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aminants

검색결과 1,740건 처리시간 0.027초

Magnetic force assisted settling of fine particles from turbid water

  • Hong, H.P.;Kwon, H.W.;Kim, J.J.;Ha, D.W.;Kim, Young-Hun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7-11
    • /
    • 2020
  • When rivers and lakes are contaminated with numerous contaminants, usually the contaminants are finally deposited on the sediments of the waterbody. Many clean up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contaminated sediments. Among several technologies dredging is one of the best methods because dredging removes all the contaminated sediments from the water and the contaminated sediments can be completely treated with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However the most worried phenomenon is suspension of fine particles during the dredging process. The suspended particle can release contaminants into water and resulted in spread of the contaminants and the increase of risk due to the resuspension of the precipitated contaminants such as heavy metals and toxic organic compounds. Therefore the success of the dredging process depends on the prevention of resuspension of fine particles. Advanced dredging processes employ pumping the sediment with water onto a ship and release the turbid water pumped with sediment into waterbody after collection of sediment solids. Before release of the turbid water into lake or river, just a few minutes allowed to precipitate the suspended particle due to the limited area on a dredging ship. However the fine particle cannot be removed by the gravitational settling over a few minutes. Environmental technology such as coagulation and precipitation could be applied for the settling of fine particles. However, the process needs coagulants and big settling tanks. For the quick settling of the fine particles suspended during dredging process magnetic separation has been tested in current study. Magnetic force increased the settling velocity and the increased settling process can reduce the volume of settling tank usually located in a ship for dredging. The magnetic assisted settling also decreased the heavy metal release through the turbid water by precipitating highly contaminated particles with magnetic force.

전라북도 서부 해안지역과 동부 산악지역 농업용 지하수 수질 평가 (Water Quality of Agricultural Groundwater in Western Coast Area and Eastern Mountain Area of Jeollabuk-do)

  • 조재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3호
    • /
    • pp.218-224
    • /
    • 2011
  • 전라북도 서부해안지역(부안군)과 동부 산악지역(진안군, 장수군, 순창군)을 대상으로 328 지점의 농업용 지하수 수질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조사항목은 지하수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농업용수 관리항목인 일반오염물질 4개 항목과 특정유해물질 10개 항목이었다. 전라북도 서부 해안지역에서 일반오염물질의 일종인 염소이온이 기준치를 초과한 지점이 나타났으나, 모든 조사지점에서 농업용 지하수 수질기준을 충족하였다. 특정유해 물질은 거의 모든 조사지점에서 검출한계미만 또는 자연함유량 수준으로 검출되어 안전성이 확보되었다. 농업활동이 활발하고 논과 밭의 경지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해안 인접 평야지가 중 산간지대 보다 농업용 지하수중 오염물질의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석가탑)의 무기오염물과 보수물질 특성 (Characteristic of Inorganic Contaminants and Conservation Treatment Materials for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in Gyeongju)

  • 이젬마;김사덕;박성철;김덕문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21-431
    • /
    • 2018
  •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에서 발생한 무기오염물과 보수물질의 생성 원인 및 재질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황색 오염물은 외부 기원 토양 또는 풍화토의 침착으로 인한 변색, 적갈색 오염물은 산화철 광물의 한 종류인 침철석(Goethite, FeOOH)에 의한 오염, 흑색 오염물은 망간(Mn) 산화물이 부재 표면에 고착되면서 암석의 색상 변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과거에 사용된 보수 재료 중 시멘트 모르타르는 외부 환경과 반응하여 백화현상을 야기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석탑 오염물질과 관련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 효율적인 보존처리 방안마련 자료로 활용하였다. 한편,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석탑은 오염물 재형성 가능성이 높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우유 중 아플라톡신 M1 오염도 조사연구 (Analysis and Monitoring of Aflatoxin M1 in Milks)

  • 박성국;강영운;권기성;이광호;김미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47-250
    • /
    • 2012
  • 본 연구에서 적용한 시험법의 회수율은 97.4-122.5%, 상대표준편차(RSD)는 6%이내로서 적합한 시험법임을 확인하였다. 조사된 원유 및 시유의 검출농도는 아플라톡신 $M_1$이 평균 29.6 ng/kg(5.4-72.7 ng/kg)로 나타났으며, 원유 및 시유에 대한 아플라톡신 $M_1$ 오염수준은 현행 식품공전에서 정한 허용기준치인 500 ng/kg 보다 낮은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저온 아르곤 플라즈마처리를 이용한 모재 표면의 오염물 제거 (Removal of Contaminants Deposited on Surfaces of Matrices by Using Low-Temperature Argon Plasma Treatment)

  • 서은덕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99-306
    • /
    • 2014
  • 귀중한 보존물, 예술품, 증거서류 등의 오염에 의한 훼손을 복원하는 기술의 일환으로 아르곤을 이용한 저온 플라즈마 표면처리법의 적용 가능성을 산소 플라즈마 표면처리법과 비교 조사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인위적 오염물인 brilliant green으로 염색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카본으로 코팅된 백상지에 아르곤 플라즈마와 산소 플라즈마로 처리했을 때, 색도계를 이용하여 색도변화를 측정한 후 ${\Delta}E^*ab$ 값의 변화와 표면형태의 변화로써 brilliant green과 카본 제거효과를 조사하였다. 오염물 제거효과는 산화반응에 근거한 산소 플라즈마가 스퍼터링에 의한 아르곤 플라즈마에 비해서 효과적이었으나 모재의 심각한 손상을 유발하였고 플라즈마 후반응에 의한 추가적인 모재의 손상이 예상되었다. 반면에 아르곤 플라즈마는 산소 플라즈마에 비해서 열세하였으나 모재의 손상이나 후반응에 대하여 무시할 수 있었으며 섬세한 복원 작업에 오히려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물안전밀폐시설에서 Multizone과 CFD 연동해석에 의한 실내기류 및 Influenza A 오염농도해석 (Applications of a Coupled Multizone and CFD Simulation to Validate Airflow and Influenza A Contaminant Dispersion in Biosafety Laboratory)

  • 황지현;홍진관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6권12호
    • /
    • pp.588-593
    • /
    • 2014
  • To maintain a negative pressure, the supply, exhaust airvolume are adjusted by setting volume damper and the infiltration through leakage area of the door between rooms in biosafety laboratory. Multizone simulation is useful way to predict room pressure, supply and exhaust air volume. But in a particular room, local change such as airflow and contaminants concentration distribution can not be evaluated unfortunately. Through this study, a coupled multizone and CFD simulation was performed, indoor air flow and local contaminants concentration distribution in a particular room of BSL lab are predicted. The results show that all zones of BSL lab are well ventilated by unidirectional flow without local stagnation. In addition, in case that unexpected biohazard is occured in BSL lab, multizone simulation results about the spread of pollutants along movement of the occupant also show that contaminants concentration is removing totally without the spread of the outside. In conclusion, a coupled multizone and CFD simulation can be applied to interpret differential pressure in room and local change of physical quantity in a particular room such as airflow and Influenza A contaminants concentration distribution. This simulation method is useful to enhanc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biosafety laboratory design.

토양 및 오염물질의 물성치가 연직배수재에 의한 현장오염정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f Effects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il and Contaminant Materials on In-situ Soil Remediation Using Vertical Drain)

  • 이행우;장병욱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8
    • /
    • 2006
  • 오염토양의 현장정화에 있어서 지반 및 오염물질의 물성치는 정화에 소요되는 시간과 함께 매우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Gabr 등(1996)은 연직배수재가 설치된 오염지반에서 시 공간적 변화에 따른 초기오염농도에 대한 오염농도비($C/C_0$)를 구하는 식을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abr 등이 유도한 식의 전산모형 FLUSH1을 이용하여 오염지반 흙의 유효입경, 간극률, 형상계수, 밀도, 지반의 온도와 오염물질의 단위중량 및 점성계수가 오염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 공간적 변화에 따른 오염농도비($C/C_0$)를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연직배수재가 설치된 오염지반에서 정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오염지반 흙입자의 유효입경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오염물질의 점성, 오염지반 흙의 간극율, 형상계수, 지반의 온도, 오염물질의 단위중량, 흙의 밀도 순으로 분석되었다. 오염지반 흙의 밀도는 오염정화에 미치는 영향이 아주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잔류농약, 무기물 분석에 의한 유기농 채소의 판별: 유기농 채소의 잔류농약 함량 (Content of Pesticide Contaminants Content in Organic Vegetables)

  • 김형열;이근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7-62
    • /
    • 2004
  • 강원도 홍천 유기농 재배단지 내에서 재배한 5종의 농산물 즉, 케일, 신선초, 셀러리, 상추 및 파와 가락동 시장에서 구입한 일반재배 야채를 시료로 하여 잔류농약의 성분함량을 측정하였다. 5종의 야채에서 잔류농약 성분 함량을 측정해본 결과, 일반재배 야채의 경우는 각각 93.5, 57.7, 112.4, 76.5, 65.2 ppm이 잔류하여 규격기준 대비 75.35, 70.68, 78.49, 70.49%의 잔류율을 나타내었다. 상대적으로 유기농 야채의 경우는 각각 36.4, 21.0, 42.9, 29.1, 25.1 ppm이 잔류하여 전체적으로 규격기준의 30% 이하 잔류율을 나타내었고, 일반재배 야채의 38.93, 36.40, 38.17, 38.04, 38.50% 수준에 달하는 농약성분이 잔류하여 일반재배 야채 대비 40% 이하의 농약성분만이 함유되어 있었다.

카드뮴, 납, 구리에 대한 슬래그의 흡착특성평가 (Assessment of Sorption Behavior on Slag Against Heavy Metals)

  • 이광헌;최성대;정재식;박준범;남경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17-25
    • /
    • 2008
  • 폐금속 광산 지역 등지에서 중금속으로 오염된 지하수의 정화 및 오염확산 방지를 위하여 투수성 반응벽체를 사용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슬래그가 투수성 반응벽체 충진물질로서 적당한지 평가하기 위하여 폐광산 지역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몇 가지 중금속(i.e., Pb, Cu, Cd)에 대한 슬래그의 반응성을 평가하였다. 폐광산 지역 지하수에는 중금속류들이 복합오염의 형태로 존재하며, 음이온 물질인 황산염, 탄산염 등도 공존한다. 중금속으로 오염된 현장의 조건을 고려하여, 1) 중금속 종류에 따른, 2) 초기 농도에 따른, 3) 음이온(황산염)의 존재에 따른 영향을 회분식 실험을 통하여 슬래그의 흡착능을 평가하였다. 슬래그의 흡착특성은 등온흡착평형(equilibrium sorption)과 동적인 흡착(kinetic sorption)인 경우 각 조건에 따른 영향을 확인하였다.

하천 및 호소 내 퇴적물 재부유에 따른 중금속 및 영양염류 용출량 평가기법 동향 (Trends in Evaluation Techniques for Leaching of Heavy Metals and Nutrients according to Sediment Resuspension in Rivers and Lakes)

  • 윤상규;한서연;김해욱;곽인실;안진성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8권5호
    • /
    • pp.1-11
    • /
    • 2023
  • The phenomenon of sediment resuspension in rivers and lakes causes contaminants (heavy metals and nutrients) accumulated in the sediment to leach into the overlying water. As a result, it can lead to changes in toxic effects and eutrophication in the aquatic ecosystem. In this regard, it is important to quantitatively determine the amount of contaminants leached during sediment resuspension. In this study, methods for assessing the amount of released contaminants and the types of contaminants potentially released due to sediment resuspension were studied and summarized. Methods for assessing leaching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principle of causing resuspension: (i) the oscillating grid chamber method, (ii) the mechanical stirrer method, and (iii) the shaker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types of contaminants that can potentially be released include heavy metals bound to sulfides, as well as exchangeable and labile forms of heavy metals and nutrients. To effectively manage stable aquatic ecosystems in the future, a simplified leaching test method is needed to assess in advance the risks (i.e., changes in toxic effects and eutrophication) that sediment resuspension may pose to aquatic eco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