온실 내 환경관리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주로 온실 내 환경분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한 두 지점에 대해서만 측정하여 온실 전체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졌으며 기존 환경데이터 측정방식은 각각의 데이터 로거 및 센서간의 배선들로 인하여 복잡한 시스템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온실 내 설치 된 각 환경센서들로부터 지점별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하여 공기유동흐름을 측정하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CAN 네트워크 통신을 통하여 환경센서들의 배선 토폴로지를 간소화 했으며 프로토콜의 견고함으로 온실 내 모니터링을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 온실 내 공간의 환경요인 분포(온 습도 및 풍속 등)들을 12개 지점에 배치하고 온 습도 및 풍속의 환경 데이터는 상세히 파악할 수 있도록 X, Y, Z 축으로 다수의 측정점(총 36점)을 선정하였다. 데이터 손실 및 다양한 온실조건을 고려하여 비트레이트를 저속 125kbit/s로 구현하여 온실 내 100m 구역내에서 센서를 추가적으로 연장(총 90개)할 수 있도록 구축되었다. 온도, 습도, 일사량, 풍향, 풍속, 대기압 및 강우량 등 측정된 데이터는 LabVIEW에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센서 정보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었다. 온실 내 환경 분포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환경분포를 수평(XZ), 수직(YZ)축으로 가시화 할 수 있으며, 보간의 범위를 원하는 값으로 설정하여 보간 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 추후에 온실 내의 공간에 따라 온도, 습도, 풍속, $CO_2$ 등의 환경 측정 실험을 통하여 CFD 모델링과의 검증 및 비교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evelopment of a Monitoring Equipment of Current and Potential on Power Transmission Line for 66kV

  • Nisiyama, Eiji;Kuwanami, Kenshi;Kawano, Mitsunori;Matsuda, Toyonori;Oota, I.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41-44
    • /
    • 2003
  • We propose portable equipment that monitors current and voltage of high-potential power transmission lines. In the equipment, a current and voltage sensor are attached to an insulator that supports a power transmission line: A clamped to the power line and the detected curren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ground station by a wireless optical link using transmission line is detected by a high resistance element, zinc oxide (ZnO). That acts as a potential divider between the power line and ground. We make an experimental device for 66kV power line and demonstrate that it can monitor currents proposed equipment is small-sized, light, and inexpensive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CT (current transformer) and PT (potential transformer) since it does not require high potential insulators and magnetic cores, further, the equipment is easily installed owing to its small size and its simple structure.

  • PDF

ICT 기반 표고버섯 스마트 재배시설 모델개발 (Development of a smart model for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based on ICT)

  • 김인엽;권형일;황인호;이원호;노종현;최선규;고한규;구창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5-129
    • /
    • 2018
  • ICT 기반의 표고 스마트 재배시설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외부환경 영향을 감소시킨 재배하우스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재배사 내외부에는 재배환경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하였으며 센서에 의해 수집되는 환경변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한 제어반을 제작하였다. 표고재배 환경관리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재배과정 분석을 통해 4가지 과정으로 구분하고 각 과정에 따라 환경제어 모듈을 설계하였다.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PC, 모바일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재배자가 편리하게 재배환경을 관리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버섯을 생산할 수 있는 재배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상용차 오일압력 측정용 압력센서 제작을 위한 레이저용접기술 (Development of Laser Welding Technology for Commercial Vehicle Oil Pressure Sensor)

  • 이영민;김순동;최해운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30권4호
    • /
    • pp.38-43
    • /
    • 2012
  • Using a fiber laser heat source, an oil pressure sensor was fabricated to measure the pressure in commercial vehicles. A stepping motor was used for the rotational and translational motion in the diaphragms and hardware joining. Laser welding process algorism including shielding gas control and vision system was integrated by using LabVIEW software for the high quality welding and in-line monitoring purpose. For the maximum flexibility in pressure transmission to the pressure sensor, thin sheet metal diaphragm, $25{\sim}50{\mu}m$(SUS-316L), was used and the diaphragms were optimally designed with FEM analysis. The welded samples were cross-sectioned the observation showed that the maximum depth ratio was more than seven times of diaphragms. The maximum welding speed was measured to be as high as 50in/mm by the developed automation mechanism. The fabricated prototypes were tested for the proof pressure, spring constant and sealing. The FEM results of spring constant measurement was as accurate as up to 80% of the design value and the sensor was safely operated up to the nominal pressure of 10bars.

반 잠수식 복수부선의 진수설계 (Development of float off Operation Design for Mdlti Semi-submersible Barges with Symmetrical Stability Casings)

  • 양영태;최문길;이춘보;박병남;성석부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2-76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concept and operation results of float-off for FSO (340,000 DWT Class, ELF AMENAM KPONO Project) built on the ground, without dry dock facilities. It was the first attempt to build FSO, completely, on the ground and launch it using DBU (Double Barge Unit, which was connected by rigid frame structure.)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FSO, which are similar to general VLCC type hull, including topside structure, weigh 51,000 metric ton. In order to have sufficient stability during the deck immersion of DBU, while passing through a minimum water plane area zone, proper trim control was completed with LMC (Load Master Computer). The major features of the monitoring system include calculation for transverse bending moment, shear force, local strength check of each connector, based on component stress, and deformation check during the load-out and float-off. Another major concern during the operation was to avoid damages at the bottom and sides of FSO, due to motion & movement after free-floating; therefore, adequate clearances between DBU and FSO were to be provided, and guide posts were installed to prevent side damage of the DBU casings. This paper also presents various measures that indecate the connector bending moment, damage stability analysis, and mooring of DBU during float off.

Worker-Driven Service Development Tool for Smart Factory

  • Lee, Jin-He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7호
    • /
    • pp.143-150
    • /
    • 2020
  • 최근 모바일, 클라우드, 그리고 사물인터넷의 융합으로 다양한 스마트팩토리 서비스가 제공되고, 많은 기업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스템은 근로자 관점에서 구현되지 않았기 때문에 근로자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스마트공장 서비스를 수요자들이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작을 현장 근로자가 직접할 수 있는 개발도구를 구현하였다. 서비스에 사용되는 제조데이터는 제조설비와 연결된 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내에 저장된다. 그리고 플랫폼에 저장된 제조데이터로부터 설비 모니터링, 공정상태분석, 설비 제어 등 다양한 스마트 공장 서비스를 근로자가 직접 드래그앤드롭 방식으로 매우 쉽게 만들 수 있다. 구현된 시스템은 특히 소규모 제조 기업에서 기업의 특정 목적에 맞게 수시로 서비스를 변경해야하는 환경에서 더욱더 큰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현장 근로자의 스마트팩토리 운용 및 활용 능력 향상은 물론 중소기업의 스마트팩토리 인재 양성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력시스템의 실시간 디지털 중앙감시 및 제어장치 개발 (Realtime Digital Monitoring and Controller Development for Power Systems)

  • Jong-Dug Cho;Sun-Hag Hong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2권12호
    • /
    • pp.1517-1522
    • /
    • 2001
  • 기존의 전력 시스템 보호 장치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고성능, 고기능화를 지향하는 전력 설비의 장치로는 동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없으며, 또한 배전용 전력 시스템의 중앙감시 및 제어 장치로 표준화시키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수배전 보호장치와 비상용 발전 설비의 제어장치를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시켜 집약적이고, 고성능의 전력 시스템 감시 및 제어 기능을 갖도록 한다. 전력 시스템의 동작 및 상태(전압, 전류, 전력, 위상 및 주파수)를 실시간 디지털 방식으로 계측하고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감시하고 제어하는 통합 중앙 감시 및 제어장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전력 감시 설비를 마이컴 방식[1,2]을 채택하여 디지털 제어가 가능하며 집약적이고 고성능의 감시 및 제어기능[3]을 갖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