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ressed wood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6초

주사전자현미경 및 X선회절법에 의한 탄화 MDF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Carbonized MDF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X-ray diffraction)

  • 이선화;박상범;권성민;박종영;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208-215
    • /
    • 2009
  •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의 제거성능을 지닌 MDF 탄화보드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MDF를 여러 온도에서 탄화하여 주사전자현미경법 및 X선회절법에 의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탄화 된 MDF의 내층부 보다 표층부에서, 측면내층부에 비해 측면표층부에서 압착된 섬유의 형태가 나타났으며, 다수의 이물질도 관찰되었다. 그러나 탄화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이물질이 제거되었고 공극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섬유벽 표면과 내강측에서 주름형태가 관찰되었고 세포내강측 보다 외부 표면의 주름형태가 더욱 뚜렷하였다. 또한 벽공의 손상은 크지 않았고 벽공이 존재하는 부위에서 주름형태가 적게 나타났다. X선회절 결과, 셀룰로오스 결정은 탄화온도 $400^{\circ}C$에서 배향성을 잃으며 붕괴되었으나 약간의 결정성은 남아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1,000^{\circ}C$에서 탄화한 MDF는 셀룰로오스 결정이 모두 붕괴되었고 탄소원자에 의한 비결정성 회절강도곡선을 나타내었다.

네일 건(Nail Gun) 사고에 의한 경부 관통상 1례 (A Case Study of a Patient with Penetrating Neck Injuries caused by a Nail Gun)

  • 한종순;손유동;안지윤;안희철;권혁술;서강열;조광윤;박승민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4권1호
    • /
    • pp.48-51
    • /
    • 2011
  • Powered by compressed air, a nail gun is an essential alternative tool to a hammer on any construction site. This useful machine launches nails at high speed, automatically embedding them in a piece of wood in only a fraction of a second. In spite of its convenience, life-threatening and fatal nail gun injuries can occur when a nail gun is misused, such as in a suicide attempt, or when the operator has insufficient training because combustion nail guns are capable of firing projectiles at velocities higher than 150 m per second. Although injuries by nail guns are rarely reported, there have been reports of nail gun injuries to the head and the trachea in Korea. In the emergency room, the authors experienced a patient injured by an accidental shooting of a nail gun while working in construction. In that accident, a nail penetrated the patient's cervical vertebra through the left cheek. This report is aimed at studying medical treatment for patients with penetrating injuries caused by nail guns.

CNG 충전소의 누출$\cdot$확산에 대한 위험성 평가 (The Hazard Assessment of Release and Dispersion of CNG Service Station)

  • 최종운;이수경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53-58
    • /
    • 2000
  • CNG 충전소에 대한 사고영향평가(CA)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미 고압법에 의해 설치되어 있는 LPG 충전소에 대한 CA를 실시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CNG 충전소와 LPG 충전소에 대한 누출 확산 및 복사열의 영향평가 결과 연소하한계에 도달하는 거리는 CNG 충전소가 LPG 충전소에 비해 약 1.5배 컸으며, 복사열의 경우 공정장치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복사열량이 CNG 충전소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LPG 충전소의 경우 37.5 $kw/m^2$에 해당하는 복사열이 12.6 m 반경으로 나타나 주변의 상가지역까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목재를 태울 수 있을 정도의 복사열량인 12.5 $kw/m^2$은 LPG 충전소가 CNG 충전소에 비해 약 3배 가량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3D 구조 알루미늄 판재의 점진판재성형 특성 평가 (제2보) (Evaluation of incremental sheet forming characteristics for 3D-structured aluminum sheet - part 2)

  • 김영석;;안대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585-1593
    • /
    • 2015
  • 3차원 구조 알루미늄 판재(엠보싱 판재)는 표면적이 증가되어 방열효과가 뛰어나고 가공경화에 의해 굽힘강성 증가효과가 있으므로 자동차 열차단 부품에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엠보싱 판재는 평판의 판재와 비교하면 기계적 특성이 상이하고 또한 3차원 형상으로 인해 프레스 가공에 있어서 많은 제약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프레스 가공공정을 대신하여 최근 신제품의 디자인 검증과 시생산에 널리 채용되고 있는 점진성형공정을 대상으로 엠보싱된 판재의 성형특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채용한 공구형상을 이용한 사각 원뿔의 점진성형 결과, 엠보싱된 판재의 경우가 평판의 경우보다 더 큰 기울기를 갖는 사각 원뿔을 파단없이 성형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는 점진성형공정에서 CNC 공구의 이동경로(tool path)하에서 공구가 엠보싱 판재의 산과 골을 눌러 복원시키면서 재료의 소성변형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공구의 이동경로가 내향 경로보다 외향 경로인 경우가 보다 큰 기울기의 제품을 성형할 수 있지만 스프링 백의 발생으로 제품의 표면품질은 열세에 있음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