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nts aggregation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7초

향상된 Star Topology Aggregation 기법 (Improved Star Topology Aggregation Scheme)

  • 김남희;조해성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01-60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대역폭과 지연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PG내의 토폴로지 정보를 요약하는 기법으로 라인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경계노드 사이의 다중 경로 정보를 요약하였다. 이를 위해 토폴로지 요약 정보를 줄이고 다중링크 요약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대역폭과 지연의 한 쌍으로 구성된 두 개의 라인 세그먼트를 이용하는 수정된 라인 세그먼트 기법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 분석결과 제안된 star TA 기법이 기존의 기법보다 성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RSS 서비스를 위한 최소 누락 수집 정책 (A Minimum Missing Aggregation Policy for RSS Services)

  • 한영근;이상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5권5호
    • /
    • pp.391-399
    • /
    • 2008
  • RSS는 웹 콘텐츠 배급을 위한 XML기반 포맷으로, 사용자는 RSS 피드 수집기를 통해 RSS 피드를 수집한다. RSS 피드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기 위해서는 RSS 피드에 대한 수집 정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RSS 피드 수집 시에 누락되는 포스팅을 최소화하기 위한 RSS 피드 수집 정책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제안한 수집 정책과 기존 수집 정책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수집 정책은 기존 수집 정책과 비교하여 6%의 수집 지연 증가로 23%의 수집 누락이 감소됨을 실험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사설망인터페이스에서 효율적 스패닝 트리 토폴로지 요약기법 (Efficient Spanning Tree Topology Aggregation Method in Private Networks Interface)

  • 김남희;김변곤;이종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35-42
    • /
    • 2008
  • 본 논문에서 제안된 스패닝 트리 토폴로지 요약기법은 모든 경로를 찾는 대신 홉 카운트 기반의 깊이 우선 방식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다중 경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토폴로지 요약 정보를 줄이고 다중링크 요약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대역폭과 지연의 한 쌍으로 구성된 두 개의 라인 세그먼트를 이용하는 수정된 라인 세그먼트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존의 스패닝 트리 토폴로지 요약에 적용한 효율적인 토폴로지 요약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스패닝 트리 기법과 호 성공율, 접근시간 및 크랭크 백 율에 대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분석결과 제안된 스패닝 트리 토폴로지 요약 기법이 기존의 기법보다 성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MetaGene : SCORM 기반 학습 객체의 메타데이터 생성 및 컨텐츠 패키징 (MetaGene: Metadata Generation and Contents Packaging for Learning Objects based on SCORM)

  • 정영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75-85
    • /
    • 2003
  • 본 연구는 SCORM 기반 학습 객체의 메타데이타 생성 즉 Asset, SCO, Contents Aggregation과 Contents Package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MetaGene)을 개발한다. SCORM 을 지원하는 LMS내 API 어댑터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학습 객체 내에 API 활성화 함수를 내장시키고,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학습 과정을 트래킹 하는 코드도 포함 시킨다. 또한 학습 객체들이 LMS에 전송되게 PIF(Package Interchange File)로 패키징 시킨다. MetaGene에 생성된 학습객체의 메타데이터와 컨텐츠 패키지의 manifest file을 $SCORM^{(TM)}$ Conformance Testsuite을 이용하여 유효성을 검증한다.

  • PDF

식이 지방산이 혈소판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 혈장 Thromboxane B2의 농도 및 혈소판 응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atty Acids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telet Phospholipids, Thromboxane B2 Formation, and Platelet Aggregation in Men)

  • 오은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4호
    • /
    • pp.384-393
    • /
    • 1999
  • The degree of platelet aggregation, thromboxane B2(TXB2)form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telet phospholipids(PL) were investigated in 24 healthy male subjects who for five weeks consumed either corn oil(CO) rich in linoleic acid(LA), perilla oil (PO) rich in $\alpha$-linoleic acid($\alpha$-LAN), or canola oil(CNO) rich in oleic acid(OA) as a major fat source. Total fat intake was 30% of total calories and prescribed oil intake of each dietary group was 50% of the total fat intake. In the CO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ntent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PUFA), n-6 PUFA, n-3 PUFA and eicosapentanoic acid(EPA) were observed, and significantly increased contents of OA and saturated fatty acids(SFA) were observed in platelet PL after 3 weeks and 5 weeks of dietary treatment. In the PO group, contents of OA and docosahexanoic acid(DHA) were increased, and the ratio of n-6/n-3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platelet PL after dietary treatment. The CNO group showed significatnlty decreased contents of PUFA, P/S ratio, n-6 PUFA, LA,(EPA+DHA)/arachidonic acid(AA), and significantly increased SFA contents after 3 weeks of the oil-based diet. The dietary-induced effects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telet PL were observed mostly after 3 weeks of the oil-based diet. The dietary-induced effects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telet PL were observed mostly after 3 weeks. Plasma TXB2 levels were increased after 3 and 5 weeks of dietary treatment. However, only the CO and CNO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plasma TXB2 levles after 3 and 5 weeks of dietary treatment. However, only the CO and CNO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plasma TXB2 levels after 5 weeks of experimental diets, when compared with initial values. Degree of platelet aggregation increased only in the CO group after dietary treatment. As a result, at week 5 the degree of platelet aggregation of the CO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PO and CNO groups. Among the three oil-based diets, the PO-based diet seems to have beneficial effects on atherosclerosis by influencing plasma TXB2 levels and the degree of platelet aggregation, while the CO-based diet showed the most adverse effects. Our results imply that plasma TXB2 levels might be affected by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

  • PDF

사설망 인터페이스에서 토폴로지 요약 테스트를 위한 모의실험기 구현 (Simulator implementation for topology aggregation in private netwoks to networks interface)

  • 김남희;김변곤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1-414
    • /
    • 2006
  • 토폴로지 정보는 망에서 계층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토폴로지 정보를 요약하는 과정을 토폴로지 요약(TA : Topology Aggregation)이라 한다. 이는 라우팅과 네트워크의 확장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사설망 인터페이스(PNNI : Private Networks - Networks Interface)에서 라우팅 알고리즘과 토폴로지 요약 알고리즘은 네트워크의 성능에 중요한 변수가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설망 인터페이스에서 토폴로지 요약을 위한 라우팅 시뮬레이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풀메쉬 토폴로지를 위한 효율적 aggregation 기법 (An efficient aggregation scheme for full mesh topology)

  • 김남희;조해성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6-40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PM망에서 효율적인 full mesh 토폴로지 요약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full mesh 토폴로지 요약기법에서는 모든 경로를 찾는 대신 홉 카운트 기반의 깊이 우선 방식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다중 경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full mesh 기법과 호 성공율, 접근시간 및 크랭크백율에 대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기법이 기존의 기법에 비해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Frame Aggregation 기법을 적용한 IEEE 802.11n 시스템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IEEE 802.11n System adapting Frame Aggregation Methods)

  • 이윤호;김주석;김경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515-527
    • /
    • 2009
  • IEEE 802.11n은 MAC 계층에서 100Mb/s이상의 데이터 처리량을 달성하므로 초고속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차세대 무선랜의 표준으로 각광받고 있다. IEEE 802.11n의 연구 동향은 크게 두 가지로 MAC 계층에서 패킷 간의 결합을 통하여 데이터 처리량을 높인 부분과 PHY 계층에서 다중 안테나 기법을 적용하여 데이터 전송속도를 높인 부분으로 정리된다. 그러나 전자는 무선 채널을 고려하지 않음으로 현실성이 결여되어 있었고, 후자는 패킷 간의 결합을 간과함으로 현실적인 처리량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n 시스템에서 MAC 계층과 PHY 계층의 연동을 고려하여 성능을 분석한다. 또한, MAC 계층에서는 멀티 서비스를 고려한 A-MPDU, A-MSDU기법을 적용하고, PHY 계층에서는 WLAN MIMO TGn 채널 모델 사용과 함께 SVD 기법을 적용함으로 다중 안테나 기법과 무선 채널을 모두 고려하면서 IEEE 802.11n 시스템의 현실적인 데이터 처리량을 분석한다. 시뮬레이터는 전 계층을 고려하여 Ns-2를 사용하기로 한다.

홈 네트워크에서 콘텐츠 통합 관리를 위한 Contents List Aggregation 구현 (Implementation of Content List Aggregation for Home Network)

  • 금승우;김경원;임태범;이석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75-77
    • /
    • 2011
  • 최근 수년간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홈 네트워크를 통한 방송 및 통신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공유 기기 시장이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스마트 기기의 진보를 통하여 사진, 음악, 영상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공유가 홈 네트워크 상에서 이루어 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업계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UPnP 및 DLNA에 기반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홈 네트워크 표준은 Peer-to-peer 네트워크를 근간으로 하고 있어 홈 네트워크 내에 복수의 서버가 있을 경우 사용자의 편의성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이에 본 논문은 홈 네트워크 내에서 콘텐츠 리스트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Contents List Aggregation 서비스를 제안한다. 제안되는 서비스는 홈 네트워크 내의 미디어 서버들로부터 Contents List를 전송받아 통합된 형태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기존 서비스와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서비스의 제안과 함께 서비스를 지원하는 UPnP Device 및 Control Point의 서비스 시나리오, 그리고 서비스 연동에 대한 운용환경 및 사용예가 함께 제시되었다.

  • PDF

Antiplatelet Aggregation Potencies of some Allium spp. Grown in Indonesia

  • Wijaya, C. Hanny;Muchtadi, Deddy;Lalel, Herianus J.;Zakaria, Fransiska;Koswara, Sutrisn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권1호
    • /
    • pp.37-42
    • /
    • 1996
  • Several species and varieties of Allium spp. grown in Indonesia were screened for their in vitro antiplatelet aggregation activities. The extracts were also analyzed by GC for their volatile sulfur-containing compounds, and measured for their Volatile Reducing Substances (VRS) contents. Antiplatelet aggregation potencies of Allium spp. were varied among the species and varieties studied. Garlic extracts showed the greatest ability to inhibit platelet aggregation followed by extract of shallot, chive, yellow onion, and green onion. The 'Jawi' and 'local Padang' variety of garlic showed high activities with $IC_{50}$ values of 9.1 and $9.8\;{\mu}g/ml$, respectively. The local Kupang variety of shallot showed the highest antiplatelet activity among the shallot varieties evaluated, with an $IC_{50}$ value of $111\;{\mu}g/ml$. Antiplatelet aggregation activities of Allium extrac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volatile compoun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