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ducting polymer

검색결과 436건 처리시간 0.029초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알루미늄 고체 전해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aluminum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using a conducting polymer)

  • 신달우;김성호;임기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4 No.1
    • /
    • pp.61-64
    • /
    • 2001
  • This study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using a functional polymer composition. The method comprises immersing the rolled aluminum electrolytic capacitor device in polyaniline solution with high electric conductivity to impregnate the device with polyaniline, drying the impregnated device in a drying oven which is maintained at constant temperature to fully remove the solvent, inserting the dried device to a capacitor aluminum can and then sealing with epoxy resin, to manufacture a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using a conducting polymer. As such, the impregnation can be performed well at not only normal temperature and pressure, but also high temperature and reduced pressure. The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has the advantages of high capacity, low impedance and low ESR, and also, low manufacturing cost, simple processes and high reliability.

  • PDF

알미늄 고체 전해 커패시터용 도전성 고분자막의 제조 (Preparation of Conduction Polymer for Solid Type Aluminum Electrolytic Capacitor)

  • 양성현;유광균;이기서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43권3호
    • /
    • pp.528-531
    • /
    • 1994
  • Digitalization in electronic system is required the capacitor which have a large capacitance with small size, low impedance at high frequency, and high reliability. The fabrication and its properties of aluminum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are investigated. Employing conduction polymer film such as, polypyrrole as solid electroylte, solid type aluminum electrolytic capacitors were made. The surface of insulationg oxide is covered with conducting polymer layer prepared by chemical oxidative polymerization. Thereafter this conducting layer is covered with conducting polymer prepared by electrochemical polymerization.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these capacitors were also measured and discussed. Regarding on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trial made capacitor, impedance and ESR at high frequency is lower than those of the stacked type film capacitor. It is alo confirmed that temperature coefficient of capacitance and dissipation factor of the capacitor are lower than those of film capacitor and liquid type aluminum electrolytic capacitor.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알루미늄 고체 전해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aluminum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using a conducting polymer)

  • 신달우;김성호;임기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64
    • /
    • 2001
  • This study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using a functional polymer composition. The method comprises immersing the rolled aluminum electrolytic capacitor device in polyaniline solution with high electric conductivity to impregnate the device with polyaniline, drying the impregnated device in a drying oven which is maintained at constant temperature to fully remove the solvent, inserting the dried device to a capacitor aluminum can and then sealing with epoxy resin, to manufacture a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using a conducting polymer. As such, the impregnation can be performed well at not only normal temperature and pressure, but also high temperature and reduced pressure. The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has the advantages of high capacity, low impedance and low ESR, and also, low manufacturing cost, simple processes and high reliability.

  • PDF

$Orgacon^{TM}$ - The Organic alternative to ITO

  • Louwet, Frank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93-194
    • /
    • 2008
  • $Orgacon^{TM}$ products, based on the conducting polymer PEDOT/PSS, are very promising materials in cost-effective R2R production of large area electronics. This presentation will show both the progress in the surface resistance/VLT and progress in the stability (T/R.H. and light stability). A new generation of films, coating formulations and inks will be presented.

  • PDF

템플레이트의 국소 위치에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 미세구조물의 전기화학 합성 (Electrochemical Template Synthesis of Conducting Polymer Microstructures at Addressed Positions)

  • 이승현;서수정;윤금희;손용근
    • 전기화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0-107
    • /
    • 2004
  • 다공성 멤브레인 필터를 템플레이트로 이용하여 전도성 고분자를 중합하면 템플레이트의 형태대로 나노 또는 마이크로 사이즈의 전도성 고분자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화학 중합법을 템플레이트 합성 과정에 이용하여 전극에 고착된 전도성 고분자 미세 구조물을 얻었다. 이 전기화학 템플레이트 합성 방법에서의 관건은 플라스틱 템플레이트를 ITO 또는 금속 전극위에 부착시키는 일이다, 이 때 전극은 전기화학 특성을 보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PEDiTT(poly-3,4-ethylenedithiathiophene) 용액과 PVA (polyvinyl alcohol) 용액을 블랜딩히여 얻은 복합체(composite)를 접착제로 이용하여 다공성 멤브레인 필터를 전극에 부착시켜 템플레이트 전극을 제작하였다. 이 전극을 피롤농도가 0.5M인 중합용액에 넣은 후 전해반응으로 템플레이트의 기공 안으로 폴리피롤이 합성되도록 하였다. 폴리피를 형성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템플레이트의 제거 전과 후의 전극 모습을 SEM이미지로 얻어서 확인하였다 또한 순환전압전류댑으로 전류 곡선을 얻어 확인하였다. 비교적 면적이 큰 작업 전극과 매우 작은 미소전극을 상대전극으로 구성한 전해 중합계를 이용하여 큰 작업 전극의 국소 부분에만 전도성 고분자의 전해중합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마이크로 크기의 전극을 상대전극(Counter Electrode)으로, 그리고 템플레이트가 부착된 전극을 작업 전극(Working Electrode)으로 하는 2전극계를 구성하여 이용하였다. 이 전해계를 이용하여 얻은 미세구조물은 템플레이트의 동공 크기와 같은 크기로 성장하였고 형태는 튜브나 막대기 형태를 보였다. 특히 상대전극의 위치를 조정하여 원하는 위치에 튜브형태의 미세구조물을 합성하였다. 최종 합성조건으로는 $250{\mu}m$ 전극은 인가전위 4V로 100초간 중합시간, 그리고 $10{\mu}m$전극의 경우는 인가 전위 6V에 시간은 30초 동안 중합할 때 고분자가 멤브레인 동공 밖으로 넘쳐나지 않는 만큼 성장함을 알았다.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제조를 위한 신합성 연구 (I) : 다공성정도가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전도도에 미치는 영향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onducting Polymer Composites (I) : Effect of the Porosity on the Conductivity)

  • 손석희;박영준;김중현
    • 공업화학
    • /
    • 제7권2호
    • /
    • pp.393-400
    • /
    • 1996
  • Seed 유화 중합법과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위한 다공성 입자를 제조하였다. 건조된 다공성 입자를 모체 고분자로 사용하여 dopant로 사용하는 $FeCl_3$를 methanol에 녹여 흡수시킨 뒤에 건조시키고, 이를 다시 pyrrole를 녹인 ethyl ether 용액으로 중합하여 용액을 증발시킴으로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합성하였다. 이때, 모체 고분자로 사용된 비다공성 입자와 다공성 입자의 전도도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전도성 복합체의 전도도는 비다공성 입자보다는 다공성 입자를 사용하여 제조한 복합체가 전도성 중합체가 입자의 표면뿐만 아니라 pore안에서도 용이하게 형성되어 더 우수한 전도도를 나타내었다.

  • PDF

18-crown-6을 포함하는 poly(3-methylthiophene) 전도성 고분자 막전극에 의한 Ag(I)의 벗김 전압-전류법적 정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ipping Voltammetric Determination of Ag(I) by Poly(3-methylthiophene) Conducting Polymer Film Electrode Containing 18-crown-6)

  • 이인종;손정인;김국진
    • 분석과학
    • /
    • 제7권2호
    • /
    • pp.181-186
    • /
    • 1994
  • Poly(3-methylthiophene) 전도성 막전극을 이용해서 벗김 전압-전류법으로 Ag의 분석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막전극 표면에 존재하는 18-crown-6은 수용액에서 Ag(I)을 착화에 의해서 흡수하고 이 Ag(I)은 제한된 전위 범위의 순환 전압-전류법에 의해서 막전극 속으로 이동하여 유리질 탄소전극에서 산화-환원된다. 따라서 막전극은 Ag(I)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적당한 두께의 다공성으로 제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수용액에서 $5.0{\times}10^{-6}M$의 Ag(I)을 검출할 수 있었다.

  • PDF

Patterning of conducting polymer at micron- scale using a selective surface treatment

  • Lee, Kwang-Ho;Kim, Sang-Mook;Kim, Ki-Seok;Song, Sun-Sik;Kim, Eun-Uk;Jung, Hee-Soo;Kim, Jin-Ju;Jung, Gun-Young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834-836
    • /
    • 2008
  • We demonstrated micro-scale conducting polymer patterning based on a selective surface treatment. A substrate with a patterned photoresist was immersed into OTS (Octadecyltrichlosilnae) solution. The protected substrate areas were hydrophilic after removing the PR resist, where a conducting polymer solution was coated selectively by spin-coating meth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