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pt usage

검색결과 445건 처리시간 0.035초

웹 사용 정보에 기반한 다중 성향 키워드 모델의 설계와 응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Multi Concept Keyword Model based on Web-using Information)

  • 윤태복;이승훈;윤광호;이지형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95-105
    • /
    • 2009
  • 웹의 방대한 데이터에서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 중에서 웹 사용 마이닝은 웹 사용자의 로그 정보를 기반으로 의미 있는 패턴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기존의 웹 사용 마이닝을 이용한 패턴 추출에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성향을 고려하지 않은 개별적인 모델을 생성하는데 주를 이루고 있다. 웹에서 사용된 사용자들의 검색 키워드는 그들의 검색 의도나 배경지식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고, 그런 개개인의 검색의도에 맞는 검색 서비스가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사용자 검색 키워드에 대한 웹 페이지 사용 행위 정보 및 방문한 웹 페이지 리스트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다중 성향 키워드 모델(Multi Concept Keyword Model : MCK-Model)을 생성한다. MCK-Model은 사용자들이 특정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 후 방문한 웹 페이지 리스트를 통합하여 생성한 것으로, 사용자들이 검색 키워드에 대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검색 의도에 따라 방문하는 웹 페이지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생성된 MCK-Model은 웹 페이지 추천을 위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방법의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 PDF

수 개념 학습에서 수직선의 도입과 활용 (The Introduction and the Use of Number Line on the Learning of Number Concept)

  • 김양권;홍진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31-456
    • /
    • 2016
  • 본 연구는 수직선의 적절한 도입 시기와 활용 방법을 탐구하여 초등학생들의 수개념 학습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 개념 형성을 위한 수학적 모델인 수직선, 빈 수직선, 이중 수직선과 수 세기와 수 개념의 발달유형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실제 초등학생들의 수직선 도입 시기와 활용 방법에 대한 사례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수직선 도입을 2학년부터 실시하여 수직선의 은유적 개념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이어지는 수 개념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덧셈과 뺄셈과 같은 연산과정에서 다양한 사고 전략을 시각적으로 그려낼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인 빈 수직선과 곱셈적 비교 상황이나 나눗셈이 이루어지는 상황인 등분제와 포함제, 비율이나 비례배분의 이해를 위한 시각적 모델인 이중 수직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수직선이나 빈 수직선, 이중 수직선을 도입할 때, 수직선의 은유적 개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안내와 활용 방법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국내 섬유.의류산업의 신속대응(QR)시스템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doption of QR Systems in Korean Clothing and Textiles Industry)

  • 정철용;신상무;김이정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09-220
    • /
    • 1999
  • Quick response in the textiles and clothing industry is widely recognized at a strategic concept implemented by information technology to transfer changes in customer needs to the final product as soon as possible. This paper addresses which factors should affect the adoption of quick response systems in Korea. We surveyed 108 companies in the textile and clothing industry by using a questionnaire. We asked whether they adopted QR or not, and measured the usage level of QR-related ITs and the level of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 Likert's scale. We conduct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by using SA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adoption of QR, measured by the usage level of QR-related ITs, is positively affected by internal factors such as the recognition of QR concept and the capability for IT applications an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overall informating level of the industry, the needs for cooperation between organizations, and the leadership as an industry coordinator.

  • PDF

Fuzzy Web Usage Mining for User Modeling

  • Jang, Jae-Sung;Jun, Sung-Hae;Oh, Kyung-Whan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2권3호
    • /
    • pp.204-209
    • /
    • 2002
  • The interest of data mining in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fuzzy logic has been increased. Data mining is a process of extracting desirable knowledge and interesting pattern ken large data set. Because of expansion of WWW, web data is more and more huge. Besides mining web contents and web structures, another important task for web mining is web usage mining which mines web log data to discover user access pattern. The goal of web usage mining in this paper is to find interesting user pattern in the web with user feedback.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user's characteristic fer e-business environment. In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recommending product and sending e-mail to user by extracted users characteristics are needed. Using our method, we extract user profile from the result of web usage mining. In this research, we concentrate on finding association rules and verify validity of them. The proposed procedure can integrate fuzzy set concept and association rule. Fuzzy association rule uses given server log file and performs several preprocessing tasks. Extracted transaction files are used to find rules by fuzzy web usage mining. To verify the validity of user's feedback, the web log data from our laboratory web server.

세대사회학의 가능성과 한계 - 세대개념의 분석적 구분 -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sociology of generations - an analytical classification of the generation concept)

  • 전상진
    • 한국인구학
    • /
    • 제25권2호
    • /
    • pp.193-230
    • /
    • 2002
  • 지난 수년 동안 세대현상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였다. 이와 같은 발전은 무엇보다 기존의 집단적 정체성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조건들이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대에 대한 일반적 관심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과학적 탐구는 일종의 저발전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는 무엇보다 개념 자체의 모호성과 다의성에 기인한다. 이 글의 목적은 세대개념에 내재된 다의성과 모호함을 개념의 사용맥락에 따라 분석적 구분을 통해 통제함으로써, 사회변동과 혁신을 파악할 수 있는 세대개념과 세대사회학의 위상을 재정립하는데 있다.

한국의 초등수학 교과서에 나타나는 분수의 개념과 모델의 양상 분석 (An Analysis on Aspects of Concepts and Models of Fraction Appeared in Korea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 강흥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31-455
    • /
    • 2013
  • 이 논문에서는 분수가 가지는 다양한 의미를 개념(비율, 작용소, 나눗셈)과 모델(전체-부분, 측정, 분배)의 두 범주로 분류하고, 그것이 한국의 초등수학 교과서에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수학에서 분수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분수의 다양한 개념과 모델을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함으로서 통합된 하나의 분수 개념을 형성해야 한다. 둘째, 분수의 다양한 개념과 모델을 명확히 변별하고 그 도입시점을 명확히 함으로써, 암묵적인 사용 혹은 애매한 사용을 피해야 한다. 셋째, 현재 한국의 교과서는 측정모델의 사용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그것을 보다 명시적으로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분수 곱셈과 나눗셈의 알고리즘 설명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 PDF

초등학생의 분수이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Fractions)

  • 권성룡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2호
    • /
    • pp.259-273
    • /
    • 2003
  • 본 연구는 Vinner와 Moore의 개념정의, 개념이미지, 개념이용의 이론적 체계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분수이해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주어진 분수와 분수식으로 설명할 수 있는 상황을 설정하게 함으로써 아동의 개념이미지를 조사하였다. 두 번째로 분수가 포함된 문제해결이 분수개념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바, 다양한 분수하위개념과 관련된 문제를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게 하였다. 세 번째로 분수와 분수식으로 문장제 문제를 만들어 보게 함으로써 아동의 분수개념 이용을 살펴보았다. 연구한 결과, 분수에 대한 아동의 개념이미지가 부분-전체에 제한되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다른 하위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분수와 분수식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문제 상황을 설정하는데 익숙하지 못했다. 아동의 분수이해를 위해서는 다양한 하위개념에 대한 균형된 이해를 돕는 학습활동이 필요하며 교과서에 분수와 분수식을 활용한 문장제 문제만들기 활동이 더 많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 PDF

PC 이용과 놀이성(playfulness)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C Use and Playfulness)

  • 백상용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0권4호
    • /
    • pp.101-113
    • /
    • 2000
  • This study deals with the concept of Microcomputer Playfulness(MCP), Even though MCP was introduced recently in the MIS research, the concept is expected and empirically supported to be significant in explaining 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and usage.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this study presented a revised model to explain individual PC use and explored the role of MCP in PC use. The results showed that MCP has a direct influence on PC use rather than a mediator between Self-efficacy and PC use, and that MCP is a better predictor of PC use than Computer Anxiety.

  • PDF

About naked fluoride

  • Lee, Eunsung
    •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1-123
    • /
    • 2018
  • Fluoride is one of most important atoms for both clinical and pharmaceutical usage. Associated with such a strong need, $^{18}F$-fluoride has been widely used as an essential radioisotope. The fluoride always suffers from strong solvation effects through strong hydrogen bonding, which reduce the reactivity of fluoride anion. To enhance the reactivity, the concept of naked fluoride was introduced in the fluorination field. In this essay, I will briefly describe the history of naked fluoride concept and development of naked fluoride sources.

Breaking the Myths of the IT Productivity Paradox

  • Hwang, Jong-Sung;Kim, SungHyun;Lee, H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1호
    • /
    • pp.466-482
    • /
    • 2015
  • IT is the key enabler of digital economy. Appropriate usage of IT can provide a strategic competitive advantage to a firm in a dynamic competitive environment. However, there has been a continuing debate on whether IT can actually enhance the productivity of firms. This concept is called IT productivity paradox.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ausality among appropriate indicators to demonstrate the real impact of IT on productivity. The 12,100 sample data from 2011 were used for analysis. As expe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bile device usage, website adoption, e-commerce, open source, cloud computing, and green computing positively influence IT productivity. This unprecedented large-scale analysis can provide clarification regarding the ambiguous causal mechanism between IT usage and produ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