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aware service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32초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CASA 기반의 동적 접근 제어 기법 (A CASA-Based Dynamic Access Control Scheme for Ubiquitous Environments)

  • 김경자;장태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05-211
    • /
    • 2008
  • 기존의 상황 인식 서비스 모델에서는 리소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사용자의 인증으로만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였으나, 사용자의 주변 상황 정보가 빈번하게 변화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상황 변화에 따른 리소스 접근제어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 따라 리소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 동적으로 제어하고자 한다. 접근 제어는 기존의 CASA(Context-Aware Security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하지만 현재 서비스를 받고 있는 사용자라 할지라도 리소스 접근 권한을 제한할 수도 있다. 즉, 주위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사하여 주위 환경에 따라 동적으로 접근 권한을 달리 부여하여 기존의 상황 인식 서비스보다 리소스에 대한 강인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한다.

  • PDF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환경에서의 상황 인식 서비스 진화 (Evolution of Context Aware Services in Next Generation Mobile Service Environment)

  • 배정숙;신경철;이재용;김병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0A호
    • /
    • pp.960-967
    • /
    • 2006
  • 이동통신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유비쿼터스하게 인간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차세대 시스템을 향하여 진화하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요구와 사용자 주변 상황들이 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환경에서 다양한 센서 및 장치 그리고 관련 기술들에 의해 상황 인식(Context Awareness)이 실현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 인식을 바탕으로 차세대 이동통신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와 사용자 주변 상황에 가장 적절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상황 인식 서비스가 핵심 서비스로 부상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들을 연결시켜 주는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환경을 기술한다. 그리고, 이러한 서비스 환경에서 차세대 통합망, 센서 및 센서 네트워킹 기술, 단거리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른 상황 정보수집 범위의 확대, 서비스 이용 범위의 다양성 등에 따라 분류된 상황 인식 서비스의 진화 단계를 제시한다.

다중-워크플로우를 지원하는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언어의 설계 (The Design of a Context-Aware Workflow Language for Supporting Multiple Workflows)

  • 최종선;조용윤;최재영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45-157
    • /
    • 2009
  •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서비스 자동화를 위해 워크플로우 기술을 적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존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언어들은 단일 워크플로우 처리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다수의 워크플로우 조합을 통한 복합적이고 다양한 상황인지 서비스 지원에 제약이 있다. 본 논문은 다수의 워크플로우에 존재하는 개별적인 서비스 흐름을 하나의 워크플로우로 통합 표현할 수 있는 상황인지 기반의 워크플로우 언어인 CAWL (Context-Aware Workflow Language)을 소개한다. CAWL은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결합 가능한 다수의 워크플로우를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의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서비스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개발자는 새로운 워크플로우 개발을 위해 기존에 존재하는 다수의 워크플로우를 다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황인지 워크플로우의 개발 노력을 줄이고 워크플로우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CAWL은 다수의 사용자 워크플로우가 공존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상황인지 서비스 자동화와 관련된 응용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웹서비스 환경에서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아키텍쳐 (Web Services-Adaptable Privacy-Aware Digital Rights Management Architecture)

  • 송유진;이동혁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3-81
    • /
    • 2005
  • Context-Aware환경의 유비쿼터스 시대로 들어서게 되면 기존의 DRM 시스템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서비스 제공상의 어려움 즉, 상황에 따른 서비스 제공, 저작권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문제가 대두될 수 있다. HKUST에서 제안한 웹서비스 DRM 시스템은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상황(Context)변화에 적응하도록 디지털 콘텐츠를 적절하게 가공하여 제공할 수 없으며, 사용자에 대한 프라이버시 보호가 불가능하다. 한편. 네덜란드의 필립스 연구소에서도 DRM 시스템의 프라이버시 문제를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안하였으나 이 논문의 한계점은 사용자와 기기간 전달되는 인증 정보가 노출될 경우 Sniffing/Replay공격이 가능하여 저작권이 획득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유비쿼터스 웹서비스 환경에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DRM 아키텍쳐를 설계하였다. 제안한 아키텍쳐는 상황에 따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고 Context-Aware환경에서 사용자의 익명성을 유지하며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Sniffing/Replay 공격에 안전한 사용자 인증 메커니즘 제공이 가능하다. 본 논문의 결과를 활용하여 상황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관리 및 사용자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웹서비스 DRM 시스템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 PDF

A Recommender System for Device Sharing Based on Context-Aware and Personalization

  • Park, Jong-Hy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4권2호
    • /
    • pp.174-190
    • /
    • 2010
  • In ubiquitous computing, invisible devices and software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to provide convenient services to users [1][2]. Users hope to obtain a personalized service which is composed of customized devices among sharable devices in a ubiquitous smart space (which is called USS in this paper). However, the situations of each user are different and user preferences also are various. Although users request the same service in the same USS, the most suitable devices for composing the service are different for each user. For these user requirements, this paper proposes a device recommender system which infers and recommends customized devices for composing a user required servic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s for recommending devices through context-aware inference in peer-to-peer environments. For this goal, this paper considers the context and user preference. Also I implement a prototype system and test performance on the real ubiquitous mobile object (UMO).

상황 인식 추천 서비스를 위한 온톨로지 이용 OWL 모델링 (OWL Modeling using Ontology for Context Aware Recommendation Service)

  • 장창복;김만재;최의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65-273
    • /
    • 2012
  • 현재 사용자 추천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상황정보 모델링을 통해 사용자에게 맞는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한다. 개인화 추천 서비스를 위해서는 상황인식 기술이 필수적이고, 상황인식을 위해서 상황정보의 적절한 표현 및 정의가 필요하다. 상황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에는 온톨로지 기반 모델이 표현법이 가장 뛰어나고, 널리 쓰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개인화 추천 서비스를 위하여 상황 정보의 OWL 모델링을 통해 상황을 정의하였으며, 상황 추론을 위하여 추론규칙과 추론엔진을 사용한 서비스 기법을 제안하였다.

Ubiquitous 환경에서의 Context-Aware Service를 위한 User Model 설계 (The Design of User Model for Context-Aware Service in Ubiquitous Environment)

  • 박종원;이긍해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45-848
    • /
    • 2004
  • Ubiquitous Computing 환경은 컴퓨터 중심의 환경이 아닌 사용자가 편리성과 효율성이 극대화된 서비스들을 제공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환경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들은 자신의 정보가 언제 어디서 사용되고 있고 어떠한 목적으로 유출되고 있는지 알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를 식별하고 개인의 특성에 따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필요정보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Ubiquitous환경에서 특정목적에 국한된 서비스 제공이 아닌 다양한 목적에 따라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목적과 상황에 맞는 User Model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Context Content를 구별하여 Privacy등급을 결정하고 사용자마다 독립적이고 안전한 Context-Aware Service를 제공하는 User Model은 사용자마다 정해진 정적 Context와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동적 Context를 모두 고려하여 높은 신뢰성과 안전성을 지닌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안된 User Model의 정의와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 PDF

분산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상황 인식 미들웨어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text-Aware Middleware for Distributed Ubiquitous Environments)

  • 김은영;오동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05-114
    • /
    • 2006
  • 상황 인식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여러 가지 상황 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요소 기술이다. 유비쿼터스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기존 미들웨어들은 중앙 집중화된 저장 장치나 DBMS를 이용하여 획득된 상황 정보와 서비스 컨텐츠를 저장 관리하였다. 집중화된 상황 정보 및 서비스 컨텐츠의 관리는 이동 노드의 자율성과 서로 다른 미들웨어 간에 상호 운영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분산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상황 정보를 이동 노드에 분산 관리하고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미들웨어 간에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한다. 이와 더불어 상황 정보의 정의와 서비스의 추론 및 호출을 지원하기 위한 상황 인식 스크립트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응용 시스템을 상황 인식 기반의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나리오에 적용함으로서 유용성을 보이고 있다.

  • PDF

jini 기반의 context-aware chatting program (A Jini-based context-aware chatting program)

  • 박한솔;최태욱;정기동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1177-1180
    • /
    • 2003
  • 차세대 비젼 컴퓨팅 환경인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환경에서는 사용자에 대한 상황(context)변화에 적응적(adaptive)으로 서비스 해줄 수 있는 응용이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Service기반의 분산 네트워크인 JINI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상황을 인식(context-aware)하기 위한 시스템 연구 역시 관심의 대상이라고 한 수 있겠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환경을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행동, 감정상태, 위치와 같은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검색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정보, 활동형태 등의 context들을 질의 할 수 있는 Context-aware 챗팅 프로그램을 기술하고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context 데이터의 표현과 질의를 위해 메타언어인 eXtensible Makup Language (XML)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context-aware system은 편재형 컴퓨팅환경 하에서 사용자에게 유효한 context를 생성 및 관리, 응용 서비스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Framework to Support a Common Way for Context-aware Applications

  • Baek, Jong-Kwun;Jung, Hae-Sun;Jeong, Chang-Sung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79-282
    • /
    • 2007
  •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general way for producing context information to support context-aware applications. It can fetch raw data from the service environments, translate it to reasonable context information, and provide to multiple applications. It is designed originally for the ubiquitous computing middleware and based on the ontology processing model. Automated service applications can use this system as the form of libraries or of web services for deciding its semantic cause of a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