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es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5초

Pinus radiata 소나무의 정아내(頂芽內) Arginine함량(含量)의 시기적변화(時期的變化) (Seasonal Variation of Arginine in Buds of Pinus radiata in Relation to Flower Initiation)

  • 홍성옥;지 비 수이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9-67
    • /
    • 1977
  • 본(本) 실험(實驗)에서는 Pinus radiata의 정아내(頂芽內) 유리(遊離) arginine함량(含量)의 시기적(時期的) 변화(變化를) 화아분화(花芽分化)와 관련(關聯)하여 1974년(年) 5월(月)부터 1975년(年) 6월(月)까지의 기간(其間)에 걸쳐 연구(硏究)하였다. 사용(使用)된 정아(頂芽)는 뉴질랜드 로토루아시(市) 소재(所在) 임업연구소(林業硏究所) 포장(圃場)에 생장(生長)하고 있는 4개(個)의 Clone에서 채취(採取)하였으며, 전년도(前年度)에 개화(開花)하였던 가지의 정아(頂芽)를 arginine 분석(分析)에 이용(利用)하였다. 본(本) 연구(硏究)의 주요(主要)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一般的) 정아내(頂芽內) arginine의 함량(含量)은 4개(個) Clone에서 공(共)히 화아분화기(花芽分化期)인 12월(月)~3월(月)(북반구(北半球)의 6월(月)~9월(月)에 해당(該當)에 절정(絶頂)에 달(達)하였고 개화기(開花期)인 8월(月)~9월(月)에 가장 저조(低調)하였다. 2. 화아분화기중(花芽分化期中) arginine이 절정(絶頂)에 달(達)하는 회수(回數)는 각(各) Clone의 자화분화(雌花分化)의 주기수(週期數)(P. radiata에서는 1~3주기(週期)임) 대체(大體)로 일치(一致)하였다. 3. 개화량(開花量)이 많은 Clone은 적은 Clone에 비(比)하여 높은 arginine함량(含量)을 나타내었고 이러한 현상(現象)은 특(特)히 화아분화기(花芽分化期)에 더욱 현저(顯著)하였다. 4. 그러므로 정아내(頂芽內) Arginine의 함량(含量)은 화아분화(花芽分化)와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다고 사료(思料)된다.

  • PDF

한국산(韓國産) 4개(個) 지역형(地域型) 소나무천연림(天然林)의 물질(物質) 현존량(現存量) 추정식(推定式)에 관(關)한 연구(硏究) (Biomass Regressions of Pinus densiflora Natural Forests of Four Local Forms in Korea)

  • 박인협;김준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3호
    • /
    • pp.323-330
    • /
    • 1989
  • 한국산(韓國産) 소나무천연림(天然林)의 효과적인 현존량(現存量) 추정식(推定式)을 파악하기 위하여 4개(個) 지역형별(地域型別) 전형적인 수형을 가지는 임분(林分)을 대상으로 임분별(林分別) 10주(株)씩 총 40주(株)의 표본목(標本木)을 선정(選定) 벌목(伐木)하여 임분별(林分別), 부위별(部位別) 현존량(現存量) 추정식(推定式)을 3개(個) 상대성장식(相對成長式)(logWt=A+BlogD, logWt=A+B $1ogD^2H$, logWt=A+BlogD+ClogH)에 의하여 유도한 결과 전반적으로 logWt=A+BlogD-ClogH 식의 적합도(適合度)가 높았다. 그러나 고사지(故死枝)와 모구(毬果)의 경우 흉고직경(胸高直徑)과 수고(樹高) 즉, 개체목(個體木)의 크기 인자와의 관계(關係)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성(實用性)을 고려하여 4개(個) 임분(林分) 전체의 표본목(標本木) 40주(株)에 대한 일괄상대성장식(一括相對成長式)을 유도하고 임분별(林分別) 회귀식간(回歸式間)의 분산(分散), 기울기, 절편(截片)의 차이 유무를 검정한 결과 흉고직경(胸高直徑)만을 독립변수(獨立變數)로 하는 경우 보다 흉고직경(胸高直徑)과 수고(樹高)를 독립변수(獨立變數)로 할 경우 지성형간(地城型間)의 차이를 어느정도 배제할 수 있었으나, 임분별(林分別) 회귀식간(回歸式間)의 분산(分散) 절편(截片)에서 유기적(有機的)인 차이를 보임으로써 4개(個) 임분(林分)에 대한 일괄상대성장식(一括相對成長式)의 작용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나무 군락의 장기적 낙엽생산을 통한 영양염류 이입량 (Long Term Litter Production and Nutrient Input in Pinus densiflora Forest)

  • 원호연;이영상;한아름;김덕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3-29
    • /
    • 2018
  • 월악산 국립공원에서 2009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5년간 낙엽생산량과 낙엽을 통해 임상으로 이입되는 영양염류량을 조사하였다. 잎, 가지, 생식기관, 기타로 분류된 낙엽의 5년간 평균 생산량은 각각 $1.940{\pm}0.21$, $0.505{\pm}0.15$, $0.259{\pm}0.09$, and $0.737{\pm}0.14t\;ha^{-1}yr^{-1}$ 이었으며 낙엽구성원의 비율은 각각 56.4, 14.7, 7.5, 21.4%, 로 잎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조사기간 동안 생산된 낙엽의 총량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각각 2.810, 3.796, 3.268, 3.284, $4.045ton\;ha^{-1}yr^{-1}$ 으로, 5년간 평균 $3.441{\pm}0.4ton\;ha^{-1}yr^{-1}$의 낙엽이 생산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조사된 낙엽을 통해 입상에 이입되는 질소,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의 평균 이입량은 각각 $22.73{\pm}4.92$, $1.05{\pm}0.42$, $4.26{\pm}1.69$, $8.48{\pm}4.62$, $2.42{\pm}1.01kg\;ha^{-1}yr^{-1}$ 이었다.

쐐기 및 원추 주위의 불안정한 충격파 유도연소 해석 (Analysis of Unstable Shock-Induced Combustion over Wedges and Conical Bodies)

  • Jeong-Yeol Choi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3년도 제20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33
    • /
    • 2003
  • Mechanism of a periodic oscillation of shock-induced combustion over a two- dimensional wedges and axi-symmetric cone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series of numerical simulations at off-attaching condition of oblique detonation waves(ODW). A same computational domain over 40 degree half-angle was considered for two-dimensional and axi-symmetric shock-induced combustion phenomena. For two-dimensional shock-induced combustion, a 2H2+02+17N2 mixture was considered at Mach number was 5.85with initial temperature 292 K and initial pressureof 12 KPa. The Rankine-Hugoniot relation has solution of attached waves at this condition. For axi-symmetric shock-induced combustion, a H2+2O2+2Ar mixture was considered at Mach number was 5.0 with initial temperature 288 K and initial pressure of 200 mmHg. The flow conditions were based on the conditions of similar experiments and numerical studies.[1, 3]Numerical simulation was carried out with a compressible fluid dynamics code with a detailed hydrogen-oxygen combustion mechanism.[4, 5] A series of calculations were carried out by changing the fluid dynamic time scale. The length wedge is varied as a simplest way of changing the fluid dynamic time scale. Result reveals that there is a chemical kinetic limit of the detached overdriven detonation wave, in addition to the theoretical limit predicted by Rankine-Hugoniot theory with equilibrium chemistry. At the off-attaching condition of ODW the shock and reaction waves still attach at a wedge as a periodically oscillating oblique shock-induced combustion, if the Rankine-Hugoniot limit of detachment isbut the chemical kinetic limit is not.Mechanism of the periodic oscillation is considered as interactions between shock and reaction waves coupled with chemical kinetic effects. There were various regimes of the periodicmotion depending on the fluid dynamic time scal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dimensional and axi-symmetric simulations were distinct because the flow path is parallel and uniform behind the oblique shock waves, but is not behind the conical shock waves. The shock-induced combustion behind the conical shockwaves showed much more violent and irregular characteristics.From the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 chemical time, condition of the periodic instability is identified as follows; at the detaching condition of Rankine-Hugoniot theory, (1) flow residence time is smaller than the chemical characteristic time, behind the detached shock wave with heat addition, (2) flow residence time should be greater than the chemical characteristic time, behind an oblique shock wave without heat addition.

  • PDF

단순화 이선원 모델을 이용한 전자선 선량율 계산 알고리듬에 관한 예비적 연구 (A Feasibility study on the Simplified Two Source Model for Relative Electron Output Factor of Irregular Block Shape)

  • 고영은;이병용;조병철;안승도;김종훈;이상욱;최은경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3권1호
    • /
    • pp.21-26
    • /
    • 2002
  • 블록을 사용한 부정형 전자선 조사면에서의 선량율(relative output factor, ROF)을 계산하는 전자선 알고리듬을 개발하고, 측정값과 계산값을 비교하여 알고리듬을 평가하였다. 전자선의 선량은 산란판, 전자선 cone 등 모든 요소를 고려한 1차선 부분과 블럭에 의한 2차선의 합으로 표시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으며, 1차선은 가우스 분포를, 2차선은 거리역제곱 법칙만을 따른다고 가정하였다. 2차선 블럭 산란에 의한 각 분포는 고려하지 않았다. 이런 방법으로 전자선의 ROF를 유효 SSD, 1차선 분포 표준편차, 2차선 발생율 등 3가지의 인자만을 이용하여 선량율을 계산할 수 있는 단순한 방식을 고안하였다. 6, 9, 12, 16, 20 MeV의 전자선을 사용하여 이 모델을 검증하였다. 측정은 항상 개방 조사면의 선량 최대지점 깊이에서 실시하였으며 다양한 정사각형 치료면 측정으로 3개의 인자를 구할 수 있었다 직사각형 조사면과 부정형 조사면에 대하여 이 모델을 이용한 계산값과 측정값의 차이는 평균 1.0%이내였으며, 최대 2.1%를 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알고리듬은 필요한 인자가 3개이면서 매 전자선 콘마다 5∼6회 측정으로 구할 수 있어서 임상 적용에 편리하며, 계산 결과가 정확하여 특이 오차를 보이는 유형에 관한 보완 연구를 수행하면 임상에 사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한국인 성인의 상악 전치부 치조골 형태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Radiographic evaluation of alveolar bone profile of maxillary anterior teeth in Korean young adult)

  • 서효석;정진형;임성빈;홍기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2호
    • /
    • pp.461-471
    • /
    • 2006
  • In order to achieve a satisfactory esthetic result of periodontal surgery or implant in maxillary anterior area, periodontists must be aware of normal alveolar bone anat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alveolar bone morphology to tooth shape and form. 78(mean age : 25 yrs) periodontally healthy volunte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o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one lateral incisor were selected to study. With minimal local anesthesia, gutta-percha cone inserted to labial gingival sulcus of selected teeth just after bone sounding with periodontal probe. Metal ball (4mm diameter) attached to palatal fossa of central incisor. Then, periapical radiograph was taken according to long cone paralleling technique. After film scan, labial alveolar bone profile reproduced along interproximal bone and apical ends of gutta-percha cones on computer screen. By utilizing computer program, the distance from height of interproximal bone to the labial bone crest in central incisor-central incisor and central incisor-lateral incisor area was measured and converted to real distance by using vertical length of metal ball on film. After measuring crown length & width of central incisor, the 10 individuals ranked lowest GW/L ratio (crown width/length ratio) and the 10 ranked highest were selected as having a long-narrow(group N), or a short-wide(group W) form of the central incisors. Means of the distance from height of interproximal bone to the labial bone crest of group N, W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by means of independent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distance from the height of the interproximal bone to the labial bone crest was $3.5{\pm}0.7mm$ between two central incisor, and $2.8{\pm}0.6mm$ between central and lateral incisor. 2. Mean GW/L ratio of group N was 0.57, and group W was 0.8. Mean distance from the height of the interproximal bone to the labial bone crest of group N was higher than group W in both measured area(measurements of group N, W were $3.9{\pm0.2mm$ and $3.5{\pm}0.2mm$ between two central incisor, $3.0{\pm}0.2mm$ and $2.8{\pm}0.2mm$ between central and lateral incisor),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 groups were compared. Within the limits of the present study, there was a tendency that subjects with long-narrow teeth have more scalloped alveolar bone profile than subjects with short-wide teeth in upper anterior area,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제주도 당산봉 화산의 화산과정 (Volcanic Processes of Dangsanbong Volcano, Cheju Island)

  • 황상구
    • 암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4
    • /
    • 1998
  • 당산봉 화산은 제주도 서쪽 끝 해안에 위치하며, 응회구, 분석구, 용암대지 및 애추층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의 암상과 층서는 써제이언분출, 스트롬볼리언분출, 하와이언분출 순으로 전개되는 화산 과정과 외력쇄설 지표과정을 나타낸다. 당산봉 응회구는 마그마와 해수가 상호작용하여 스팀폭발함으로서 형성되는 써쩨이언분출에 의한 구조물이다. 이 분출은 초기에 습윤한 테프라수지상분사 활동상이었고, 중기에 보다 덜 습윤한 테프라의 연속분승 활동상과 테프라수지상분사 활동상이 교대로 진행되었으며, 후기에 보다 건조한 초써쩨이언분사 활동상으로 전환되었다. 분석구는 응회구의 축조로 외부 물의 완전한 제한으로 인해 써제이언분출이 종식되고 스트롬볼리안분출로 전환됨으로써 형성되었다. 이 분출은 초기에 분석 위주로 포출하였으며 후기에 스패터 위주로 포출하는 활동상으로 변화되었다. 용암대지는 화도내 마그마 개스의 고갈로 폭발력이 소진되어 하와이언분출로 전환되므로써 형성되었다. 이 분출은 초기에 용암분천 활동상 위주로 진행되었으나 후기에 용암분류 활동상으로 변화되었다.

  • PDF

희귀수종 눈잣나무의 구과보호망 효과 및 구과와 종자의 형태적 변이 (The Effect of Cone Protective Net and the Morphological Variation of Cone and Seed of Korea Rare Endemic Pinus pumila Regel)

  • 송정호;임효인;장경환;김두현;손장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01-406
    • /
    • 2012
  • 국내 유일 설악산에만 분포하는 희귀수종 눈잣나무의 현지외 보존을 위한 종자수집에 따른 구과보호망의 효과와 수집된 구과와 종자의 형태적 특성 변이를 조사하였다. 철망으로 설치된 구과보호망(50 mesh, 25 ${\times}$ 25 cm)은 설치류나 조류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종자유전자원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월 초순부터 설치하는 것이 처리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눈잣나무 구과는 열개하지 않는 폐과이며 종자에는 날개가 없고 주로 잣까마귀와 설치류 등의 먹이저장 습성에 의해 종자가 산포된다. 구과의 형태적 특성 변이는 개체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평균특성은 구과길이 35.3 mm, 구과폭 25.6 mm, 구과지수 1.38, 구과건중 6.6 g, 구과당 종자수 39.3립을 각각 나타냈다. 종자는 삼각모양의 달걀형으로 날개가 없으며 개체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평균특성은 종자길이 8.12 mm, 종자폭 5.81 mm, 종자지수 1.40,종자두께 4.62 mm, 종자무게 0.11 g을 각각 나타냈다. 변이계수 값은 구과건중과 구과당 종자수에서만 비교적 높은 21.7%와 21.5%를 각각 나타냈다. 구과와 종자특성 상관분석에서는 구과와 종자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고 모양이 길어지며, 무게도 많이 나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또한 종자폭이 넓고 종자두께가 두꺼울수록 구과당 종자수는 작아지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제품별 직접구가 흰쥐의 소장수송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Company's Moxa Cautery on Small Intestinal Motility in Rats)

  • 유윤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332-1340
    • /
    • 2009
  • Moxa-combustion therapy makes use of heat stimulus and chemicals result form when cauterize the skin with moxa cones to medical cares. Despite an extensive evidence-base guiding the selection of stimulation parameters and attributes of subject, little methodologically research regarding the attributes of moxa cautery in need to provide effective stimulation. To determine moxibustion's effects of the three different moxa cautery made by three different company(as A, B, C), the small intestinal motility in rats were observed after moxibustion at ST36. Under anesthesia, each intensities(1, 5, 10 times), two regions(left and right at ST36) and a quantity(as number of 1, 5, 10 times at once) were applied to the groups divided with sex. In each intensities groups, the A product made increase with 5, 10 times in male and female group. The B and C product made increase with 10 times in male group and the B product made increase with 1, 5, 10 times and the C product made increase with 5 times in female group. In two regions(left and right at ST36) groups, the A and C product made increase with 1(right), 5(right) times and the B product made increase with 1(left), 10(left), 10(right) times in male group. In female group, the A product made increase with 5(left), 5(right), 10(right) times and the B product made increase with 1(left), 10(left), 10(right) times and the C product made increase with 5(left), 10(left) times. In a quantity(as number of 1, 5, 10 times at once) groups, the A and B product did not show any changes but the C product made increase with a quantity of 10 times in male group. In female group, The B product made increase with a quantity of 1 times and the C product made increase with a quantity of 5 times, but the A product did not show any changes. Three different moxa cautery made by three different company made differents result in each group divided with sex. With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we should consider the a process of manufacture and moxa cautery's quality for the adequate value of moxibustion.

제주도 북서부 지역 화산암체의 지질공학 특성 (Engineering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volcanic rocks of the Northwestern Cheju Island, Korea)

  • 김영기;최옥곤
    • 지질공학
    • /
    • 제1권1호
    • /
    • pp.19-37
    • /
    • 1991
  • 제주도 북서부 지역의 지질은 제4기 플라이스토세에서 홀로세에 형성된 현무암류의 용암체와, 해안변을 따라 분포하는 화산쇄층성 집적층인 성산층, 그리고 기생화산(cindercone)이 30 여개나 분포하고 있다. 이 현무암류(표선리 및 시흥리 현무암 등)들은 주상절리가 심히 발달하고, 다량의 기공을 형성하고 있다. 이 용암들 사이에는 용암공동(lavacave)이 발달하고 있으며, 용암공동에는 화산쇄층물 및 점토층이 협재되어 있다. 내재물들이 지하수에 의해 유거되면, 주상절리가 발달된 이 용암체는 부식, 함역 및 침하를 일으킨다. 특히 이들 용암체의 기공상(크기, 모양, 방향성)은 암체의 공학적 성질(암석의 강도 등)을 좌우하게 된다. 이 기공상은 본 현무암체의 피상강도지배요소가 되어, 이 암체에 대한 유효강도비(Ke, Ke=0.30-0.72)를 도출하였다. 여기서 Ke값이 적을수록 낮은 내부응력을 의미한다. 본역에서는 저위지편보다 고위지편일수록 암체강도가 낮은 성향을 보인다. 또한 피상강도각($\phi$)은 $\phi$=30$^{\circ}$-$10^{\circ}$의 범위로서, 본 화산암체는 대체로 낮은 피상강도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암체의 피상 극한한계치인 0.33을 기준으로 할 때, 거의 대부분이 Ke>0.33이 되어 지질공학적 불안정영역에 속하는 암체라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