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nective adverb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자유 발화 자료에 나타난 {그래가지고}의 접속 부사화 (A Study on the Lexicalization of {Geuraegajigo} Based on the Spontaneous Speech Corpus)

  • 하영우;신지영
    • 한국어학
    • /
    • 제64권
    • /
    • pp.195-223
    • /
    • 2014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orphemization of {Geuraegajigo} based on a spontaneous speech corpus. For this purpose, the distributions, the semantic functions, and the intonational phrase pattterns of the connective {Geuraegajigo} have been analyzed based on the corpus. The results are as follow; at first, coalescence that comes with a morphemization process was found, resulting in many variations. Secondly, there are three functions of it: [Direct/Indirect interrelationship], [Enumerate conjunction], and [Discourse marker]. And this semantic/functional diversity has many similarities with conjunctive adverbs. Lastly, intonational phrase patterns of {Geuraegajigo} accord with those of conjunctive adverbs. Especially, the discourse strategic IP pattern is connected with the short variation type. In conclusion, {Geuraegajigo} has finished turning into a conjunctive adverb through morphemization.

다각적 관점에서 본 시조 형식 연구 (A study on the Form of Sijo seen from Various Aspects)

  • 임종찬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30집
    • /
    • pp.147-164
    • /
    • 2009
  • 이 논문에서 밝힌 바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태 일반적으로 말해온 음수율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각 숫자는 음보율에서는 음보 단위가 되고 있다. 현대시조에 와서는 자수의 넘침이 고시조보다 심한 경우가 있지만 대체로 아래 표로 정리될 수 있겠다. 초장 3(2 - 4) $\leqq$ 4(3 - 5) $\vee$ 3(4 - 5) $\leqq$ 4(3 - 5) 중장 3(2 - 4) $\leqq$ 4(3 - 5) $\vee$ 3(4 - 5) $\leqq$ 4(3 - 5) 종장 3(고정) $\prec$ 5(6 - 7) $\vee$ 4(3 - 5) $\geqq$ 3(4) 둘째, 문장구조의 측면에서 시조 형식을 살펴본 결과는 이렇게 설명된다. 1) 각 장은 수식어를 극도로 배제하여 논리전개를 명확하게 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고시조는 시의 형식을 취하지만 언어로서 논리 정연한 문장이었다. 사고의 배치가 안정되고 전달내용이 정제되어서 의미의 혼란을 야기시키지 않았다. 2) 고시조는 의미와 의미의 연결을 확실히 하여 텍스트로서 단단히 결속되어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즉 고시조는 어느 것이나 장과 장 사이에는 연결성(응결성, 응집성)이 확실하게 존재하고 있어 의미의 맥락이 정돈되고 마무리된다. 3) 종장의 앞에는 비록 생략되어있지만 의미상 '그래서' '그런데'라는 접속부사가 한정적으로 놓인다는 점이다. '그래서' '그런데' 가 놓여야 종장이 말하는 의미의 마무리가 확보하게 되는데 고시조는 이런 접속부사가 생략되어 나타나고 있다. 4) 시조의 각 후의 문장은 다음 4가지 형태로 짜여 있어서 안정된 기반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정형시는 시행이 통사적 제약을 받는 경우가 많다. 한시(漢詩)의 칠언시(七言詩)의 경우는 의미맥락이 4와 3으로 나누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고시조는 다음과 같이 짜여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ㄱ) 주어구 + 서술어구 ㄴ) 전절 + 후절 ㄷ) 위치어 + 문(文) ㄹ) 목적어구 + 서술어구 이렇게 짜여 있기 때문에 시조를 일러 3장 6구라고 한다. 이것은 시조가 정형시임을 입증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볼 때, 시조형식을 음수율, 또는 음보율로 설명한다 해도 음수율을 가미한 음보율로서 설명되어야 하겠고, 문장구조상의 형식을 보충해야만 보다 충실한 시조형식을 설명하게 된다고 할 수 있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