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e cell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산 미꾸리과 어류 왕종개 Iksookimia longicorpa 망막의 시각세포 (Visual Cells in the Retina of Iksookimia longicorpa (Pisces; Cobitidae) of Korea)

  • 김재구;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57-262
    • /
    • 2015
  • 한국고유종인 왕종개의 안구를 관찰하고 망막에 존재하는 시각세포의 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왕종개의 안구는 $3.53{\pm}0.2mm$의 크기였으며 두장대 안경비율은 $14.08{\pm}0.7$이였다. 시각세포의 수직단면을 확인한 결과 망막은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전체 망막의 두께는 $216.42({\pm}13.36){\mu}m$였으며, 시각세포의 핵이 존재하는 바깥핵층의 두께는 13.42 $({\pm}2.16){\mu}m$였다. 이형 이중 원추세포 중 긴 원추세포는 $26.42{\pm}1.7{\mu}m$의 길이였으며 직경은 $5.12{\pm}0.6{\mu}m$로 확인되었다. 짧은 원추세포는 $16.82{\pm}1.1{\mu}m$의 길이였으며 직경은 긴 원추세포와 유사한 $5.10{\pm}0.31{\mu}m$로 확인되었다. 간상세포는 길이 $40.13{\pm}2.4{\mu}m$였으며 직경 $3.95{\pm}0.4{\mu}m$로 확인되었다. 시각세포의 수평단면을 확인한 결과 이형 이중 원추세포가 규칙적인 배열로 인해 열 배열(row-type)의 모자이크 패턴으로 나타났다. 긴 원추세포와 짧은 원추세포가 하나의 쌍을 이루었으며 긴 원추세포는 내절이 절단되어 eosin에 염색되었으며 짧은 원추세포는 외절이 절단되어 hematoxylin에 염색되었다. 전자현미경을 통해 미세구조를 확인한 결과 내절과 외절로 구분되고 내절은 장타원형으로 확인되었다. 외절에는 디스크구조의 판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내절과 외절을 연결해주는 배상극 (calyceal processes)들이 가장자리에 분포하고 있었다.

고추잠자리 複眼의 電子顯微鏡的 構造 (Ultrastructures of the Compound Eye in Dragonfly, Crocothemis servilia Drury)

  • 백경기;최춘근;신길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11-131
    • /
    • 1972
  • 고추잠자리 複眼의 망막의 미세구조가 전자현미경적으로 연구되었다. 個眼의 綱膜層을 이루고 있는 細胞의 數는 모두 8個이나, 이는 綱膜層에 따라 그 수를 달리한다. 따라서 綱膜細胞의 수에 의해 망막층은 三分되며, 中間層의 基部綱膜細胞는 부근의 두 感桿體를 연결하고 있다. 세 개의 感桿體가 서로 $120^{\circ}$의 각도를 갖고, 융합되어 이루어진 감간체는 횡단면에서 삼각형을 이루고 있으며 絨毛突起는 外心을 둘러싸고 전자밀도가 다른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전자밀도가 약한 내부 絨毛突起는 세포질과 서로 通하고 있다. 粗面小胞體는 綱膜세포의 端部에서 空胞와 연결되고 있으며 수많은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의 中間部位에 산재되어 있다. 圓錐晶體는 4個의 圓錐세포로서 구성되며 주위에는 많은 색소세포가 존재한다.

  • PDF

Central giant-cell granuloma in a patient with neurofibromatosis type 1: 7 years of follow-up

  • Michelle Briner Garrido;Rohan Jagtap;Christopher D. Matesi;Vivian Diaz;John Hardeman;Anita Gohe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50권1호
    • /
    • pp.49-55
    • /
    • 2024
  • Neurofibromatosis type 1 (NF1) is an autosomally dominant tumor suppressor syndrome and multisystem disease. Central giant-cell granulomas (CGCGs) can be seen in patients with NF1. A 21-year-old female was diagnosed with two CGCGs, one in the mandible and then one in the maxilla, in a 7-year period. Increased incidence of CGCGs in NF1 patients was thought to be caused by an underlying susceptibility to developing CGCG-like lesions in qualitatively abnormal bone, such as fibrous dysplasia. However, germline and somatic truncating second-hit mutations in the NF1 gene have been detected in NF1 patients with CGCGs, validating that they are NF1-associated lesions. Oral manifestations in patients with NF1 are very common. Knowledge of these manifestations and the genetic link between NF1 and CGCGs will enhance early detection and enable optimal patient care.

바퀴의 중장 상피조직내에 있는 분비과립세포 (Secretory Granul Cells in the Midgut Epithelium of the Blattella germanica L.)

  • 류재혁;김우갑;김창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10권1_2호
    • /
    • pp.1-6
    • /
    • 1980
  • 바퀴 (Blattella germanica L.)의 중장 상피내에 있는 분비과립세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직경이 약 $200{\AA}$크기의 분비과립을 가지고 있는 secretory granul cell은 그 형태와 위치 그리고 세포질의 염색성에 따라 3가지 types으로 구별할 수 있다. 1) 세포와 핵의 형태가 구형이면서 세포질 내에는 mitochondria, vacuoles등 세포 소기이관 풍부한 light secretory granul ceil, 2) 세포는 작고 타원형이며 세포질 내에는 세포 소기관들이 발달하지 않았으며, 재생세포 집단의 기부에 위치하는 light secretory granular cell, 3) 세포는 원추형이면서 세포질 내에는 endoplasmic reticulum, ribosomes등이 풍부하며 많은 수의 분비과립을 가지며, 세포질은 짙은 염색성을 나타내는 dark secretory granul cell등인데 이들은 모두 상피조직의 기저막상에 밀착되어 있다.

  • PDF

Neuron-specific expression of p48 Ebp1 during murine brain development and its contribution to CNS axon regeneration

  • Ko, Hyo Rim;Hwang, Inwoo;Ahn, So Yoon;Chang, Yun Sil;Park, Won Soon;Ahn, Jee-Yin
    • BMB Reports
    • /
    • 제50권3호
    • /
    • pp.126-131
    • /
    • 2017
  • P48 Ebp1 is expressed in rapidly proliferating cells such as cancer cells and accelerates cell growth and survival. However, its expression pattern and role in central nervous system development have not been studied. Here, we demonstrated the spatiotemporal expression pattern of p48 Ebp1 during embryonic development and the postnatal period. During embryonic development, p48 Ebp1 was highly expressed in the brain. Expression gradually decreased after birth but was still more abundant than p42 expression after birth. Strikingly, we found that p48 Ebp1 was expressed in a cell type specific manner in neurons but not astrocytes. Moreover, p48 Ebp1 physically interacted with beta tubulin but not alpha tubulin. This fits with its accumulation in distal microtubule growth cone regions. Furthermore, in injured hippocampal slices, p48 Ebp1 introduction promoted axon regeneration. Thus, we speculate that p48 Ebp1 might contribute to microtubule dynamics acting as an MAP and promotes CNS axon regeneration.

Hot Cell 내의 고방사능 분진 제거를 위한 사이클론 적용 실험 (Application of Cyclone to Removal of Hot Particulate in Hot Cell)

  • 김계남;이성열;원휘준;정종헌;오원진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7-75
    • /
    • 2005
  • 원자력시설 핫셀 (Hot Cell)내에서 핵종실험 시 발생하는 고방사능 분진(Hot Particulate)의 크기는 0.5300 ${\mu}m$이고 주 핵종은 UO$_2$였다. 핫셀 내의 고방사능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사이클론과 Bag/HEPA필터로 구성된 장치를 고안하였고, 이 장치의 사이클론에 의해 고방사능 분진을 최대로 포집할 수 있는 실험조건을 제시했다. 모의입자의 크기가 클수록 입자의 포집효율은 높았다. 모의 입자의 크기가 5${\mu}m$ 이상일 때, 입자의 포집효율은 $80\%$보다 높았다. 모의 입자의 크기가 1.0 ${\mu}m$ 보다 작을 때, 포집효율은 $70\%$ 보다 작았다. 모의 입자의 유입속도가 12 m/sec보다 클 때, 포집효율은 $70\%$보다 높았다. 그러나 유입속도가 17 m/sec 보다 클 때 포집효율의 증가율은 크지 않았다. 모의입자의 포집효율은 Vortex Finder의 길이가 7.2 cm이하일 때, 길이의 증가와 함께 높아졌지만 7.2 cm 이상일 때는 낮아지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Vortex Finder의 길이가 7.2 cm 일 때, 최대포집효율을 나타냈다. 사이클론 밑에 보조콘 부착 시 모든 속도 범위에서 약 평균 $2\%$ 정도 포집효율이 증가하므로 보조콘 부착효과가 크지 않았다.

  • PDF

청색광에 의한 마우스 망막손상에서 선택적 광수용세포의 사멸 (Blue-light Induces the Selective Cell Death of Photoreceptors in Mouse Retina)

  • 강서영;홍지은;최은정;류정묵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9-76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망막색소상피층에 색소가 존재하는 mouse에서 청색광으로 인해 광수용세포 손상이 일어날 수 있는지 확인하고, 광수용세포 중 특이적 세포에서 세포사멸이 유도되는지 조사하여 청색광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연령관련 황반변성의 기전 규명과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진행되었다. 방법: C57black mice를 24시간 암순응 시켜 463 nm의 청색광을 $2800{\pm}10lux$로 조사한 후 1일, 3일, 7일째에 안구를 적출하였다. 청색광의 자극은 GFAP(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단백질의 발현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광수용세포의 세포사멸은 TUNEL(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 labeling)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Western blotting으로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c-JUN, SRC(Sarcoma)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고, 막대세포와 원뿔세포의 손상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면역염색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청색광을 조사한 후 1, 3, 7일이 지난 망막은 대조군 보다 전체적으로 두께가 감소하였고, 각 얼기층보다 핵층에서 두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청색광을 조사한 후 1일 지난 Muller glia에서 GFAP 단백질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UNEL 염색에서는 청색광을 조사한 후 1일 지난 망막의 광수용세포에서 가장 많은 발현을 보였다. 세포사멸 기전 과정 중 하나임을 확인하기 위해 ERK, c-JUN, SRC 단백질 활성을 확인한 결과 청색광을 조사한 망막에서 phosphorylated ERK는 증가하였고 phosphorylated SRC는 조사 후 1일에서만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반대로 phosphorylated c-JUN은 조사 후 1일에서만 감소하였다. 청색광을 조사한 망막에서 막대세포 발색단인 로돕신과 원뿔세포의 발색단인 옵신이 감소하였으며, 옵신의 감소량은 로돕신의 감소량보다 큰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청색광이 망막에 손상자극을 주고, ERK와 SRC 신호전달과 관련하여 광수용세포의 세포사멸을 일으킬 수 있으며 청색광이 광수용세포 중 원뿔세포의 세포사멸을 직접적으로 유도하여 망막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구척(狗脊) 메탄올추출액이 신경세포의 재생 및 회복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OH Extract of Cibotium barometz for Repair and Regeneration of Nogo A-injuried Neuroblastoma Cells)

  • 김상태;김정도;김영균
    • 생약학회지
    • /
    • 제35권2호통권137호
    • /
    • pp.105-109
    • /
    • 2004
  • The effect of MeOH extract of Cibotium barometz (or Cibaro) on nogo-A expression was studied by neurite cone collapse and neurite outgrowth assay. The degrees of mRNA expression of BDNF, GDNF, and Caspase-3 in nogo-A were also examined with SK-N-SH cell lines using RT-PCR and confocal microscopy methods. We have shown that Cibaro treatment inhibits nogo-A activation in SK-N-SH cell lines. It has been shown that Cibaro increases the expression rates of neurofilament and enhances neurite outgrowth in neuroblastoma cells as increasing the amount of Cibaro. It has been also shown that Cibaro increases the expression rates of BDNF, GDNF mRNA in neuroblastoma cells as increasing the amount of Cibaro. These results suggest that Cibaro induces neutrite outgrowth by nogo-A inactivation and is, therefore, crucial for the treatments against anaplastic disc and spinal neuronal anesthesia.

Germ Cell Development during Spermatogenesis and Taxonomic Values of Sperm Morphology in Septifer (Mytilisepta) virgatus (Bivalvia: Mytilidae)

  • Kim, Jin-Hee;Kim, Sung-Ha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3호
    • /
    • pp.239-247
    • /
    • 2011
  • Spermatogenesis and taxonomic values of mature sperm morphology of in male Septifer (Mytilisepta) virgatus were investigat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The morphologies of the sperm nucleus and the acrosome of this species are the cylinder shape and cone shape, respectively. Spermatozoa are approximately 45-50 ${\mu}m$ in length including a sperm nucleus (about 1.26 ${\mu}m$ long), an acrosome (about 0.99 ${\mu}m$ long), and tail flagellum (about 45-47 ${\mu}m$). Several electron-dense proacrosomal vesicles become later the definitive acrosomal vesicle by the fusion of several Golgi-derived vesicles. The acrosome of this species has two regions of differing electron density: there is a thin, outer electron-dense opaque region (part) at the anterior end, behind which is a thicker, more electron-lucent region (part). In genus Septifer in Mytilidae, an axial rod does not find and also a mid-central line hole does not appear in the sperm nucleus. However, in genus Mytilus in Mytilidae, in subclass Pteriomorphia, an axial rod and a mid-central line hole appeared in the sperm nucleus. These morphological differences of the acrosome and sperm nucleus between the genuses Septifer and Mytilus can be used for phylogenetic and taxonomic analyses as a taxonomic key or a significant tool. The number of mitochondria in the midpiece of the sperm of this species are five, as seen in subclass Pteriomorphia.

배추흰나비 옆홑눈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Stemmata in Cabbage Butterfly, Pieris rapae L.)

  • 김창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25권4호
    • /
    • pp.9-16
    • /
    • 1995
  • Ultrastructure of stemmata(larval eye) of 5th-instar larval in cabbage butterfly, Pieris rapae L, was morphologically investigated with light microscop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Six stemmata are on each side of the head. Stemmata V and VI have a Y-shaped sulcus on the surface of their corneal lenses, the others have a columnar shaped process and smooth globular surface. The visual type of stemmata is resembled a single ommatidium of compound eye. The dioptric apparatus are a biconvex shaped cornea and crystalline cone. As a photoreceptor, each stemmata consists of 7 retinular cells arranged into 2 tiers. The first ceil tier of 3 distal retinular cells has formed a V-shaped cup rhabdome and the second cell tier of 4 basal retinular cells has formed a H-shaped fused rhabdome. Each retinular cell filled with pigment granules and contained multivesiclular bodies, coated vesicle and common organelles. The peripheral parts of retinular cells are enveloped by neuroglia cells and retinular cells are surrounded by 3 corneagenous cells. The distal portions of the 3 corneagenous cells contact each other, but the Y-shaped stemmata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immediately under the cornea. The 7 axons from each stemma congregate into a bundle and each 7-axon group joins to form a stemmatal nerve, consisting of 42 retinular ax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