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industry safety manager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9초

중소기업용 ERP S/W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RP application Method in Small & Medium Enterprises)

  • 김학식;염인순;이창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07-115
    • /
    • 2003
  • In recent years, environments of business are changing due to epoch-making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advent of digital economy ages. It is an active confrontation as to the environments for information. Unlike the large scale enterprises in those days, hower, many small & medium enterprises especially the enterprises which are engaged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aren't participate in information's rank due to the lack of funds, manpower, insufficient management environments, and manager or staff's lack of cognition as to information. So, this paper make a base of establishment for ISP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RP that is used to management activity for small & medium manufacturing enterprises. A way for small & medium enterprises' ERP construction is SMERP S/W for the small & medium enterprises' ERP package which is offered by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 And, that is applied to the real management environment.

소규모 건설현장 화재 위험요인 안전관리 운영실태 분석 (Analysis of Safety Management Operations of Fire Risk Factors in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 문필재;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775-785
    • /
    • 2022
  • 이 연구는 소규모 건설현장 근로자의 화재안전관리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이들이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실무적 기초자료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소규모 건설공사현장 근로자는 건설기능인력의 연령대가 고령자이고, 종사경력은 건설기능력이 짧았으며, 직종은 대다수가 건축공종에 작업을 하고 있으며, 고용형태는 비정규직 일당제로 근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둘째, 소규모 건설공사현장 근로자들의 화재안전관리 개선방안으로 화재 위험성 요인에 대한 허가와 관리를 체계화하고, 화재위험관리를 위해 소방안전관리자를 배치하여 관리감독하는 장치가 필요하겠으며, 화재시 다양한 피난통로 확보와 화재 발생을 건설공사 현장 내 모든 작업자들에게 알릴 수 있는 비상경보설비를 갖추고, 피난경로 접근과 시야 확보가 취약한 지하공간에 대해서는 간이피난유도선과 비상조명등을 임시소방시설로 설치를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실적인 대피훈련, 화재VR훈련, 흥미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산업재해를 줄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위치추적기술을 이용한 BIM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A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Real-time Locating System)

  • 이현수;이광표;박문서;김현수;이사범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135-145
    • /
    • 2009
  • 과거 건설공사의 목표는 원가절감과 공기단축을 통한 효율성 증진이었다. 이에 비하여 안전관리는 오랜 기간 동안 소홀히 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건설 산업 내에서 안전관리로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건설공사가 보다 대형화, 복잡화됨에 따라 사고의 규모가 더욱 더 커지고 있어, 건설현장에서는 보다 확실한 안전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작업자 중심의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시스템 요소기술로는 위치 추적 기술(RTLS-Real Time Locating System),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BIM Based Monitoring System), 데이터 마트(Data Mart), 알람 기술(Alarm System)이 복합적으로 적용된다. 본 시스템을 통하여 현장에서는 가변적인 상황 및 작업자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기존의 정적인 관리 형태에서 벗어나 보다 폭 넓은 안전관리가 가능해 질 것이다. 또한 작업자 중심의 안전관리를 통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발전된 형태의 실시간 안전관리를 하고자 한다.

AHP 분석에 의한 무인타워크레인 사고 요인의 중요도 순위 (Importance Ranking of Accident Factors of Remote Control Tower Crane by AHP)

  • 김주용;정영철;김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97-504
    • /
    • 2020
  • 국내 건설 현장 타워크레인의 사용량 증가에 따른 재해 감소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무인타워크레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타워크레인 유형별 사고 요인의 중요도 순위를 AHP 분석을 통해 도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무인타워크레인에서 인양 작업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요도가 높은 요인을 우선적으로 관리하여 타워크레인 사고 저감을 위한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 risk management methodology for maritime logistics and supply chain applications

  • Mokhtari, Kambiz;Ren, Jun
    • Ocean Systems Engineering
    • /
    • 제4권2호
    • /
    • pp.137-150
    • /
    • 2014
  • In the marine industry although there has been significant growth towards safety, security and risk assessments or risk-based strategies such as marine insurance and regulations to avoid the risks of damage to properties and the environment or the prospect of premature death caused by accidents etc, the moves toward managing the risks which are linked directly to the business functions and decision making processes have been very slow. Furthermore in the marine industry most perceptions, methodologies and frameworks of dealing with hazards, risks, safety and security issues are for their assessment rather than their management. This trend reveals the fact that in different marine industry sectors such as logistics and shipping there is a lack of coherent risk management framework or methodology from which to understand the risk-based decisions especially for the purpose of design, construction, operation, management and even decommissioning of the marine related applications. On the other hand risk management is not yet viewed holistically in the marine industry in order to, for example, assign a right person, i.e. risk manager, who can act as a coordinator and advisor with responsibilities that are only specific to risk management. As a result this paper, by examining the present physical borders and risk-based activities in the marine industry, aims to propose an appropriate risk management methodology in addition to the emergent role of risk managers which will enable the industry users initially to become familiar with the concept of risk management at its holistic level. In the later stages this eventually can lead to development of risk management capabilities at an exclusive level and its integration into the marine industry functions in future.

안전인증기준 성능화에 대한 기반 연구 (A Basic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Safety Certification Standards)

  • 변정환;김정곤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487-499
    • /
    • 2021
  • 연구목적: 본 논문은 미래 산업발전과 환경변화에 대한 안전인증기준의 합리화를 위하여, 안전인증기준의 성능화에 대한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문헌조사 및 실무자 면담조사를 통해 안전인증 체계에 대한 문제점과 한계점을 정리하고, 안전인증기준의 현황을 설계기준과 성능기준 그리고 세부적인 기준으로 분류하여 현황 분석을 실시한다. 그리고 조사 및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여 안전인증기준의 성능화를 위한 개선사항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조사를 통해 안전인증의 문제점과 한계점은 정부주도의 인증체계운용, 정형화된 인증기준, 인증개선에 장시간이 소요, 인증기준 마련체계의 부실, 업계의견 반영의 부족 등 6가지로 정리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인증기준을 성능 및 설계기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기계 및 설비, 방호장치의 경우, 설계기준이 69.7% 및 64.9%로 높게 나타난 반면, 보호구의 경우 성능기준이 61.1%로 높게 나타났다. 설계기준 중심의 안전인증기준을 성능화하기 위해서는 인증기준의 성능화 가능성 판단, 검사시험방법의 규정 가능성 판단 등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리고 성능화를 위해서는 제조물책임법강화, 시장모니터링 등 체계화, 인증시험 업무의 분산, 민간의 인증기준 마련 참여 등의 제도기반 및 인프라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검토 되었다. 결론: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안전인증제도의 문제점과 한계점을 정리하고 성능화 필요성에 대하여 검토 하였다. 안전인증기준의 성능화는 법령정비, 인프라 구축 등 준비 작업이 필요한 사항으로 중장기적인 추진이 필요하다. 또한 전체 안전인증기준의 성능화 보다는 인증대상 품목별로 성능화 요건을 검토하여 추진하고, 세부적인 사항은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구체화해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