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of tidal flat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5초

Changes in Marine Environment by a Large Coastal Development of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in Korea

  • Lie, Heung-Jae;Cho, Cheol-Ho;Lee, Seok;Kim, Eun-Soo;Koo, Bon-Joo;Noh, Jae-Hoo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475-484
    • /
    • 2008
  • The word 'Saemangeum' indicates an estuarine tidal flat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was launched as a national project in 1991 to reclaim a large coastal area of $401\;km^2$ by constructing a 33-km long dyke. The final dyke enclosure in April 2006 has transformed the tidal flat into lake and land. An integrated oceanographic study has been conducted since 2002 as a part of the Government Action Plan to monitor and assess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Prior to the dyke enclosure, the coastal environment in the Saemangeum was a complex system governed by tidal motion, estuarine processes, and coastal circulation of the Yellow Sea. The dyke construction has radically changed not only the estuarine tidal system inside the dyke, but also the coastal marine environment outside the dyke. Post to the dyke enclosure, subsequent changes such as red tide, hypoxia, and coastal erosion/deposition occur successively. Red tides appear almost the year round in the inner area. Eve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luice gates are fully open, the water quality does not improve as much as the developers would expect, mainly due to the critical reduction of the hydrodynamic stirring power. We will introduce details of our monitoring program and significant changes in the Saemangeum marine environment, based on observations and model results.

이동경계를 고려한 유한요소 해수류동모형 (A Finite Element Hydrodynamic Model far Moving Boundary Problems)

  • 정태성;김창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46-155
    • /
    • 1992
  • 지금까지 연안조류를 예측하는 대부분의 유한요소 수치모형은 육지경계를 고정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조간대가 넓게 발달한 우리나라 서해연안에서의 적용은 현실적이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경계(조간대)를 고려한 유한요소법에 관한 평면 2차원 해수류동 수치모형을 수립하였다. 유한요소의 형태로는 3각형을 사용하였으며, 시간적분방법으로는 양해법을 사용하였다. 수립된 수치모형은 한쪽이 열린 경계와 다른 한쪽에 조간대를 갖는 장방형 수노에서 모형의 조간대 처리에 대한 특성이 분석 되었으며, 전나남도 해남군과 진도군사이에 위치한 마노해, 특히 울돌목의 조류계산에 적용되었다. 모형의 현장 적용으로부터 이동경계 처리를 포함한 수치모형의 타당성을 입증하였으며, 고천암적제의 건설에 따라 조간대 영역의 큰 변화를 갖는 마로해에서 조류분포의 변화와 최대 약 12노트에 달하는 유속을 갖는 울돌목부근에서의 조류 분포특성을 재현하였다. 본 모형은 신한요소법을 사용함으로써 서, 남해와 같이 해안선이 복잡한 해역에서 해안선을 보다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조간대의 변화를 이동경계를 사용함으로써 해안선부근의 조류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연평도의 해안지형 경관 분석 (Characteristics of the coastal landforms in Yeonpyeong Island)

  • 서종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3-23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지정학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중요성을 가지는 연평도에 대해 해안지형을 중심으로 지형과 경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평도는 접근성이 제한되어 있고 군사적인 위험 때문에 자연 환경은 잘 보존되어 있지만 기존의 연구 성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4일간의 현지 답사와 실내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한 것이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0개 주요 조사 대상 지형 중 60%인 12개가 1등급으로 판정되어 전체적으로 연평도의 지형적인 가치는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2) 연평도는 해안지형은 파식대와 해식애가 특징적인 암석 해안, 만입부에 형성된 퇴적 해안과 해안 충적지, 갯벌지대와 부속 도서 등의 3가지 지형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3) 연평도의 지형은 파랑의 영향으로 인해 북쪽과 서쪽이 높고 동쪽과 서쪽이 낮은 비대칭형이다. 4) 최근 연평도 남단의 갯벌지대에서 행해지는 각종 공사는 우수한 갯벌의 질을 저하시킬 것이다.

  • PDF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인공구조물 건설에 의한 군산 유부도 조간대의 지형변화 및 표면특성에 관한 연구 (Research of Topography Changes by Artificial Structures and Scattering Mechanism in Yoobu-Do Inter-tidal Flat Using Remote Sensing Data)

  • ;김덕진;김승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7-68
    • /
    • 2013
  • 20세기 후반부터 유부도 주위에서 하구언 축조 등 비교적 큰 규모의 간척사업들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간척사업의 시작으로 인공구조물들이 연안에 축조됨에 따라 주변 해역의 해류, 조위 및 조류의 변화를 야기하여 퇴적 및 침식으로 인한 연안지형의 변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유부도 조간대를 포함하는 Landsat TM/ETM+자료를 1998년부터 2012년까지 획득한 후 waterline 기법을 적용하여 인공구조물 축조에 의한 지형변화를 탐지하였다. 그 결과 유부도의 동쪽, 북동쪽, 서쪽 조간대에서 주로 퇴적이 일어났으며 그 면적이 약 4.5 $km^2$ 이상 되었다. 한편, RADARSAT-2의 완전편파 SAR자료에 Freeman-Durden decomposition을 적용하여 퇴적이 뚜렷이 일어난 지역에 대한 산란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쪽 퇴적지역은 서쪽 및 북동쪽의 퇴적지역과는 다른 산란특징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퇴적환경의 차이로 인해 다른 종류의 퇴적물이 퇴적되어 발생한 것으로 여겨진다.

천수만 방조제 건설로 인한 조석현상 변화 (Numerical Modeling of Changes in Tides and Tidal Currents Caused by Embankment at Chonsu Bay)

  • 소재귀;정경태;채장원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51-164
    • /
    • 1998
  • 서산 A·B지구 간척사업에 따른 방조제 축조에 따라 야기되는 천수만 내 조석현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심적분 2차원 해수유동 수치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외해 개방경계조건을 확보하기 위하여 3개 지점에서 조석관측을 실시하였고 수치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천수만 내 2개 지점에서 조류관측을 실시하였다. 수치모형 실험결과는 관측된 조류를 기준으로 할 때, 북부해역, 백사수도, 중부해역, 남부해역의 순으로 유속의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방조제 건설 후 천수만 북부에서 조간대 노출이 발생하는 시각은 약 51분 정도 빨라졌으며, 노출시간은 23분 정도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조 발생 시각은 1시간 정도 앞당겨졌으며, 고조 수위는 15 cm 정도 낮아졌다.

  • PDF

Comparisons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Intertidal Beach and Mudflat

  • Kim, Tae-Rim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25-231
    • /
    • 2009
  • The characteristics of morphological shapes, wave heights, tidal ranges and sediment sizes are observed and compared between intertidal beach and mudflat. The Mohang sand beach, southwest coast of Korea, is located just next to the large mudflat and has tidal range over 5 meters. Wave measurements are conducted at each entrance of the beach and mudflat as well as at the outside waters representing the incident waves to these different coastal environment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also examined including the sediment size and the slope of the bathymetry, For the observation of morphological shapes, camera monitoring technique is used to measure the spatial information of intertidal bathymetry. The water lines moving on the intertidal flat/beach durinq a flood indicate depth contours between low and high water lines. The water lines extracted from the consecutive images are rectified to get the ground coordinates of each depth contours and integrated to provide three dimensional information of intertidal topography. The wave data show that sand beach is in the condition of severer wave forcing but tidal range is almost identical in both environment. The slope of the mudflat is much milder than the sand beach with finer sediment.

목포 북항에서 풍파에 의한 해수범람의 수치 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Surge - Wave Combined Inundation at Mokpo North Harbor)

  • 이정렬;강주환;윤종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3B호
    • /
    • pp.307-313
    • /
    • 2008
  • 방조제 건설로 인한 조석확폭 현상이 목포 북항은 물론 목포북항과 좁은 수로로 연결된 청계만에서도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조석확폭 현상은 조간대를 증가시키고 특히 폭풍우시 수위 증가와 침수구간의 확대를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의 모의 과정은 광역에서의 풍파 모의와 협역에서의 풍파 범람 모의로 구성된다. 비선형 완경사 방정식이 바람에 의한 풍파는 물론 해일과 범람도 모의하도록 개선되었다. 개발된 모형은 청계만에 적용되었으며 목포 북항에는 청계만에서 발생하는 풍파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범람 형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적용되었다.

조력에너지 개발사업의 해양환경영향평가 스코핑 방안 (Scoping for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Tidal Power Plant Construction)

  • 감민재;김귀영;전경암;유준;이대인;엄기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0-37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서해안에서의 조력발전소 건설에 따른 환경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현재 중점평가항목(스코핑) 및 제도의 문제점을 진단한 후, 환경영향평가 스코핑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해역이용의 적정성 측면에서 명확한 사업목적과 당위성에 대한 폭넓은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고 이해당사자 및 기관의 적극적인 의견수렴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조력발전소 건설에 따른 해양생태계의 부정적인 영향과 어업인과의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스코핑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해수교환율 변화와 유속 변화에 따른 침퇴적 양상 변화, 2) 갯벌 감소로 인한 어류의 산란서식지 파괴, 3) 수산자원 및 어장의 영향과 부유사 확산 등이 중점평가사항(스코핑)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국민 모두가 환경보전에 대한 의식전환을 통해 자원개발과 환경보전의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능동적 계획 수립과 정책 실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조석환경 변화에 의한 표층퇴적물의 시.공간적 분포 변화: 한국 서해안의 무안만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by Tidal Environment Changes: Muan Bay, West Coast of Korea)

  • 류상옥;장진호;이희준;조영조;최옥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4권1호
    • /
    • pp.10-21
    • /
    • 2009
  • 하구언과 방조제 건설에 따라 고극조위 상승과 같은 조석환경 변화가 심한 무안만에서 표층퇴적물의 분포 변화와 변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고 조류관측을 실시하였다. 무안만의 표층퇴적물은 1998년에 비해 역과 사의 조립질퇴적물의 함량이 증가하고 실트의 함량이 감소하여 퇴적물의 평균입도는 6.2${\phi}$에서 5.8${\phi}$로 조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조립질퇴적물의 함량 증가와 실트의 함량 감소는 만조선 주변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동암리와 구로리, 압해도 조간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만조선 주변의 조립화 현상은 일차적으로 하구언 및 방조제 건설에 따른 고극조위 상승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서측 만입구 주변에서 세립질퇴적물의 함량이 증가하는 현상은 인공구조물(교각) 건설에 따른 조류속의 감소와 위상차에 의한 조류의 방향 변화 등 수류의 변형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Sea Level Rise at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 Oh Nam-Sun;Kang Ju-Whan;Moon Seung-Rok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27-333
    • /
    • 2005
  • Sea level (MSL, MHWL, or MLWL) change has been main concern to scientists and engineers and it can be primarily due to both change of climate and vertical movement of land. This paper reports the intensive analysis of the sea level changes and broad discussion of the future at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general tendency and periodicity of the sea levels at the six different study sites such as Gunsan-I(inner port), Gunsan-O(outer port), Mokpo, Yeosu, Heuksan and Jeju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global values. Besides the changes of sea levels due to global warming, the influence of the man-made structure such as seadike and seawall was attempted to quantify using the minimization of the Root Mean Square(RMS) error. The results show that it is a general tendency that the values of mean sea level rise at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especially at Gunsan-I and Jeju, are somewhat larger compared to global average values. There is also some evidence that tidal amplifications are found just after construction of man-made structure at Gunsan-I and Mokpo. However, both sites show different mechanism in relation to tidal choking, tidal flat and river discharge. The impact due to construction of man-made structure is considerably larger at Mokpo site, while the impacts due to man-made structure and the effect of sea level rise are relatively identical at Gunsan-I sit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ome intuition to future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