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ditional variance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2초

불확실성을 고려한 장기 전원 포트폴리오의 평가 (The Evaluation of Long-Term Generation Portfolio Considering Uncertainty)

  • 정재우;민대기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35-150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a portfolio model for a long-term power generation mix problem. The proposed portfolio model evaluates generation mix by considering the tradeoffs between the expected cost for power generation and its variability. Unlike conventional portfolio models measuring variance, we introduce Conditional Value-at-Risk (CVaR) in designing the variability with aims to considering events that are enormously expensive but are rare such as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Further, we consider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future electricity demand, fuel prices and their correlations, and capital costs for power plant investments. To obtain an objective generation by each energy source, we employ the sample average approximation method that approximates the stochastic objective function by taking the average of large sample values so that provides asymptotic convergence of optimal solutions. In addition, the method includes Monte Carlo simulation techniques in generating random samples from multivariate distributions. Applications of the proposed model and method are demonstrated through a case study of an electricity industry with nuclear, coal, oil (OCGT), and LNG (CCGT) in South Korea.

계수 시계열을 위한 정수값 GARCH 모델링: 사례분석 (Integer-Valued GARCH Models for Count Time Series: Case Study)

  • 윤재은;황선영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1호
    • /
    • pp.115-12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정수값을 갖는 계수 시계열의 조건부 이차적률인 변동성(volatility)을 다루고 있다. 여러 가지 정수값 GARCH, 즉, INGARCH 모형들을 소개하고 계수 시계열인 국내 풍진발생건수에 적용시켜 보았다. 과산포(over-dispersion)와 영과잉(zero-inflation)현상을 계수 시계열의 변동성 분석 입장에서 살펴보았고 향후 분석 모형으로서 영과잉(zero-inflation) INGARCH 모형인 ZI-INGARCH 모형을 살펴보았다.

뉴스충격과 유가변동성의 비대칭성 (News Impacts and the Asymmetry of Oil Price Volatility)

  • 모수원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3권2호
    • /
    • pp.175-194
    • /
    • 2004
  • 본 논문은 예상하지 못한 뉴스충격이 유가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이 비대칭임을 밝힘과 더불어 유가의 변동성을 가장 정확히 추정할 수 있는 변동성모형을 결정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여기에는 GARCH모형, EGARCH모형, AGARCH모형, GJR모형과 같은 네 가지 변동성모형이 이용된다. 변동성모형을 선정하기에 앞서 부호편의검정과 규모편의검정을 통해 모형의 설정오류를 조사한 후, GARCH모형은 비대칭효과를 보이는 AGARCH모형과 GJR모형에 비해 나쁜 뉴스에 대해서는 과소평가를, 좋은 뉴스에 대해서는 과대평가를 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인다. 그리고 EGARCH모형은 GARCH모형, GJR모형, AGARCH모형에 비해 좋은 뉴스와 나쁜 뉴스에 대해 조건부 분산을 지나치게 높거나 낮게 평가하며, 특히 나쁜 뉴스에 대해서는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높게 평가함을 보인다. 또한 AGARCH모형은 GARCH모형보다 나쁜 뉴스를 낮게 평가하며, EGARCH모형은 GARCH모형보다 좋은 뉴스를 높게 평가하기 때문에 유가의 변동성을 설명하는 데 GJR모형이 적합함을 밝힌다.

  • PDF

지화학 자료의 확률론적 불확실성 및 위험성 분석을 위한 지시자 지구통계학의 응용 (Application of Indicator Geostatistics for Probabilistic Uncertainty and Risk Analyses of Geochemical Data)

  • 박노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01-312
    • /
    • 2010
  • 지화학 자료는 환경 관리를 위한 중요한 환경 변수중 하나로 인식되어 왔다. 지화학 자료는 보통 공간적으로 산재되어 수집되기 때문에, 샘플링 되지 않은 지점에서의 속성값 예측과 더불어 부가적인 분석을 위해 예측에 수반되는 불확실성을 추정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지시자 지구통계학이 지화학 자료의 공간적인 분포값의 제시뿐만 아니라 의사결정을 보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예시하고자 한다. 카드뮴 자료의 추정사례 연구를 통해 확률론적 불확실성 모델링, 위험성 분석 등 지구통계학적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지시자 크리깅을 통해 조건부 누적 분포 함수를 모델링한 후에, 기대값 추정치와 조건부 분산을 카드뮴의 추정값과 정량적 불확실성 추정을 위해 각각 계산하였다. 그리고 확률 임계치와 속성 임계치의 적용을 통해 오염/비오염 지역을 구분하였다. 또한 조건부 분산과 속성값과 임계치값의 차이를 모두 설명할 수 있는 변동 계수를 통해 추가적인 샘플링 지점을 추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지시자 지구통계학적 분석 틀은 불확실성을 고려한 의사 결정과 관련하여 지화학 자료를 포함한 환경 변수의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formation Arrival between Price Change and Trading Volume in Crude Palm Oil Futures Market: A Non-linear Approach

  • Go, You-How;Lau, Wee-Yeap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3권3호
    • /
    • pp.79-91
    • /
    • 2016
  • This paper is the first of its kind using a non-linear approach based on cross-correlation function (CCF) to investigate the information arrival hypothesis in crude palm oil (CPO) futures market. Based on daily data from 1986 to 2010, our empirical results reveal that: First, the volume of volatility is not a proxy of information flow. Second, dependence causality running from current return to future volume in conditional variance exhibit an asymmetric pattern of time span with different signs of correlation between price and volume series. This finding indicates the presence of noise traders' hypothesis of price-volume interaction in CPO futures market. Both findings suggest that this futures market is weak-form inefficiency. In terms of investors' behavior, they tend to change their expectations on current return based on errors made in previous trade in generating abnormal volume in the subsequent period. As implied, it is advisable for the investors devise their future trading strategies according to time span and changes of return.

다변량 조건부 꼬리 기대값 (Multivariate conditional tail expectations)

  • 홍종선;김태우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7호
    • /
    • pp.1201-1212
    • /
    • 2016
  • 시장위험 관리를 위한 Value at Risk(VaR)는 금융기관들이 선호하는 기법이지만, 투자가 실패한 경우에 손실금액에 대하여는 설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VaR의 한계를 보완하는 대안적인 위험측정도구인 Conditional Tail Expectation(CTE)는 VaR를 초과하는 조건부 기대값으로 정의된다. 포트폴리오에 대한 CTE를 추정하는 실제금융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는 다변량 손실률을 일변량 분포로 변환하여 VaR을 추정하고 CTE를 구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 분위벡터를 이용하여 다변량 CTE들을 제안한다. 그리고 일변량 CTE들의 관계를 확장하여 다변량 CTE들의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다양한 분산-공분산행렬을 갖는 이변량과 삼변량의 정규분포로부터 다변량 CTE들을 구하고 CTE들의 관계식을 구현하면서 고차원 분포로의 확장 가능성을 설명하였다. 이변량과 삼변량의 실증 예제를 통해 제안한 이론을 탐색하고, 기존의 CTE와 비교하였다. 다변량 변수들의 분산-공분산행렬과 다변량 분위벡터를 사용한 다변량 CTE가 일변량으로 변환하여 구한 CTE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다변량 CTE는 보다 적은 위험성을 나타내는 추정량이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여러 기업을 동시에 고려하는 분산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경우에 이런 다변량 CTE를 사용하는 적극적인 투자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치수안전도에 따른 토지이용의 편익 분석 (Land-use Enhancement Benefit According to Flood Safety)

  • 이진욱;김형수;심명필;최승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5-5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치수경제성 분석에 있어 계량화되지 않은 토지이용고도화 편익 효과를 치수안전도와 더불어 분석하고자 하였다. 토지이용고도화는 치수사업시행으로 해당지역의 치수안전도 향상에 따른 토지가치의 상승을 말하는데, 특정지역의 토지가치를 가장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공시지가를 근거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치수사업시행에 의한 편익의 효과와 하천 특성에 따른 지가변동률이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지 분산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토지이용가치의 상승을 순연평균지가변동률로 나타내었다. 치수안전도는 홍수피해 잠재성과 홍수방어능력으로 구분하였는데 홍수피해 잠재성은 도시화율에 따라 구분하였고, 홍수방어능력은 홍수량의 빈도해석과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조건부 비초과확률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소도시 지역을 대상으로 200년 빈도의 홍수사상에 대해 10년, 50년 설계빈도로 건설된 제방의 조건부 비초과확률을 산정하여 지가변동률의 추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도시 지역에서는 조건부 비초과확률이 10%정도 상승했을 때 순연평균지가변동률이 5배정도 상승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지반성질 불확실성을 고려한 사면안정 해석 (Assessment of Slope Stability With the Uncertainty in Soil Property Characterization)

  • 김진만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3-130
    • /
    • 2003
  • The estimation of key soil properties and subsequent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associated uncertainties has always been an important issue in geotechnical engineering. It is well recognized that soil properties vary spatially as a result of depositional and post-depositional processes. The stochastic nature of spatially varying soil properties can be treated as a random field. A practical statistical approach that can be used to systematically model various sources of uncertainty is presented in the context of reliability analysis of slope stability Newly developed expressions for probabilistic characterization of soil properties incorporate sampling and measurement errors, as well as spatial variability and its reduced variance due to spatial averaging. Reliability analyses of the probability of slope failure using the different statistical representations of soil properties show that the incorporation of spatial correlation and conditional simulation leads to significantly lower probability of failure than obtained using simple random variable approach.

  • PDF

비정상 후류가 난류박리기포의 응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Large-Scale Vortical Structure of Turbulent Separation Bubble Affected by Unsteady Wake)

  • 전세종;성형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6권9호
    • /
    • pp.1218-1225
    • /
    • 2002
  • Large-scale vortical structure of a turbulent separation bubble affected by unsteady wake is essential to understand flow mechanisms in various fluid devices. A spoked-wheel type of wake generator provides unsteady wake, which modifies the turbulent separation bubble significantly by changing rotation directions and passing frequencies. A detailed mechanism of vortex shedding from the separation bubble with unsteady wake is analyzed by taking a conditional average with spatial box filtering, which spatially integrates measured signals at pre-determined wavelength. A convecting nature of the large-scale vortical structure is analyzed carefully. Spatial evolution of the large-scale vortical structure with frequency variance is also exemplified.

The Precautionary Behavior of Korean Households under Health Uncertainty

  • Kong, Moon-Kee;Lee, Hoe-Kyung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1년도 The Pacific Aisan Confrence On Intelligent Systems 2001
    • /
    • pp.325-329
    • /
    • 2001
  • This paper tests existence of precautionary saving motive under health uncertainty, using household level panel data from Korea. For this purpose, this paper considers a dynamic health capital model with health uncertainty and derives testable equations for changes in consumption and medical expenditures. Under this framework, households who face future health uncertainty will exhibit precautionary behavior by depressing consumption or increasing investment in health. To test this hypothesis, the paper uses the conditional variance of health as the direct measure of health uncertainty, obtained by estimating a multinomial logit model. Empirical results using the Korean Household Panel Study (KHPS, 1993 - 1997) suggest that Korean elderly households follow the precautionary behavior to insure against future health ris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