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ound contents

검색결과 902건 처리시간 0.022초

배에서 추출한 Phenolic Compound가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고혈당 생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ar Phenolic Compound on the STZ-treated Mice for Induction of Diabetes)

  • 김정상;나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107-1111
    • /
    • 2002
  • 배에서 추출한 phenolic compound가 streptozotocin(STZ)응 투여하고 고혈당을 유발시킨 생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생쥐의 혈당, 혈중 creatinine, BUN의 변화 및 insulin-면역 조직화학적 검색과 췌장섬 $\beta$-세포의 전자현미경관찰을 통한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군은 정상적인 동물 사료를 식이토록 한 대조군, 사료에 phenolic compound(PA군, 13 mg/g/kg/day; PB군,90 mg/kg/day)를 혼합하여 6주 동안 섭식하게 한 실험군으로 구분하였다. 대조군의 혈당 농도는 4주부터 높게 나타났으며, PA군의 혈당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p<0.05)있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PB군에서는 4주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6주까지 유의성 (p<0.05)있게 감소하였다. BUN과creatinine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에서 다소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STZ을 투여한 대조군의 췌장섬은 대부분 파괴되어 insulin-면역조직화학적 반응을 보인 세포들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나, PB군에서는 다수의 췌장섬이 관찰될 뿐만 아니라 인슐린-면역조직화학 반응이 양성으로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관찰 결과 대조군의 $\beta$-세포에서는 인슐린 함유 과립들이 소수 관찰되었으나 PB군에서는 이들 과립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phenolic compound를 섭식한 실험군 생쥐는 STZ에 의해서 손상된 췌장섬이 회복 또는 재생되어 $\beta$-세포의 인슐린 분비가 복원되 어 가고 있다고 사료되었다.

추천시스템을 위한 복합지식저장소 설계 (Design of Compound Knowledge Repository for Recommendation System)

  • 한정수;김귀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427-432
    • /
    • 2012
  • 본 연구는 복합저장소 구축 방법과 복합지식 프로세스 개발을 위한 기술적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복합지식 저장소에 저장되는 데이터 대상은 복합지식 메타데이터와 디지털 자원 모두를 포함하며, 사용목적에 따라 사용자 역할, 기능적 요소, 서비스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이 세 가지 요소는 저장소의 추상적 모델을 설명하는 기본적인 구성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지식의 메타데이터를 2가지 요소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Component는 지식을 사용하고 생성하는 주체나 활동단위, 리소스 자체 등에 대한 속성을 나타내고, Context는 지식객체가 포함되어 있는 맥락을 나타낸다. 복합지식 프로세스 Agent는 복합지식의 분류와 등록, 검색, 패턴 정보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복합지식 저장소와 사용자 사이의 데이터 흐름과 처리를 담당한다. 복합지식 프로세스 Agent는 데이터의 검색과 추출, 분산 환경에서 데이터 교환을 위한 데이터의 수집과 출력, 저장된 데이터의 추가, 변경 등이 발생한 것을 알려주는 경고, 데이터의 저장과 등록, 메타데이터 조회 후 원하는 물리적 자료를 요청하는 요청과 전달 등의 기능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하는 추천시스템을 위한 복합지식저장소 구축은 산업 현장에서 적시에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서 일과 학습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도록 하여 시의적절한 지식을 실시간 가시화함으로써 학습 생산성을 증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발아에 따른 팥의 유리형 및 결합형 기능성분 변화 (Changes in Free and Bound Forms of Bioactive Compound Profiles of Adzuki Bean with Germination)

  • 김민영;장귀영;오남석;백소윤;김길호;김경미;김홍식;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937-94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발아에 의한 팥의 기능성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6일 동안 발아시키면서 유리형 및 결합형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페놀산 및 안토시아닌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유리형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아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각각 약 2.6배 및 5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결합형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아 초기 감소하였다가 발아 3일 및 2일 이후 각각 증가하였다. 발아기간에 따른 구성 페놀산의 변화의 경우 ferulic acid, veratric acid, hesperidin, salicylic acid, naringenin 및 hesperidin과 총 페놀산은 유리형 및 결합형 페놀산 함량이 모두 증가하였지만, 안토시아닌 및 안토시아니딘은 침지 및 발아과정에서 손실되어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 팥을 발아시킬 경우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산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팥에 함유된 기능성분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발아공정의 적용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유색미 겨에 함유된 항산화 효과 관련 기능성 성분의 검정 (Screening of Antioxidation-related Functional Components in Brans of the Pigmented Rices)

  • 강미영;남연주;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3호
    • /
    • pp.233-239
    • /
    • 2005
  • 5품종의 유색미(DZ 78, Elwee, LK1A-2-12-1-1, LK1-3-6-12-1-1, 길림흑미) 겨 70% 에탄올 추출물 및 염화메틸렌 및 에틸아세트로 추출한 지용성 분획들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고 페놀성화합물 및 피틴산, 그리고 불검화물로서 retinol, tocopherol과 stigmasterol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또한 GC-MS를 사용하여 염화메틸렌 및 에틸아세트 분획이 함유한 구성분을 동정하고 상대적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항산화 활성의 발현에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 성분들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유색미의 항산화성은 일반미보다 약 30%정도 더 높았고, 페놀성화합물의 함량은 일반미보다 26배까지 더 많았다. 특히 길림흑미는 retinol이나 tocopherol, stigmasterol 같은 불검화물의 함량이 일반미보다 2.3배 이상 더 많았다. 그러나 항산화성과 색도 및 불검화물의 함량과는 전반적인 상관성은 없었다. 항산화성이 강한 길림흑미 및 LK1A-2-12-1-1의 염화메틸렌 분획은 각각 (Z)-9-Hexadecenyl ester-9-octadecanoic acid 및 2-Hydroxyl-1-1(hydroxymethyl)ethyl-9-octadecanoic acid의 상대적 함량이 높았다. 반면, 에틸아세트 분획에서는 1H Indene과 Methyl ester-tetradecanoic acid 및 Methyl ester-hexadecanoic acid가 5품종 유색미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되어, 이들 화합물이 항산화성에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황색 방울토마토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물질분석 (Nutritional and Bioactive Compounds of Yellow Cherry Tomato)

  • 최석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51-461
    • /
    • 2020
  • 본 연구는 황색 방울토마토의 일반성분, 생리활성 성분의 분포를 규명함으로써 식품재료로서의 활용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하였다. 17종의 유리아미노산이 발견되었고 그 중 L-글루탐산(45.15%), L-글루타민(22%) 및 L-아스파르트산(11%)이 주된 아미노산이었다. 또한, 필수아미노산 중 L-트립토판을 제외한 8종의 필수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었다. 아미노산 대사산물 중 생리활성이 잘 알려진 γ-aminobutyric acid(GABA)가 258.58 mg/100 g 다량 포함되어 있었다. Lycopene(2.18 mg/100 g) 함량은 붉은 토마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으나 β-carotene(9.90 mg/100 g)은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naringenin chalcone, quercetin-3-rutinoside(rutin), 5-caffeoylquinic acid, 3-caffeoylquinic acid, quercetin-3-apiosylrutinoside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폴리페놀 화합물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황색 방울토마토가 영양적으로 우수한 식품소재이며 생리활성 성분의 급원으로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성도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메꽃(Calystegia japonica)의 영양학적 특성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Calystegia japonica)

  • 이양숙;곽창근;김남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19-625
    • /
    • 2012
  • In the present study, the proximate composition, sugar, minerals,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and amino acids in Calystegia japonica (C. japonica) were measured to determine if it can be used as a nutritional and functional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valuable foods. The mean crude protein, fat, and ash contents of the leaves were 5.75, 2.46, and 7.77%, respectively. The soluble-protein contents of the leaves and roots were 146.78 and 33.67 mg%, respectively. The reducing-sugar and free-sugar contents of the leaves were 682.70 and 166.00 mg%, respectively, and those of the roots were 2,934.89 and 37.70 mg%. The mineral content of the leaves was 3,122.13 mg%, and that of the roots was 1,540.85 mg%. The three elements Ca, K, and Mg were very rich in all their parts, with minerals accounting for 96-99% of their total mineral contents. The total phenolic compound of the leaves was 3,028.89 mg%, and the total flavonoid compound was 382.67 mg%. The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in the leaves were more than 7.6 times those in the roots. The free-amino acid levels in the leaves and roots were 2,467.15 and 1,334.81 mg%,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the leaves and roots of C. japonica showed that the leaves had a rich proximate composition consisting of minerals,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and amino acid. This suggests that C. japonica leaves are potentially useful sources of functional and favorite foods and nutraceuticals.

추파 청예작물의 저온 조건이 질산태 질소의 흡수와 식물조직내의 질소 화합물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 Temperature on Nitrate Uptake and Accumulation of Nitrogenous Compound in Fall-Sowing Species)

  • Kim, Tae-Hwan;Kim, Byung-H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3-230
    • /
    • 1997
  • The experiments were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dynamics of $NO_3\;^-$ uptake at low temperature with forage rape(Bmssica napus), barle(Hordeum vulgare) and winter rye (Scale cereale). A net $NO_3\;^-$uptake and the contents of nitrogenous compound in tissues at low temperature ($5^{\circ}C$) were compared with normal temperature ($25^{\circ}C$).The net uptake of $NO_3\;^-$ by Brass ica nqus was the highest among three species at both temperature applied. During 9 hours after temperature treatment, $NO_3\;^-$ uptake of Brassica napus, Hordeum vulgm and Scale c e d e grown at $5^{\circ}C$ decreased to about 31, 50 and 27% compared with those grown at $25^{\circ}C$. $NO_3\;^-$ contents in roots were much sensitively affected by low temperature than those of leaves. Comparing with the plants grown at $25^{\circ}C$, $NO_3\;^-$ contents in roots of increased to 48.3, 38.7 and 53.5% repectively, for Brassica napus, Hordeum vulgare and Scale cereale during 9 days. A relatively less changes in the content of $NH_4\;^+$-N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treatment. The ontents of amino acids-N in leaves at $5^{\circ}C$ slightly decreased while that of roods remarkably increased compared with $25^{\circ}C$. Protein-N was the largest pool of nitrogen and its contents in leaves and roots showed a similar response on the temperature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NO_3\;^-$uptake was inhibited at low temperature. The dynamics of $NO_3\;^-$ uptake could be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ed concentration of $NO_3\;^-$ and amino acids in roots.

  • PDF

야콘, 선학초, 자초 추출물 분획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of Smallanthus sonchifolius, Agrimonia pilosa, and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 Fractions)

  • 김아람;정귀택
    • KSBB Journal
    • /
    • 제30권6호
    • /
    • pp.302-306
    • /
    • 2015
  • In this work,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of 6 fractions of Smallanthus sonchifolius, Agrimonia pilosa, and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 were investigated.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of each plant extracts were obtained from n-butanol ($13.75{\pm}0.21%$) and methylene chloride ($12.89{\pm}1.10%$) fractions (S. sonchifolius), ethyl acetate ($19.69{\pm}1.02%$) and water ($18.72{\pm}0.76%$) fractions (A. pilosa), and n-butanol ($36.26{\pm}1.26%$) and ethyl acetate ($17.66{\pm}0.94%$) fractions (L. erythrorhizon), respectively. As a result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10 mg/mL condition, the highest activity were obtained from n-butanol fraction of S. sonchifolius (81.06%), ethyl acetate fraction of A. pilosa (86.32%), and n-butanol fraction of L. erythrorhizon (82.6%), respectively. Also, the highest reducing power was obtained same fractions as well as DPPH adical scavenging activity. Overall, antioxidant activity has relatively closely connected with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in S. sonchifolius and L. erythrorhizon extracts.

탈지들깨박 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Studies on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Defatted Perilla Flour)

  • 윤석권;김정한;김재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0-164
    • /
    • 1993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defatted perilla flour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peroxide value of perilla oil during storage at $45^{\circ}C$.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was also compared with BHA, BHT and tocopherol.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was also examined in corn oil and lard. The ethanol extracts contents of defatted perilla flour and the original perilla seed were 7.69 and 4.56%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was superior to that of 0.02% BHT, BHA and tocopherol in the perilla oil substrate, merely in concentration of one-twentieth as much as that contained in original perilla oil seeds. The fractions of non-polar solvent (hexane and chloroform) obtained from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are less effective than that of polar solvent as an antioxidant. Antioxidant activity of partially purified ethanol fraction is slightly inferior to that of original crude ethanol extracts. Ethanol extracts were also effective in corn oil and lard almost same as in perilla oil.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of crude ethanol extracts and partially purified ethanol fraction were 9.3, 6.4%, respectively.

  • PDF

G009의 물리 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009)

  • 박만기;박정일;이미영;박인정;김수웅;이승룡;정훈;이준우;한만덕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권3호
    • /
    • pp.244-246
    • /
    • 1994
  • G009, isolated from the mycelia of Ganoderma lucidum, has been reported as a potent liver-protecting compound. To characterize this compou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studied.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ost abundant constituent of G009 was 9.4 kD. The contents of carbohydrate and protein in G009 were 70% and 12.4% respectively. The main carbohydrate constituents were glucose, xylose, mannose and galactose. Seventeen kinds of amino acid were detected. The contents of carbon, hydrogen, and nitrogen were 40, 5.7, and 1.8%, respectively. Ca, Mg, Zn were also determin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