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umer lifestyle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5초

Consumption Behavior and Fashion Orientation for Luxury Brands of Japanese and Korean Consumers

  • Park, Jin-A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3호
    • /
    • pp.20-3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behavior and fashion orientation for luxury brands in Japanese and Korean consumers. For this study, the author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with objects of 816 Koreans and Japanese, and analyzed the relations among consumer attitude, purchase behavior, lifestyle and fashion orientation. First, in Korea, all fashion orientations gave positive effects on attitude toward luxury brands, and especially it ha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factors affecting luxury brand consumption, so when luxury enterprises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for Koreans, they need to refer to fashion orientation intensivel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fashion orientation and purchasing behavior, it was found that fashion interest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luxury brand purchasing behaviors, in both Japan and Korea. Third, Japanese luxury brand enterprises need to focus on consumers who prefer standard goods. while Korean enterprises need to focus on consumers who prefer specific brands. Lastly, in case of Japanese consumers, the more they pursue self-esteem and reasonable consumption, the higher they prefer standard goods, while the more Korean consumers pursue conspicuous consumption, hedonic consumption and self-esteem, the higher Koreans prefer specific brands.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 - 중국과 한국의 여대생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Lifestyle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 -)

  • 김주호;손주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04-1115
    • /
    • 2008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differences in lifestyle affect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o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We conducted a survey on 210 female college students to gather the data needed.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distinguish five different type of lifestyles; the confident, the charismatic, the vogue pursuing, the competitive, and the sociable. We also found out that the consumers of Korea and China with different lifestyles act differently throughout the decision making process. Chinese consumers were more influenced by advertising than Korean consumers.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lso showed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cosmetic prices, purchasing motivations, types of cosmetics, and where it was made from. Both Chinese and Korean consumers are influenced by salesperson more than any other marketing variables at point of purcha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marketer make successful marketing strategy for cosmetics business in China.

토빗분석을 적용한 X세대, MZ세대의 외식지출 영향요인 (The Factors Affecting Dining-out Expenses by Generation X and Generation MZ Based on Tobit Model)

  • 민지은;한경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84-292
    • /
    • 2021
  • The food service industry has grown larger with changes in the economic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this saturated food service industry, generation X and MZ are the main consumer forces that demand attention. That is because a generation is the main psychographic factor that reflects personal values and lifestyle based on one's life cycle. From such a perspective, a generation in marketing has been used as a variable to predict a market by supplementing demographic factors. Accordingly, this study classified generations into generation X and generation MZ with the use of the 2019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b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and then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group and personal dining-out expense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applying the Tobit model using SPSS and R. The positively influential variables on generation X's personal dining-out expenditure were male, single person, high income and simple lifestyle, whereas housewives, personal ethical consciousness, behavioral ethical consciousness, and safe dietary life were negatively influential variables. The positively influential variables on generation MZ's personal dining-out expenditures were male, dual-income, high education level, corporate and governmental ethical consciousness, while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safe dietary life were negatively influential variables.

청년기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점포속성 중요도가 패션점포선택에 미치는 영향 -대형점포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Lifestyle and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 upon Fashion Store Selection of Adolescence Consumers)

  • 이은실;이선재
    • 복식
    • /
    • 제54권1호
    • /
    • pp.53-68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he contents of lifestyle of adolescence consumer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lifestyle,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 preference of fashion stor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o test preference of fashion store and lifestyle, preference of fashion store, and to examine how the preference of fashion store was influenced by lifestyle,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 and demographic variables. Subjects were 317 adolescence consumers(13-24 years) in Seoul, Korea. Preference of imported & brand goods, orientation of fashion & beauty life, and family orientation had a direct effect on preference of department store($R^2$=.129). Sex had an indirect effect on preference of department store through orientation of fashion & beauty life. Search of video media & information and age(-) had a direct effect on preference of entertainment shopping center($R^2$=.150). Orientation of fashion & beauty life(-), sales promotion, sex, and reasonable consumption had a direct effect on preference of discount store(R =$^2$.109). Sex(-) had an indirect discount store through orientation of fashion & beauty life, and sex(-), search of video media & information, age(-), and reasonable consumption did through sales promotion. Sales promotion, preference of imported & brand goods(-), and store atmosphere(-) had a direct effect on preference of traditional market($R^2$=.060). Sex(-), age(-), search of video media & information, and reasonable consump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preference of traditional market through sales promotion, and search of video media & information, reasonal consumption, and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 did through store atmosphere.

인도 여성의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행동 특성 연구 - 뭄바이 거주 신세대 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lothing Purchase Behaviors as Related to the Fashion Lifestyle of the New Generation of Indian Women living in Mumbai)

  • 고수진;고애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590-1600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shion lifestyles and the effect on clothing purchase behavior by female consumers living in Mumbai India. Data were collected from 129 Indian women in their teens to thirties living in Mumbai and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 test, ${\chi}^2$-test,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ve factors of fashion lifestyle are identified: fashion consciousness, price orientation, advertisement/brand orientation, being aware of others, and tradition orientation. Female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fashion lifestyle factors: display/brand oriented group, active profit seeking group, fashion oriented group, and a tradition oriented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ashion lifestyle groups on five criteria (latest fashion, price, commonality with existing clothing, size, and the distance to the store) out of the 13 criteria. The display/brand oriented group showed high scores on the latest fashion and size. The active profit-seeking group generally showed high scores on all five factors. The fashion oriented group showed high scores on latest fashion and commonality with existing clothing when buying clothes. Finally, the tradition oriented group showed high scores only on the distance to the shop, while they (the tradition oriented group) showed low scores on the other criteria. The examination on the actual conditions of clothing purchase among fashion lifestyle groups showed that only the monthly expenditure for clothing i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display/brand oriented group and active profit seeking group spent more on clothing than the other two groups.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커피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Food-Related Lifestyle on Coffee Consumption Behavior)

  • 오염곤;김광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4호
    • /
    • pp.65-75
    • /
    • 2012
  • 외식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커피 시장도 빠른 시간 내에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다. 국내 커피 시장은 계속해서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커피 산업 내의 경쟁 또한 치열해지고 있다. 시장에서 경쟁우위확보를 위해서는 커피를 소비하는 소비자의 성향을 파악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커피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총 5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요인에 특성에 따라 건강추구 라이프스타일, 외식추구 라이프스타일, 맛 추구 라이프스타일, 계획구매 라이프스타일, 편리성추구 라이프스타일로 나타났다. 또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중 건강추구 라이프스타일, 외식추구 라이프스타일, 맛추구 라이프스타일이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전문점의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라이프스타일은 건강추구 라이프스타일, 외식추구 라이프스타일, 맛추구 라이프스타일, 편리성추구 라이프스타일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자기표현욕구가 비건화장품 구매의도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가치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Lifestyle and Self-Expression Desire on Vegan Cosmetics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Value)

  • 김정인;허철무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5호
    • /
    • pp.217-240
    • /
    • 2023
  • 최근 기초화장품 트렌드로 클린화장품, 비건화장품 등이 새롭게 다양한 출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장 내 성장하고 있다. 한동안 화장품의 성분에 대한 관심과 영향이 커지면서 기능성화장품, 코스메슈티컬화장품, 더마화장품이 신뢰를 얻고 인기가 있던 가운데, 효능 외의 요소를 소구하는 비건 브랜드와 제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변화에 있어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사회적가치의 영향관계가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를 분석하고, ESG가 강조되는 사회 분위기 속에 클린 또는 비건화장품의 소비가 일종의 자기표현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역할로써의 관계가 있을지 알아볼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는 화장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자기표현욕구가 사회적가치를 매개하여 비건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외모지향형, 건강지향형, 유행추구형으로 구분하였다. 전국에 거주하는 화장품 소비자로부터 수집한 설문지 321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v26.0과 PROCESS macro v4.2를 사용하여 매개변수가 하나인 단일매개모형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외모지향형을 제외한 라이프스타일 유형인 건강지향형 및 유행추구형과 자기표현욕구는 사회적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가치는 비건화장품 구매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모지향형, 건강지향형 및 유행추구형의 모든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자기표현욕구는 비건화장품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가치는 외모지향형을 제외한 라이프스타일 유형 및 자기표현욕구와 구매의도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지향 소비자는 사회적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모 지향적인 소비자의 경우 비건화장품 구매 동기가 해당 제품과 관련된 사회적가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표준화계수를 이용한 상대적 영향력 크기 비교에서는 사회적가치를 매개할 때 자기표현욕구가 가장 크게 비건화장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건강지향형이 가장 작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학문적 함의로는 틈새 소비자 세그먼트, 중재 메커니즘 및 지속 가능성 고려 사항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행동 연구에 기여하고 있고 마케팅 전략과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관행을 형성하는 화장품 산업 및 그 이상에 대한 추가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PDF

광고표현의 '임팩트 성' -광고크리에이터의 라이프스타일을 통한 광고크리에이션의 공주체성에 관하여- (A Study on The Quality of Impact Design of Ads Expression in Newspaper - On The Possibility To Form A Inter-subjectivity of Ads Creation Through The Lifestyle of Ads Creator -)

  • 전기순;박인기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267-276
    • /
    • 2005
  • 광고는 크리에이션이다. 그러나 순수미술과 같이 작가 개인의 의미 작용 속에서 출발하여 끝을 맺는 종류의 크리에이션이 아니라 사회적 인자로서 타인 및 상징적 기호들의 의미와의 친밀도 속에서 서로 구성하는 공주체(inter-subjective)적 크리에이션이다. 광고 표현에 있는 '말'과 '그림'이 융합하여 나타나는 문화적인 범주를 어떻게 과학적으로 표출할 것인가는 광고크리에이터와 소비자와의 공주체적 상호감수성(Mutual Sensitivity)에 달려 있다. 따라서 소비자와 광고 크리에이터가 공유하는 지평은 욕구, 개성, 경험과 같은 개인적 차원에서 찾아지는 것이 아니라 양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문화적 차원임을 가정한다 문화는 산발적이지 않고 체계적이기 때문에 본 연구는 이를 '문화적 체계'라고 이해한다. 결론적으로 매체 융합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오늘날 소비자의 머리와 가슴으로부터 얻어오는 창작의 지평이 곧 광고크리에이터의 라이프스타일과 점점 동일해 진다는 사실을 주장한다.

  • PDF

TV홈쇼핑 카메라 앵글에 따른 브랜드 식기 판매 공간의 연출 효과에 관한 연구 -소비자 선호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V homeshopping brand dinnerware sales space styling effects with camera angle -Focused on consumer preference-)

  • 이진민;장영순;이미연
    • 감성과학
    • /
    • 제14권3호
    • /
    • pp.347-360
    • /
    • 2011
  • 본 연구는 TV화면에 입체감을 표현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촉진하는 TV홈쇼핑 식공간 연출에서 표현되는 공간 깊이감이 표현되는 연출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5년 3월에서 2010년 11월까지 $C^*$홈쇼핑에서 실제로 방영된 식기 판매 방송 중 6개 브랜드 식기 판매 방송의 실제 연출 이미지 자료를 분석하고, 신뢰도 분석, 요인 분석과 다중 회귀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설문 조사를 통해서 감성 형용사 이미지어를 분석하였다.TV화면이라는 평면에 입체를 표현되는 연출의 특징은 크기의 비교, 중첩, 사선배치와 원근법적 배치로 추출하여 분석하였고, 식기방송에 주로 사용되는 카메라 앵글의 종류를 버즈 아이 뷰, 하이 앵글, 아이 레벨 등으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이 분석의 결과로 정리되는 것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연출은 브랜드 식기의 주요인에 높은 상관도를 보인 이미지어를 인식하는 경우라는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 앵글과 특성에 의한 선호 연출의 방향 제시가 가능하며, 소비자가 선호하는 정량적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공간 연출 개념이 가능하다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