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erical Analysis of Effects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il and Contaminant Materials on In-situ Soil Remediation Using Vertical Drain

토양 및 오염물질의 물성치가 연직배수재에 의한 현장오염정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Lee, Haeng-Woo (Regional Development Div.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
  • Chang, Pyoung-Wuck (Landscape Architecture & Rural System Engineering Dept.,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행우 (농림부 농촌진흥과) ;
  • 장병욱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06.05.26
  • Accepted : 2006.06.14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The properties of contaminated soil, contaminants and elapsed time are important considering factors to in-situ soil remediation. Gabr et. al. (1996) derived the solution equation of contaminant concentration ratio as initial one ($C/C_0$) with time and spatial changes in contaminated area which are embedded with vertical drains. The contaminant concentration ratio ($C/C_0$) is analyzed with time and spatial changes as varying the effective diameter, porosity, shape factor, density of contaminated soil, temperature in ground, unit weight and viscosity of contaminants by using FLUSH1 model modified from FLUSH. Results from numerical analysis indicate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the in-situ soil remediation in vertical drain system is the effective diameter of contaminated soil. It also shows that the next important factors are the viscosity of contaminants, porosity of soil, shape of soil, temperature in ground, unit weight of contaminants and density of soil, in order. However, the others except the effective diameter of contaminated soil are insignificant to the soil remediation.

오염토양의 현장정화에 있어서 지반 및 오염물질의 물성치는 정화에 소요되는 시간과 함께 매우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Gabr 등(1996)은 연직배수재가 설치된 오염지반에서 시 공간적 변화에 따른 초기오염농도에 대한 오염농도비($C/C_0$)를 구하는 식을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abr 등이 유도한 식의 전산모형 FLUSH1을 이용하여 오염지반 흙의 유효입경, 간극률, 형상계수, 밀도, 지반의 온도와 오염물질의 단위중량 및 점성계수가 오염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 공간적 변화에 따른 오염농도비($C/C_0$)를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연직배수재가 설치된 오염지반에서 정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오염지반 흙입자의 유효입경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오염물질의 점성, 오염지반 흙의 간극율, 형상계수, 지반의 온도, 오염물질의 단위중량, 흙의 밀도 순으로 분석되었다. 오염지반 흙의 밀도는 오염정화에 미치는 영향이 아주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