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ract-managed foodservice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1초

영유아 보육시설의 급식 운영 실태 조사 - 충남 아산 지역 중심으로 - (A Survey on the Foodservice Management System of the Child Care Centers in Chungnam Asan Area)

  • 송은승;김은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846-860
    • /
    • 2009
  • We investigated the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various operation types of childcare centers in Asan, Chungnam Province, with the intention of improving the quality of foodservice and providing the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foodservice model system. Self-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directors of 174 child care center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 Ver. 12.0 program. The followings are ab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pproximately 94.8% of the directors were women with the average age of 40.3. All of the investigated facilities executed foodservice; the facilities of 96.2% had been self-operated, 1.9% was contract-managed and the remaining 1.9% served delivered meal from outside. Only 20.0% of the investigated centers employed a dietitian. In most of the centers, meals were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nd approximately 85.3% of the centers are serving only snacks twice a day as a supplementary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Menu planner of the facilities, which have no dietitian was the director (35.8%) or the cook (25.7%). In most centers, the directors purchased the food materials (67.5%). Material inspection was done by the director (54.9%) or the cook (40.5%). However, home care centers did not inspect the food materia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ood service management guidelines need to be established by the facility type with the government control and financial support. Especially, dietitian employment and the efficient foodservice model system establishment are questions that confront us.

영양사 유무에 따른 재가노인 급식서비스 제공기관의 실태 분석 (Analyzing the Operational Differences of Foodservice Center for Homebound elderly by the Presence of the Dietitian)

  • 정현영;양일선;채인숙;이해영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0권2호
    • /
    • pp.197-204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perational difference of foodservice center for homebound elderly by the presence of the dietitian.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measure all variables for menu management and distributed to 103 meal service centers in charge of congregate meal service program and 57 centers for home-delivered meal service program. The data of 160 centers in charge of congregate meal service and home-delivered service centers were usable for analysis.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AS 8.1 package program for descriptive analysis and chi-square test. Only 21.9% meal service centers had dietitians, what is more, they were not professionals who did menu management but foodservice managers, volunteers, cook or social workers. The current foodservice programs for the homebound elderly were operated without professional. In the part of menu managemet, dietitians were more actively involved in menu planning in the elderly foodservice center in the presence of the dietitians. The performance level of healthcare servi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e nutrition education in the elderly foodservice center with the dietitians was more frequently performed than that without the dietitians(p<0.05). In the food purchasing and food production managemen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that in the elderly foodservice centers in the presence of the dietitians, the proportion of the contract purchas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irect purchasing(p<0.01). In food sanitary managemen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shown in the part of management of keeping meal for identifying the cause of food-borne illness and left-over, but the sanitation education for the foodservice employees was performed more frequently by the presence of the dietitians(p<0.01). In conclusion, the foodservice management was more systematically conducted in the elderly foodservice centers in the presence of the dietitians than that without dietitians. The elderly foodservice program has offered the health-related support for homebound elderly. Although there were several problems in elderly foodservice management, the program delivered well-targeted, effective, and efficient nutrition services and wide range of supportive service to the at-risk older population. It needs to be managed by professional for the improvement in the elderly foodservice.

  • PDF

병원급식 위탁관리의 운영 실태조사 (A Study on the Status of Contract Managed Hospital Food Services)

  • 김진수;양일선;김현아;박문경;박수연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9권2호
    • /
    • pp.128-137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contracted hospital food services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beds in hospitals. Thirty six hospitals having more than 100beds in Seoul, Inchon and Kyungkido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surveys.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March and April in 2002. The Questionnaires were mailed to the 36 directors of dietetic departments of the hospitals and 36 managers of contracting patient food services. Statistical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 Win(11.0) for descriptive analysis an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Ⅰ. Hospital perspective : The range covered by contract food service was 63.3% and 36.7% in hospital food services, and medical nutrition services. The patient and employee food services were in 83.3%, and patient food services were in 6.7%. The methods selecting contractors are general, limited, selected and competitive biddings, and private contracts. The responsibility for supervision of contract food services was the dietetic department (51.7%) in most cases. Hospitals having personnel responsible for contracting affairs were in 75.9% of the cases and 24.1% did not have personnel. The biggest reason for contracting was facilitation of personnel management. The most important criteria on selecting food services contractors was the professionality of the contractor. Ⅱ. Contractor's perspective : The cost per meal in the year 2001 was composed of 1,905 won for food cost, 1,081 won for labor cost, 222 won for expenses, 114 won for VAT, 14 won for rent and 146 won for miscellaneous or controllable expense, representing 109 won loss per meal. The profit-and-loss contract cost is higher than the fee-contract cost. The ratios of food cost, labor cost and expenses are higher and the ratios of miscellaneous or controllable expense, VAT, rent and profit are lower in hospitals with more than 400 beds compared with those less than 400 bed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are present between these two groups of hospitals. The actual contract period was 2.2 years upon initial contract and 1.2 years upon renewal. The initial investment cost was 53 million won and the cost of renovation and repair was 8.5 million w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present between two groups of hospitals. The conditions of employment and number of personnel hired by contractors for contract patient food servic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beds.

  • PDF

부산지역 학교급식 영양사의 이벤트 마케팅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평가 (Evalua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by Dietitians about Events Marketing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Busan)

  • 이경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794-1800
    • /
    • 2009
  • 본 연구는 학교급식의 고객만족을 위한 이벤트 마케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부산지역 초-중-고등학교의 영양사 359명을 대상으로 이벤트 마케팅 실시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수행효과, 애로사항 및 개선필요사항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근무유형은 초등학교 46.2%, 중학교30.4%, 고등학교 23.4%였으며, 급식소 운영형태는 직영이 76.1%, 위탁이 23.9%로 나타났다. 학교급식 이벤트 마케팅의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IPA 분석 결과, 중요도는 5점만점에 평균 3.39점, 수행도는 평균 2.78점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비해 수행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중요하게 생각하여 잘 수행하고 있는 이벤트는 계절-명절-절기-환경-학교행사-기념일 이벤트로 나타났다. 초-중-고등학 교별로 살펴본 결과, 초-고등학교의 수행도가 중학교에 비해 유의적(p<0.01)으로 높았다. 특히 중요도는 초등학교에서는 절기, 고등학교에서는 경품과 홍보 이벤트가, 수행도는 초등학교에서는 명절과 절기, 고등학교에서는 세계요리-경품-홍보 이벤트가 유의적(p<0.01)으로 높았다. 운영형태별로 살펴본 결과, 직영 급식소에 비해 위탁 급식소의 수행도가 유의적(p<0.01)으로 높았으며, 특히 중요도는 위탁에서는 학교행사와 건강 이벤트가, 수행도는 직영에서는 절기, 위탁에서는 세계요리?경품?건강 이벤트가 유의적(p<0.01)으로 높았다. 이벤트 실시 효과는 고객만족도 증가와 신뢰도(노력하고 있음을 인정) 증가 순이었다. 이벤트 수행의 애로사항으로 내부요인은 부족한 인력, 예산의 어려움, 이벤트진행 전문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외부요인은 열악한 급식시설, 낮은 식단가, 급식형태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벤트 수행을 위한 필요개선사항은 충분한 예산과 급식인력, 급식시설개선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학교급식 영양사들은 이벤트 마케팅 실시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비해 수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교급식에 대한 선택권이 부족한 학생고객들에 대한 배려와 서비스 제공에 적극 노력하고 외식의 기회가 빈번해짐에 따라 입맛이 다양화되고 고급화된 학생 고객군의 급식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의 하나로 이벤트 실시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에서 나아가 좀 더 적극적으로 이벤트 실시를 계획하여 수행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초등학교에 비해 이벤트 마케팅 수행도가 낮게 나타난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좀 더 적극적이고 새롭고 다양한 이벤트 실시로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즐거움을 줌으로써 학생 고객들과의 관계지행성을 높여 급식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학교급식 고객인 학생들은 인원이 많은 단체급식의 식당에서 시행되는 이벤트에 대해서 호텔이나 패밀리레스토랑과 같은 전문성을 기대하기보다는 맛있고 다양한 메뉴의 음식을 배식원들로부터 친절하게 배식받기를 기대하므로 다수의 인력을 필요로 하거나 과도한 예산을 필요로 하는 이벤트와 같은 양적인 행사진행을 계획하여 고객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을 놓치는 실수를 범하지 말고 다양하고 신선한 메뉴를 맛있게 조리하여 진심으로 환대하는 마음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질적으로 충실한 이벤트 계획에 힘쓰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병원 급식소와 영양사의 특성이 HACCP 선행요건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of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 and Dietitian on Performance of HACCP Prerequisite Program)

  • 송윤지;배현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7-113
    • /
    • 2016
  • 병원 급식소 선행요건 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서울 경인, 대구 경북지역에 위치한 종합병원 규모 100병상 이상 병원 급식소 총 65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통계처리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영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위탁으로 운영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환경관리(p<0.01), 폐기물관리(p<0.05), 세척 소독관리(p<0.05)에 대한 중요도 평가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개인위생관리 영역의 중요도 평가점수는 300병상 미만인 경우가 300병상 이상인 경우에 비해 중요도 점수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또한 영양사의 조리과정 감독시간이 3시간 이상인 경우가 3시간 미만인 경우에 비해 폐기물관리에 대한 중요도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선행요건 수행도 총점을 종속변수로 하고 선행요건 수행도 총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분석된 영양사의 경력과 조리과정 감독시간, 직무만족도와 병원 급식소의 허가 병상 수와 위생기기 보유율 등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5.9%였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0.172, p<0.001). 회귀분석 결과 선행요건 수행도에는 '영양사의 직무만족도(p<0.001)'와 '위생기기 보유율(p<0.05)'이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병원 급식소 선행요건 관리 수행도 향상을 위해서는 영양사의 직무 만족도 향상을 위한 근무조건 개선과 함께 위생관리에 필요한 기기의 적정 확보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단체급식소의 기구등의 살균소독제 사용실태 조사 (Survey on Practical use of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on Food Utensils in Institutional Foodservice)

  • 이유시;이성희;류경;김용수;김형일;최현철;전대훈;이영자;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38-345
    • /
    • 2007
  • 본 연구는 서울지역 학교(위탁, 직영)와 산업체의 단체급식소 125개소를 대상으로 살균소독제 사용자 인식도, 세척제 사용실태, 살균소독제의 사용실태 및 관리여부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 사용 문제점을 파악하고 올바른 사용방법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바람직한 단체급식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 사용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 한시적 인정제도 인식 여부는 학교(위탁) 75%, 학교(직영) 81.8%,산업체급식 50%으로 대부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척과 살균소독의 실시순서는 학교(위탁) 98.6%, 학교(직영) 84.4%, 산업체급식 90%가 세척 후 살균소독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살균소독제 선택 시 중요 요소로는 학교위탁, 학교직영, 산업체급식에서 살균력(38.6%, 28.6%, 38.9%)과 안전성(독성)(32.6%, 46.1%, 33.3%)이 가장 큰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살균소독지침서는 학교위탁 급식 64.8%, 학교직영급식 52%, 산업체급식 73.7%에서 다양하게 소지하고 있었다. 쉽고 실용적인 살균소독 지침서가 개발된다면 지침서대로 실행할 의사가 있는지 여부는 학교위탁급식 92.7%, 학교직영급식 80%, 산업체급식 68.4%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 사용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지만 살균소독제의 1일 평균 사용량이 50 L로 나타나 하루 사용량의 빈도수가 매우 낮았고, 수질(경우, 연수) 및 물의 온도를 고려하지 않은 채 사용하며 살균력이 낮은 알코올계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침서의 절차가 어렵고 복잡하며, 내용을 작업 환경에 적용하기 어려워 쉽고 실용적인 살균소독 지침서가 개발된다면 실행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바른 살균소독제 사용방법으로는 제품의 사용방법에 대해 정확히 숙지하여 사용해야 하고, 반드시 세척 후 살균소독을 하여 세척과 살균을 별도로 실시해야 하며, 사용 기구의 재질별, 식품별, 작업 종류별을 고려하여 살균소독제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살균소독제에 대한 특징 및 사용 방법 등의 살균소독법이 제시되어 있는 사용지침서를 개발하여 단체급식소에서 위생적이고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품영양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만족도 및 평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and Evaluation of Students현 Spot-Practice 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 최미경;전예숙;홍원주;김순경;김동희;김애정;강명화;김미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73-380
    • /
    • 2004
  • 식품영양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도와 평가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찾아봄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한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 조사대상자 중 대학 2학년생이 155명(67.7%), 대학교 3학년생이 14명 (6.1%), 4학년생이 60명(26.2%)이었으며, 남학생은 14명 (6.1%), 여학생은 215명(93.9%)이었고, 실습기관은 학교급식소 89명 (38.9%), 사업체급식소 107명(46.7%), 병원급식소 33명(14.4%)이었다. 실습기간은 1주가 16명(7.0%), 2주가 192명(83.8%), 3∼4주가 21명(9.2%)으로 2주를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었다. 실습 만족도는 실습지원비(1.90$\pm$1.18)와 실습기관의 위치(2.93$\pm$1.29)항목에서 낮았으며, 실습기관의 종류(3.75$\pm$0.88)와 실습기관의 실습관리자(3.63$\pm$1.05)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다. 실습 평가도는 실습에 대한사전 준비 및 계획(3.27$\pm$0.74)과 현장실습이 진로결정에 도움을 주었다(3.61$\pm$1.02)는 항목에서 낮았으며, 실습과제의 수행(4.05$\pm$0.82)과 근무의 성실성(4.02$\pm$0.75)에 대한 평가도는 높았다. 실습기관의 종류와 관리 유형에 따른 현장실습 만족도에서 병원급식소가 학교급식소나 사업체 급식소에 비해 실습기관의 분위기, 실습비, 실습생에 대한 대우 및 처우, 학과 교수의 지도 항목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p<0.03, p<0.05, p<0.05), 직영업체가 위탁업 체보다 실습기 관의 종류 등 총 7개 항목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현장실습 평가도는 학교급식소가 병원급식소에 비해 '나는 실습생으로서 성실히 근무하였다'와 '실습에 필요한 내용을 사전에 준비하고 계획하였다'는 항목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p<0.05), 직영과 위탁의 관리 유형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현장실습 지역과 거주지가 일치한 실습생이 일치하지 않은 실습생보다 실습생에 대한 대우 및 처우 항목의 만족도(p<0.05)와 '실습장소의 정리정돈과 관리에 힘썼다' '조리원들과 친밀해지고 신뢰받게 되었다'는 항목의 평가도(p<0.05, p<0.01)가 유의하게 높았다. 현장실습 기관과 취업 희망기관이 일치한 실습생이 일치하지 않은 실습생보다 실습기관의 종류, 위치 등 총 8개 항목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실습 평가도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현장실습 기간, 실습비, 실습 만족도와 평가도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실습기간은 실습기관의 분위기, 실습생에 대한 대우 및 처우 항목의 만족도와 정의 상관관계(p<0.05, p<0.05)를 보인 반면, '부과된 과제를 수행하는데 최선을 다했다'는 평가도와는 부의 상관(p<0.05)을 보였다. 실습기관으로부터 받은 실습비는 실습지원비, 실습생에 대한 대우 및 처우, 학과 교수의 지도에 대한 만족도(p<0.001, p<0.05, p<0.05) 및 '나는 실습생으로서 성실히 근무했다' 등 총 5개 항목의 평 가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실습 만족도와 평가도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정의 상관을 보여 실습 만족도가 높을수록 평가도도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식품영양학과 현장실습생들은 실습지원비와 실습기관의 위치 면에서 만족도가 낮고 현장실습업무 수행상 실습에 대한 사전 준비 와 계획이 부족하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학교나 사업체 급식소, 직영업체, 실습기관이 거주지역에 있거나 취업 희망기관과 일치 할 경우 실습 만족도가 높았으며, 특히 실습기관이 거주지역에 있거나 취업 희망기관과 일치할 경우에는 현장실습업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품영양학과의 현장실습이 매우 중요한 시점에서 이와 같은 요인들을 고려하여 현장실습의 효율을 높이고 체계화시켜 나가기 위한 학교, 실습기관, 정부 차원의 노력과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