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condition (ground los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6초

지반진동과 수중소음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Underwater Noise and Ground Vibration)

  • 박정봉;강추원;이창원
    • 화약ㆍ발파
    • /
    • 제31권1호
    • /
    • pp.11-2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암반의 굴착(발파)공사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지반진동과 어패류 양식장 등의 수중 배경소음도 및 실제 발파작업시에 발생하는 수중 대상소음도의 척도를 비교 분석하고, 회귀분석에 의한 지반진동추정식과 수중 대상소음 간의 상관식을 도출하여 굴착공사시 수중소음도의 발생정도를 사전 예측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수중소음 관리기준의 정립을 위한 첫걸음으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동안 실험을 진행하기 전에 상황조건을 달리한 어패류 양식장에 대해 배경소음도를 측정하여 본 결과 양식장마다 각각의 환경적 특성에 따라 배경소음 수준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고, 수중소음을 유발하는 지반진동을 실측하여 지반진동과 수중 대상소음 간의 상호 관계식을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관식에 의해 각종 건설공사에서 수중소음 유발정도를 사전에 예측하여 당해 실정에 적합한 관리(허용)기준을 설정, 설계 시공 등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과거의 기술적, 공학적 논리의 빈약한 기술전개로 인한 어패류 피해의 경제적 손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수중생물체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한 가운데 원만한 건설공사를 진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Prediction of transverse settlement trough considering the combined effects of excavation and groundwater depression

  • Kim, Jonguk;Kim, Jungjoo;Lee, Jaekook;Yoo, Hankyu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5권3호
    • /
    • pp.851-859
    • /
    • 2018
  • There are two primary causes of the ground movement due to tunnelling in urban areas; firstly the lost ground and secondly the groundwater depression during construction. The groundwater depression was usually not considered as a cause of settlement in previous research work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bined effect of these two phenomena on the transverse settlement trough. Centrifuge model tests and numerical analysis were primarily selected as the methodology. The characteristics of settlement trough were analyzed by performing centrifuge model tests where acceleration reached up to 80g condition. Two different types of tunnel models of 180 mm diameter were prepared in order to match the prototype of a large tunnel of 14.4 m diameter. A volume loss model was made to simulate the excavation procedure at different volume loss and a drainage tunnel model was made to simulate the reduction in pore pressure distribution.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LAC 2D program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various groundwater depression values on the settlement trough. Unconfined fluid flow condition was selected to develop the phreatic surface and groundwater level on the surface. The settlement troughs obtained in the result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combined effect of excavation and groundwater depression. Subsequently, a new curve is suggested to consider elastic settlement in the modified Gaussian curve.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groundwater depression are considerable as the settlement trough gets deeper and wider compared to the trough obtained only due to excavation. The relationships of maximum settlement and infection point with the reduced pore pressure at tunnel centerline are also suggested.

토구조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정착력 손실 최소화 간격유지장치 어스앵커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nchorage loss of Ground Anchor Using Spacing Apparatus and Spring for Soil Structure Stability)

  • 정상민;이승원;유지형;이근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7-2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각종 토구조물의 붕괴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사용중인, 기존의 어스앵커공법의 문제점인 초기 인장시 쐐기의 Slip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간격유지구와 쐐기삽입장치(스프링)를 연구개발하였다. 간격유지장치를 이용한 어스앵커에 대한 실내시험을 통하여 PS강연선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스프링의 상세(길이 60mm, 직경 6mm)를 도출하였으며, 본 장치는 쐐기 및 PS강연선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으며 쐐기의 Slip을 최소화하여 인장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현장적용결과도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본 장치는 재인장 작업시 쐐기를 제거 및 교체가 가능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알칼리 자극제를 혼입한 고로슬래그 모르타르의 건조수축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Drying Shrinkage for Alkali-Activated Slag Mortar)

  • 천정환;김재훈;지남용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논문 발표대회 제6권1호
    • /
    • pp.97-100
    • /
    • 2006
  • This paper report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n the properties of drying shrinkage for alkali-activated slag mortar in different relative humidity Commonly we know that drying shrinkage means lost more moisture but the mechanism of drying shrinkage of alkali activated slag mortar is not entirely due to the quantity of weight loss of water from mortar. pore size distribution and the calcium silicate hydrate gel characteristics have a critical influence on the magnitude of drying shringkage to alkali activated slag mortar. For this investigation, Ca(OH)2, Na2SiO4 were as alkali activator with 5 dosages(6%, 9%, 12%, 15%, 20%) and curing condition were three different relative humidity(35%, 65%, 95%) at $20{\pm}3^{\circ}C$

  • PDF

모형시험을 통한 비압력 지중관거 균열로 인한 지반함몰 메커니즘 연구 (An investigation on the ground collapse mechanism induced by cracks in a non-pressurized buried pipe through model tests)

  • 김용기;남규태;김호종;신종호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35-253
    • /
    • 2018
  • 지하관거 균열로 인한 지하수의 흐름은 주변 지반의 토사유실을 야기하여 관거 인접 지반에서의 공동발생, 나아가 지반함몰(싱크홀)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관거의 균열을 모사하는 모형시험을 통해 비점착성 지반에 위치한 지중 비압력 관거의 균열로부터 비롯되는 지반함몰 메커니즘과 이로 인한 파괴모드를 조사하였다. 토사유실 및 함몰 영향인자로서 균열크기, 관거유속, 지하수위, 토피고 그리고 지반구성재료 등을 채택하여 이들 인자들이 함몰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인자들에 따른 지반파괴의 형상(파괴모드)과 지반유실량을 분석한 결과, 토피고와 지하수위가 일치하는 경우 최종파괴모드는 침식각이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 'Y'형으로 관찰되며, 지하수위가 더 높게 위치하는 경우 침식각이 일정한 파괴면 형상인 'V'형으로 나타난다. 토피고가 증가하는 경우의 파괴형상에서 토피고 영향에 무관한 길이와 토피고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폭을 갖는 수직함몰구간이 형성되는 결과를 얻었다.

지반 변형 대응형 말뚝 기초의 거동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Pile Foundations Responding to Ground Deformation)

  • 이준원;신세희;이학린;김동욱;이기철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21-32
    • /
    • 2020
  • 세계적으로 대규모 인프라 구조 건설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극한지 및 극서지와 같은 극한 환경에서의 토목 구조물 시공이 계획 혹은 시공 중에 있다. 이에 따라 구조물의 지지력 확보를 위한 말뚝 기초의 시공이 필수적이나 극한지 및 극서지의 지반 변형 가능성으로 인해 말뚝 기초의 안정성 및 기능 상실이 우려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형식의 말뚝 기초를 개발함으로써 지반 변형에 대응하고자 하며, 극한지 및 극서지에서 발생 가능한 지반 변형을 크게 융기 및 침하로 구분하였다. 지반 변형 대응형 말뚝은 강관 말뚝 내부에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실린더가 삽입된 형태로 융기 및 침하 과정에서 실린더의 거동에 따른 말뚝 영향을 수치해석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지반 융기는 말뚝의 과도한 인장응력을 발생시켰으며, 실린더의 팽창 조건은 말뚝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을 분담해 주어 전체적으로 말뚝에 작용하는 축 응력을 감소시켰다. 지반 침하는 부주면 마찰력 발생에 따른 말뚝의 압축응력을 증가시켜 주었는데, 실린더는 중립점 이하에 위치하여 수축 거동 시 최적의 효율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지반 변형 대응형 말뚝 시공 시 수축 및 팽창량은 상부 구조체의 허용 변위 범위를 준수하여야 하며, 설계 시 이에 따른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건설업 사고 발생원인 파악을 위한 사고 분석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ccident Cause Analysis Model for Construction Site)

  • 임원준;기정훈;성주현;박종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5-52
    • /
    • 2019
  • Accident analysis models were developed to improve the construction site safety and case studies was conducted. In 2016, 86% of fatality accidents occurred due to simple unsafe acts. Structure related accidents are less frequent than the non structure related causes, but the number of casualties per accident is two times higher than non structure one. In the view of risk perception, efforts should be given to reduce accidents caused by low frequency - high consequence structure related causes. In case of structure related accident, structural safety inspection and management (including quality), ground condition management / inspection technology, and provision of risk information delivery system in case of non structure related accident were proposed as a solution. I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afety related stakeholder, the main problem were the lack of knowledge of controller and player, loss of control due to duplicated controls, lack of communication system of risk information, and relative position error of controller and player.

고가 구조물 건설에 따른 일조권 분석 (Analysis of the right to sunshine for elevated structure construction)

  • 강기수;김상석;양승태;강인준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485-490
    • /
    • 2004
  • Recently, distribution transfer velocity was extremely lowered by high supply rate of vehicle and low road rate. Therefore expansions of transfer network these were subway, road and railway to recover competitive power as a reform measure of physical distribution traffic were become preference previous subject. For reason of that, an expansion of transfer network is meeting competitive power as selected an elevated road in the ground road network that condition of location calm and get out of the existing urban than the underground road to connect oversensitive a large city and expanded small and medium satellite town. In the meantime, while elevated structures construct, they go through the civilian residential section, agriculture land, etc. The consequence is that it raises a vibration, noise, dust, an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a view and an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a sunshine. In this study, we analyzed Quantitatively sunshine quantity with building 3D simulation model of civil structure. Therefore, we present as planning data to reduce a civilian appeal for dispute of the right to sunshine and an economic and time loss between the government and construction company In addition to that, for the standard of the standard plan of usable sunshine quantity program in the practical business, the building of convenient user interface will be the project to be done.

  • PDF

강원도 정선군 백운산 High 1 스키장 슬로프 개발 지역의 주목 생육현황 조사 (A Study on the Growing State of Taxus cuspidata in Baekwoonsan the High 1 Ski Slope Construction Area in Jeungsun-gun, Gangwon-do)

  • 김갑태;엄태원;김회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02-308
    • /
    • 2009
  • 합리적 주목 관리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강원도 정선군 하이원 스키장 건설지역에 분포하는 주목 323개체(이식된 57 체 포함)에 대하여 수고, 근원경, 흉고직경, 줄기상태, 동공의 크기, 초두부 상태, 가지고사율, 엽생육상태, 신초생장, 2년생엽 탈락율, 뿌리상태 및 수형을 조사하였다. 조사항목들을 생육상태가 나쁠수록 높은 점수가 되도록 등급화하였다. 조사대상지에 생육 중인 주목은 주로 해발고가 높은 능선부나 북사면에서 자라고 있었다. 백운산 주목의 생육상태는 국내 다른 아고산지대의 주목과 구상나무의 생육상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피해주목들은 이식작업에서 뿌리제거, 잔존 목으로 슬로프 공사 시 복토, 터파기로 인한 뿌리 손상 등이 대부분이었다. 주목보존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이 제시되었다.

장기계측을 통한 인장형 앵커의 인장력 손실 평가 (Evaluation of Loss of Prestress Force of Tensile Anchor by Long Term Measurement)

  • 이봉직;이종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10호
    • /
    • pp.15-2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앵커의 장기 거동특성과 인장력 손실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시공된 인장형 앵커를 대상으로 장기 계측을 실시하고 이를 기존 예측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영구앵커는 비탈면 안정 혹은 구조물의 부상방지 등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강재로써 가설 앵커와 달리 구조물의 공용기간 동안 기능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시간 경과에 따라 앵커의 릴렉세이션 및 크리프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기능발휘를 위해서는 인장력 손실에 대한 관리가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인장력 손실은 탄성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감소와 인장재 종류에 따른 릴렉세이션을 값을 이용하여 산정하여 왔으며 장기적인 계측결과를 이용한 검증은 제한적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시공된 인장형 앵커를 대상으로 현장조건과 상세 지반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하중계, 경사계 및 지하수위계를 설치하여 최대 500일 이상의 장기 계측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측정된 벽체의 변위 및 앵커의 인장력 손실을 기존 해석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앵커의 장기 거동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대부분의 앵커력 손실은 90일 이내에 발생되며, 앵커력 손실은 예측된 값보다 작게 측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