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ng identity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8초

'장소의 상징적 이미지와 문화적 활동의 영역적 체계'에 입각한 문화관광개발의 개념적 모형 정립 (Constructing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based on 'place image' and 'local systems for cultural activities')

  • 이정훈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05-425
    • /
    • 2005
  • 대중관광에서 신관광으로의 전환은 문화관광의 다기한 발전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관광지의 생성 개발 및 진화 발전 단계를 도출하여 '문화관광개발의 개념적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또 관광, 문화예술 활동, 문화제품 생산 간에 유기적인 시스템이 존재하고 있음을 개념적으로 밝히고 있다. 연구 결과 문화관광지는 '장소 이미지 형성', '상징적 공간 구축', '문화적 활동의 영역적 시스템 형성' 등 세 단계를 거치면서 진화 발전한다. 또 각단계별로 존재하는 몇 가지 지배적인 구성요소를 도출함으로써 문화관광지의 발전 매커니즘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는 통합적, 영역적 관점에서 관광현상을 분석함으로써, 관광부문과 지역 사회경제 각 부문간 관계를 이해하고, 활력 있는 시스템적 관계로 전환하는 방법론 개발에 기여한다. 이 연구는 장소성, 장소이미지, 활동공간, 영역적 시스템 및 네트워크 등 인문지리학적 이론과 개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 PDF

개선된 자동정리증명 기법에 기초한 유한체상의 디지털논리시스템 구성 (Construction of the Digital Logic Systems based on the Improved Automatic Theorem Proving Techniques over Finite Fields)

  • 박춘명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773-177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자동정리증명 기법에 기초하여 유한체상의 디지털논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먼저 유한체상의 중요한 학적 성질을 논의하였고 자동정리증명기법의 개념과 기본 성질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개선된 자동정리증명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몇 가지 정의를 하였으며 이를 근간으로 디지털논리 시스템의 Building Block을 제안하였다. 또한, 디지털논리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중요한 관계를 정의하였으며 최종 유한체상의 디지털논리시스템을 개선된 자동정리 증명 기법에 의해 구성하였다.

북큐레이션을 통한 테마 컬렉션의 구축과 운영에 관한 연구 - 공공도서관 담당자의 심층면담을 통해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me Collections through Book Curation: In-depth Interview with Public Librarians)

  • 표순희;백지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189-211
    • /
    • 2019
  •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테마 컬렉션의 개념을 정립하고, 테마 컬렉션 운영의 실제를 밝혀 향후 테마 컬렉션 구축과 운영을 위한 방법론 설정 및 향후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공공도서관 네 곳의 관장 및 테마 컬렉션 담당 사서 총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결과, 테마 컬렉션은 자관의 장서와 이용자 및 커뮤니티에 대해 충실하게 이해하고, 자관의 서비스 목표와 지향을 공유한 상태에서 제대로 구축되고 기능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테마 컬렉션 구축 업무는 사서 개인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는 면이 있으며, 기존의 도서관 업무 경계를 넘나드는 상호 연계된 성격을 지녔음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테마 컬렉션 구축 및 운영을 위해서 참조할 수 있는 현행 테마 컬렉션의 종합적인 모형을 제시하고 이의 의의와 향후 과제를 논하였다.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of $Anabaena$ $variabilis$ and $Trichormus$ $variabilis$ (Cyanobacteria) from Korea

  • Choi, Gang-Guk;Yoon, Sook-Kyung;Kim, Hee-Sik;Ahn, Chi-Yong;Oh, Hee-Mock
    • 환경생물
    • /
    • 제30권1호
    • /
    • pp.54-63
    • /
    • 2012
  • This study characterizes three $Anabaena$ strains and 5 $Trichormus$ strains isolated from Korean waters and 3 $Anabaena$ $flos-aquae$ strains procured from the UTEX based on morphological features and molecular analyses. The $Anabaena$ and $Trichormus$ isolates were morphologically assigned to $A.$ $variabilis$ K$\ddot{u}$tzing and $T.$ $variabilis$(K$\ddot{u}$tzing ex Bornet et Flahault) Kom$\acute{a}$rek et Anagnostidis, respectively. The $Anabaena$ and $Trichormus$ strains differed significantly in the mean length of their vegetative cells. The 16S rRNA genes from the $Anabaena$ strains showed a 100% identity to that from $A.$ $variabilis$ ATCC 29413, while the 16S rRNA genes from the $Trichormus$ strains showed a 99.9% identity to that from $T.$ $variabilis$ GREIFSWALD. The overall topology was in agreement for the 16S rRNA gene and $cpcBA$-IGS trees in the both tree-constructing methods. In a neighbor-joining tree based on the 16S rRNA gene, the 3 $Anabaena$ strains were asso-ciated with $A.$ $variabilis$, the 5 $Trichormus$ strains with $T.$ $variabilis$, and the 3 $Anabaena$ (UTEX) strains were with $Nostoc$. To date, this is the first report on $A.$ $variabilis$ and $T.$ $variabilis$ strains originating from Korea.

도시환경과 건물 재생을 위한 파노라마 이미지 공간구성 방법 (A Study on the Panoramic Perception for Restoring of Urban Environment and Architecture)

  • 전수경;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78-8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noramic perception and space organization for restoration of urban environment and architecture. Panorama is a collective visual catalogue composed by series of perspective images. It is a product from continuous movements of viewer by defamilarizing real image and structuring order between city and building. Through understanding the panoramic image, the viewer is able to achieve the total image of the city. For example, achieving visual perception of the city by employing the panoramic view from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s and cultures, Berlin developed its urban characteristic by rebuilding panoramic view as an aesthetic device. First, this paper mention theory of panorama as an aesthetic device for shaping the city from the building. Second, this paper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istics of panorama and historical contexts for why those panoramic views are valuable by mentioning the Altes Museum, the Berlin National Gallery, Museum of Modern Literature, and Folkwang Museum of panoramic view.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visual perception such as panoramic view is the valuable device for organizing the image of the city's own identity. Constructing vision of each city influences not only shaping the city but also mapping the mental views of the building. Also, historical conditions and open spaces are one of the inherent elements combined with panoramic view for establishing urban identity. In search for good place making,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historical context and fabric plan in shaping how a resident sees - literally, sees- their city with buildings. Berlin serve as excellent counter example in how the valuable place making panoramic mental views of urbanities take shape.

국내 <심즈2> 플레이어들의 담론분석 (An Analysis on Discourses of SIMS2 Players in Korea)

  • 김종덕;송수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53-65
    • /
    • 2011
  • 이 시대의 청년문화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 청년층이 주로 이용하는 미디어인 게임과 게임의 커뮤니티를 분석한다면 대중문화의 텍스트이해와 수용자 입장을 좀 더 의미있게 분석 할 수 있다. 미디어와 문화의 관계는 미묘한 상호작용의 중계여서 내용분석과 담론 분석을 통한 접근방법을 택하였다. 분석 대상은 플레이어들의 정체성이 투사된 육성 시뮬레이션게임 <심즈2> 에 대한 국내 커뮤니티이며 내용 분석과 담론분석을 통하여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으며 내용분석을 통해 심즈2 플레이어들이 이야기 하는 담론의 내용적 특징을 알 수 있었다. 내용분석에서 나타난 커뮤니티의 내용적 특성을 본 연구는 크게 자아실현및 정체성의 공방 그리고 젠더문제에서의 실험적인 대리만족과, 참여하는 게이머로 문화재생산으로의 의미가 있으며 가상소비의 확산, 반사회적 행위에 대한 성찰로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W. E. B. 듀보이스와 '니그로'의 재구성 (W. E. B. Du Bois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Negro')

  • 이경원
    • 영어영문학
    • /
    • 제55권5호
    • /
    • pp.907-936
    • /
    • 2009
  • Quite arguably, W. E. B. Du Bois is the first figure in the history of black nationalism who engaged most persistently and systematically with the dominant ideology of racism and white supremacy.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by contending with the Eurocentric but taken-for-granted concept of the 'Negro' in the turn of the century, Du bois has laid the theoretical and ideological cornerstone of postcolonialism today. But his concept of race varied over time and was even contradictory in the same writings. The early Du Bois defined race as something historically made rather than biologically given and determined. Yet he didn't utterly deny the significance of physical traits and skin color in constructing racial identity. His notion of the 'Negro' was not unambiguous, either. While drawing on the 'soul' of 'black folk' to undermine the Eurocentric dichotomy of white/mind and black/body, Du Bois argued that there is some kind of 'spiritual' differences between whites and blacks, differences that are essentially inherent and hereditary in the 'Negro.' Such essentialist notion of race and the 'Negro' was on the wane in the later Du Bois, especially after his encounter with Marxism. He came to think of race merely as a discourse of racism that can be subverted and even appropriated for anti-racist practices. Following the Marxist assumption that 'the color line' is a class conflict on the international level, Du Bois contended that the 'Negro' is an outcome of slavery which is in turn a subsystem of Western capitalism. He also argued that, since the 'Negro' is not a biological essence but a sociocultural formation, the identity of the 'Negro' can and must be reconstructed according to historical change. For Du Bois, therefore, the resistance against colonialism and capitalism became a resistance against racism. This is why his Pan-African movement shifted its gear from the American program in the initial phase to a truly 'Afrocentric' and socialist one.

GIS를 이용한 문화정보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ve Methods of the Cultural Information System using GIS)

  • 문병채;박현욱;정태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43-60
    • /
    • 2003
  • 문화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데 있어서 여러 방안이 있을 수 있는데, 본 논문은 그 중에서도 지리정보시스템에 의한 구축방안에 대해서 연구한 것이다. 그것은 지역문화가 그 특성상 시 공간을 떠나서는 있을 수 없고 문화구성 요소들이 상호 기능적으로 복잡하게 얽혀있는 관계로 모든 내용이 시 공간과 결부되고 수많은 여러 데이터가 기능적으로 연계되어 있어 이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지금까지의 구축된 문화정보시스템들 대부분이 지역의 문화정체성 파악에 요구되는 지역문화의 영역설정이나 공동체적 생활권 설정에 한계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문화현상을 분석하고 연구하는데도 한계가 있었던 데도 기인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에서는 단순한 유물 유적 지도가 아닌 즉, 객체적인 역사문화유적 지도를 뛰어 넘는 문화표현의 방식에 대한 연구방법과 그들을 효과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 하기 위해 XML을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구축을 연구하였고, 더 나아가 다양한 문화현상 분석과 함께 문화콘텐츠 제작에 보다 널리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 PDF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중간평가체계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rim Evaluation System for Integrated Rural Village Cluster Development Project)

  • 김경량;최윤상;홍성규
    • 농촌계획
    • /
    • 제12권2호
    • /
    • pp.65-73
    • /
    • 2006
  •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n interim evaluation system for the Integrated Rural Village Cluster Development Project(IRVCDP) which can secure its identity and sustainability, and induce its early settlement, and to derive plans for its steady progress. The evaluation system consists of three levels. The highest-order level is evaluation purposes, which describe IRVCDP's goals. They are expansion of income bases(EIB),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s(ILE), strengthening of regional capabilities(SRC) and constructing effective project operation system(CEPOS). The second level is evaluation items, which each characterize the relevant evaluation purposes. The last level is evaluation indices, which observe achievement f3r evaluation purposes. 22 evaluation indices are selected to satisfy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rough a brainstorming process and a survey on opinions of experts for those evaluation purposes and evaluation items which are derived from analyzing the IRVCDP's properti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indices selected are determined through the AHP analysis. The most intriguing result from the AHP analysis is that strengthening of regional capabilities i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one among evaluation purposes. It can be said that this result is parallel to a ultimate goal of the IRVCDP.

근대적 궐내 외교관 의례의 성립과 1899~1902년 경운궁 휴게소의 건립 (Constructing Foreign Reception Hall and Modern Royal Diplomatic Protocol in the Gyungungung Palace during 1899-1902)

  • 장필구
    • 건축역사연구
    • /
    • 제27권2호
    • /
    • pp.79-88
    • /
    • 2018
  • Foreign Reception Hall in Gyeongungung Palace was constructed during 1899-1902 according to Yesigjangjeong (禮式章程), Korean Empire's modern diplomatic protocol. This bulilding is a case worthy of notice, because its construction process was written in Jubon(奏本), Korean Empire's official document. Yesigjangjeong(禮式章程) regulates the process of diplomat's audience with Emperor Gojong. The process suggested that Foreign Reception Hall was designed as the place of the end as well as the beginning for audience. According to the process, diplomat came through main gate, Daehanmun and outer gate of main hall(Junghwajeon Hall, Audience Hall), then arrived at the stair to Foreign Reception Hall. After waiting time in the hall, he was going to be granted an audience with Emperor. And he exited through Foreign Reception Hall as the reverse way. This hall was constructed as western-style. Subcontracted carpenters and wood sculptors and laborers from China represents that chinese workers were prevailed in the government construction at that time. And modern building materials, such as glass, colored brick, sanitary wares and lightings were applied, which showed the new landscape in the middle of Gyeongungung Palace. Above all, official documents related with this hall reveals Korean Empire supervised this construction for diplomatic protocol. That is the identity of western-style buildings in Gyeongungung Pa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