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osite membrane

검색결과 758건 처리시간 0.034초

셀룰로오스 분리막을 통한 순수 이산화탄소 메탄 및 혼합기체의 투과 특성 연구 (The Study of Permeation Characteristics for Pure Carbon Dioxide and Methane, and Gas Mixture in Cellulosic Membrane)

  • 김현준;김홍일;강용수;홍석인
    • 공업화학
    • /
    • 제7권4호
    • /
    • pp.605-613
    • /
    • 1996
  • Cellulose acetate(CA) 비대칭막, CA 복합막 그리고 cellulose triacetate(CTA) 비대칭막을 통한 순수 이산화탄소 및 메탄의 투과 특성을 측정하여, 투과성능의 운전압력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혼합기체($CO_2/CH_4=57.6/42.4$)에 대한 투과 특성을 조사하여, 이를 순수 기체의 투과 특성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은 25~125 psig의 분압과 상온에서 실험하였다. CA 복합막과 CTA 막을 통한 기체의 투과거동은 CA 막의 투과 거동과 비슷하였다. CA 막, CA 복합막 그리고 CTA 막을 통한 순수 이산화탄소의 투과속도는 상부분압이 증가함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으며, 반면에 메탄의 경우에는 상부분압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하였다. 그러나 혼합기체의 경우 이산화탄소에 의한 가소화 효과와 각 기체의 경쟁효과에 의해 순수 기체와는 다른 투과거동을 보였다. 각각의 분리막의 투과성능을 비교 할 때, CTA 막의 분리인자와 투과속도가 CA 막의 값들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CA 복합막의 투과속도가 CA 막의 값보다 높은 값을 가졌다. 그러나 CTA 막의 경우 기계적 강도가 매우 낮았다. 결국 본 연구에 사용된 CA 복합막이 투과 플럭스가 크므로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분리용 막으로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 PDF

PEMFC 지지체용 PVdF/Laponite 강화 복합막의 특성평가 (Characterization of PVdF/Laponite Reinforced Composite Membranes for PEMFC Surpport)

  • 오슬기;황해영;김형준;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20권2호
    • /
    • pp.159-16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용 강화 복합막 지지체 제조를 위해 높은 다공성을 가지는 PVdF 평막을 제조하였다. 높은 다공도로 인한 낮은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나노 사이즈의 laponite를 막 내에 분산시켰다. 제조된 PVdF/Laponite 복합막의 모폴로지 및 다공도는 SEM 분석 및 무게 중량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60% 이상의 다공도를 보였다. 첨가된 laponite 함량에 따른 막의 열적 안정성은 $105^{\circ}C$, $135^{\circ}C$에서의 수축률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laponite 함량이 5%일 때 $135^{\circ}C$에서 MD와 TD방향으로의 열 수축률 2~3%와 2~3.5%를 나타내었다. Laponite 첨가 후 막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었으며, 순수 PVdF 막에 비해 약 30%의 모듈러스 증가를 나타내었다.

LDH를 함유한 PTMSP 복합막의 기체투과 특성 (Gas Permeation Properties of LDH-filled PTMSP Composite Membranes)

  • 정연임;홍세령
    • 멤브레인
    • /
    • 제22권5호
    • /
    • pp.309-31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높은 투과도를 갖는 PTMSP에 1, 3, 5 wt% LDH 함량으로 용액 삽입법에 의하여 PTMSP/LDH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복합막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FT-IR, TGA, XRD, UTM, SEM을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H_2$, $N_2$, $CO_2$ 기체에 대한 투과도와 선택도 성질을 고찰하였다. PTMSP/LDH 복합막의 기체 투과도는 LDH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H_2$$CO_2$의 선택도는 LDH의 함량이 5 wt%일 때 최대값을 보였다. 그리고 PTMSP와 PTMSP/LDH 복합막은 기체투과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기체의 투과도가 증가하였다. PTMSP/LDH 복합막의 기체투과도는 PTMSP 막에 비해 압력 증가에 대한 차이가 다소 작게 나타났다.

미반응 올레핀계 모노머 회수를 위한 복합막의 제조 (Preparation of Composite Membranes for Recovery of Unreacted Olefin Monomers)

  • 김현기;김상용;김성수
    • 멤브레인
    • /
    • 제20권4호
    • /
    • pp.297-303
    • /
    • 2010
  • 폴리올레핀 중합공정에서 발생되는 미반응 올레핀 모노머를 회수하기 위한 분리막/냉각응축 공정에 적용할 복합막을 용액 코팅공정과 플라즈마 중합공정의 두가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Polysulfone (PSF) 지지체 위에 poly(dimethylsiloxane) (PDMS) 용액을 코팅하였고 코팅 용액에서 prepolymer의 함량이 높을수록 올레핀 모노머의 선택도는 증가하였으나 막이 치밀하여지는 관계로 절대 투과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기물의 복합막 투과는 용액확산 메커니즘에 의한 것으로서 임계온도가 높을수록 분리효율은 향상되고 molar volume이 증가할수록 투과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가교시간에 siloxane 계열의 물질을 plasma 종합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였는데 PSF 및 polypropylene (PP) 지지체를 사용하였다. 특히 지지체로 기존의 용액코팅 공정에서 사용되기 어렵던 PP 지지체 위에도 복합막을 코팅할 수 있었으며 용액코팅 공정으로 제조된 복합막과 유사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DMFC용 무기-유기 복합 전해질 막의 합성 (Synthesis of Inorganic-Organic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s for DMFCs)

  • 김은형;윤국호;박성범;오명훈;김성진;박용일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9-125
    • /
    • 2008
  • The FAS(Fluoroalkylsilane)/Nafion inorganic-organic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was successfully fabricated through sol-gel method. The FAS having hydrophobic functional group and silanol ligands is impregnated in $Nafion^{(R)}$ membrane to reduce methanol crossover. The prepared FAS/Nafion inorganic-organic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consist of the hydrophobic FAS-derived silicate nano-particles and $Nafion^{(R)}$ matrix showed decrease of methanol crossover and reduction of humidity dependence without large sacrifice of proton conductivity. The microstructural analysis of the composite membranes was performed using FESEM and FTIR. And the effect of the incorporation of the hydrophobic FAS-derived silicate nano-particles into $Nafion^{(R)}$ membrane was investigated via solvent uptake, membrane expansion rate, humidity dependency of proton conductivity and contact angle measurement.

PVDF/PDMS 복합막의 제조와 투과증발을 이용한 n-부탄올/물 혼합물의 분리 (Preparation of PVDF/PDMS Composite Membrane and Separation of n-butanol/water Mixtures by Pervaporation)

  • 이용택;지기용;전은주;김노원
    • 멤브레인
    • /
    • 제19권3호
    • /
    • pp.212-221
    • /
    • 2009
  • 본 연구는 PVDF/PDMS 복합막을 제조하여 부탄올을 농축을 위한 투과증발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복합막의 제조 방법에 따른 투과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지지층의 PVDF 농도변화와 활성층의 경화조건에 따라 투과증발 최적막을 선정하였다. 이 막을 사용하여 공급액의 농도, 온도 및 순환 유속을 변화시켜 부탄올의 투과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공급액의 농도, 온도, 순환 유속이 증가할 경우 부탄올의 플럭스와 투과 농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상용막인 GKSS사의 PVDF/POMS 복합막과 비교한 결과 부탄올 투과 플럭스, 투과 농도, 선택도 등 모두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가교키토산 복합막을 통한 알콜수용액의 탈수 II. 변성 키토산 복합막을 통한 에탄올의 탈수 (Dehydration of Alcohol Solutions Through Crosslinked Chitosan Composite Membranes II. Dehydration of Ethanol Solution Through Modified Chitosan Composite Membranes)

  • 이영무;남상용;유제강;류경옥
    • 멤브레인
    • /
    • 제6권4호
    • /
    • pp.242-249
    • /
    • 1996
  • 물/에탄올 수용액에 대한 투과증발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키토산을 이용하여 키토산/폴리비닐알콜 블렌드, 인산화 키토산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키토산과 폴리비닐알콜은 조성을 변화시키면서 블렌드를 얻을 수 있었으며, 글루탈알데히드를 이용하여 가교 방법과 조건을 변화시켜서 가교된 키토산/폴리비닐알콜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가교 농도와 가교 시간이 증가할수록 선택도는 증가하였으며 투과유량은 감소하였다. 글루탈알데히드를 가교제로서 키토산용액에 직접 첨가한 경우가 표면만을 가교한 경우보다 우수한 투과증발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산화반응을 통하여 반응시간에 따라서 인산화도가 조절된 인산화 키토산을 얻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인산화키토산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인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더불어 인산기의 도입에 따른 친수성의 증가로 선택도의 증가가 나타났다.

  • PDF

Structural and Thermal Analysis and Membrane Characteristics of Phosphoric Acid-doped Polybenzimidazole/Strontium Titanate Composite Membranes for HT-PEMFC Applications

  • Selvakumar, Kanakaraj;Kim, Ae Rhan;Prabhu, Manimuthu Ramesh;Yoo, Dong Jin
    • Composites Research
    • /
    • 제34권6호
    • /
    • pp.373-379
    • /
    • 2021
  • A series of novel PBI/SrTiO3 nanocomposite membranes composed of polybenzimidazole (PBI) and strontium titanate (SrTiO3) with a perovskite structure were fabric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SrTiO3 through a solution casting method. Various characterization techniques such as prot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thermogravimetric analysis, atomic force microscopy (AFM) and AC impedance spectroscopy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hemical structure, thermal, phosphate absorption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and proton conductivity of the fabricated nanocomposite membranes. The optimized PBI/SrTiO3-8 polymer nanocomposite membrane containing 8wt% of SrTiO3 showed a higher proton conductivity of 7.95 × 10-2 S/cm at 160℃ compared to other nanocomposite membranes. The PBI/SrTiO3-8 composite membrane also showed higher thermal stability compared to pristine PBI. In addition, the roughness change of the polymer composite membrane was also investigated by AFM. Based on these results, nanocomposite membranes based on perovskite structures are expected to be considered as potential candidates for high-temperature PEM fuel cell applications.

축압축하중을 받는 복합적층원통셸의 좌굴해석 (Buckling Analysis of laminated composite Cylindrical shells under Axial Compression)

  • 이종선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36-41
    • /
    • 199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prebuckling on the buckling of laminated composite cylindrical shells. axial compression is considered for laminated composite cylindrical shells with length to radius ratios. The shell walls are made of a laminate with several symmetric ply orientations. This study was made using finite difference energy method, utilizing the nonlinear bifurcation branch with nonlinear prebuckling displacements. The results are compared to the buckling loads determined when membrane prebuckling displacements are considered.

  • PDF

폴리비닐알콜로 제조된 나노복합막 (Nanofiltration Composite Membranes Based on Poly(vinyl alcohol))

  • 오남운;제갈종건;이규호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8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06-108
    • /
    • 1998
  • It has been proved by the study on nanofiltration with PVA dense membranes in our laboratory that the PVA is good material for the formation of chemically stable nanofiltration (NF) membranes. However, the PVA NF composite membranes prepared so far have rarely shown flux and rejection high enough for the commerciallyzation. The reasons for them would be the relatively thick thickness and improper crosslinking degree of the PVA active layers of the composite membranes. In this study, PVA composite membranes with improved nanofiltration properties have been prepared and characterized in terms of the morphology and permeation proper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