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onent protein

검색결과 1,196건 처리시간 0.031초

생체전기임피던스법을 이용한 체성분 분석에 의한 신체외형도(Somatotype Drawing)의 타당성 연구 - 비만평가도구로서의 타당도 평가 -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Somatotype Drawing as a Instrument of Measuring Obesity Level by Body Component Analysis)

  • 이성은;정영미;정길수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99-311
    • /
    • 2004
  • Purpose: Somatotype drawing developed by Sorensen et al.(1983) has been evaluated as a simple instrument of obesity level without real somatic measuring as height and weight. This study was designed to validate somatotype drawings for obesity assessment by bioelectrical impedance body component analysis. Method: At first questionnaire of somatotype drawing was done. Subjects were measured body component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as weight, BMI(body mass index), WHR(waist-hip ratio), body water, protein mass, mineral mass, body fat mass, skeletal muscle mass, soft lean mass, fat free mass and percent body fat. We evaluated correlations between these data and somatotype drawings and tried to grouping of somatotype drawings with the means of major body component value. Resul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5 college women whose height and weight were $161.2\pm4.8,\;55\pm8.3$.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omatotype drawing were 0.74 with BMI, 0.68 with weight 0.69 with body fat mass, 0.65 with WHR. 0.64 with percent body fat after adiusted age. The grade of somatotype drawings were grouped as 1-2, 3-4, 5-6. 7-9 by BMI, body fat mass, weight, 1, 2-4, 5-6, 7-9 by WHR and 1-2, 3-4, 5-9 by percent body fat(ANOVA and Duncan's method). Conclusion: So quick instrument using somatotype drawings were useful tools for evaluation of obesity level and is applicable to screen degree of body fat in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 PDF

대두(大豆)의 수침시간(水浸時間)에 따른 조직(組織)의 미세구조(微細構造), 단백질(蛋白質) 특성(特性) 및 두부수율(豆腐收率)의 변화(變化) (Changes in Ultrastructure of Tissues, Characteristics of Protein and Soybean Curd Yield with Increased Soaking Time during Soybean Curd Processing)

  • 박용곤;박부덕;최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1-386
    • /
    • 1985
  • 본 연구는 두부제조시 수침시간을 연장시킴에 따라 두부수율이 증가하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대두 조직의 미세구조와 초원심침강법에 의한 두유, 두부단백질 fraction의 특성 및 이행을 조사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두의 수침시간을 5, 10, 24시간으로 연장시킴에 따라 두부수율은 각각 45.93%, 50%, 55.4%로 증가하였고, 고형분추출율, 응고율 역시 증가하였다. 2. 두유, 두부의 disc-gel전기영동에서 수침시간을 연장시킴에 따라 band수는 증가했고, 주(主)band의 두께는 더 굵었다. 그리고 두유의 고분자의 band가 두부로 많이 이행 하였다. 3. 두유, 두부의 crude 7S protein과 crude 11S protein은 전기영동에서 두유의 7S는 5개, 11S는 9개의 band가 나타났고, 두부의 7S는 4개, 11S는 8개의 band가 나타났는데 두유의 band중 주로 11S 성분들이 두부로 많이 이행 하였다. 4. 대두조직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에서 수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protein body는 그 크기가 상당히 팽창했고 protein body사이에 산재해 있던 spherosomes의 수는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 PDF

면역전기영동법에 의한 유구낭미충 낭액의 구성 단백질 분석 (Immunoelectrophoretic analysis of major component proteins In cystic fluid of Taenia solium metacestodes)

  • Yoon Kong;Seung-Yull Cho;Suk-Il Kim;Shin-Yong Ka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3호
    • /
    • pp.209-218
    • /
    • 1992
  • 혈청이나 뇌척수액에서 특이항체를 증명하여 유구낭미충증을 진단함에 있어 유구낭미충의 낭액이 가장 민감하고도 특이한 항원임은 이미 알려졌다. 낭액을 항원으로 사용하여도 다른 기생충증과 빈도는 낮지만 교차반응이 발생하므로 교차반응을 일으키는 구성단백질에 대하여 더 관찰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유구낭미충 낭액을 Sephacryl S-300 Superfine 젤로 분획하고, 낭액 및 그 분획이 낭액을 면역시켜 만든 토끼 항혈청 (RACF)과 반응하는 양상을 면역전기영동법으로 관찰하여 낭액의 구성 단백질의 성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구낭미충 장액을 젤여과법으로 분획하면 제 3분회과 제 4분회에 단백질이 가장 많이 포함되었다. 제 3분획은 disc-PAGE상 분자량 150 kDa인 것으로 이미 알려진 Band C가 주(주) 구성 단백질이었다. 제 4분획은 분자량이 약 65kDa일 것으로 추정되는 Band N 단백질이 주 구성단백질이었다. 낭액에 대한 토끼 항혈청을 낭액과 면역전기영동법으로 반응시키면 주 침강대 2개와 작은 침강대 7∼8개를 형성하였는데 낭액의 제 3분획은 주 침강대 중 밖에 위치한 긴 침강대를 형성한 반면, 제4분획은 주 침강대 중 안쪽으로 위치한 짧은 침강대를 형성하였다. 유구낭미충과 혈청학적 교차반응을 가장 많이 일으키는 포충(포충, hydatid cyst)의 낭액과 RACF(유구낭미충 낭액에 대한 토끼 항혈청)을 면역전기영동법으로 반응시킨 바, 제 4분획이 반응한 위치에서 침강대를 형성하여 제 4분획의 주구성 단백질이 포충증과의 혈청학적 교차반응의 원인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유구낭미충증으로 이미 진단한 환자의 혈청 중 효소면역 측정 법으로 항체가가 매우 높았던 혈청 8개를 선택하여 유구낭미충 낭액 및 유구낭미충 충체 추출액과 각각 면역전기영동법으로 반응시킨 바 각각 7명에서 침강대를 형성하였고, 제 3분회 및 제 4분회으로 면역전기영동법으로 반응시킨 환자혈청 4개 중에서는 제 3분획에서는 4개 모두가 침강대를 형성한 반면 제 4분 회에서는 침강대가 혈청 2개에서 형성되었다.

  • PDF

벼 세포적기에 미치는 염분 농도의 영향 (Effect of Salt on Mitotic Cycle in Root Meristem Cells of Rice)

  • 김재철;권성환;이진재;이영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97-404
    • /
    • 1992
  • 본 연구는 내염성이 비교적 강한 Japonica형 품종인 섬진벼와 내염성이 비교적 약한 통일형 품종인 칠성벼를 염분농도에 따른 세포주기를 측정하고 각 phase의 기간 변화도 조사하였으며, 또한 DNA, RNA 및 단백질 합성량를 제출하여 세포주기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섬진벼와 칠성벼의 세포주기는 염분농도 0%, 0.3% 및 0.6%에 서 12시간으로 동일하였다. 2. 세포주기로부터 측정된 각 phase 별 기간은 무처리구와 처리구에서 차이를 보였다. 섬진벼가 무처리구에서 G1=3.3, S=3.8, G2=2.8, 그리고 M=2.1 시간이었고, 0.3%에서 G1=3.5, S=3.6, G2=2.8, 그리고 M=2.1 시간이었으며, 0,6%에서 G1=3.5, S=3.6, G2=2.8, 그리고 M=2.1 시간으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G1 기간은 길어겼고, S 기간은 약간 짧아졌다. 칠성벼에서는 무처리구에서 G1=2.6, S=5.2, G2=2.3, 그리고 M=1.9 시간이었고, 0.3%에서 G1=2.5, S=6.2, G2=1.6 그리고 M=1.7 시간이었으며, 0.6%에서 G1=2.1, S=6.0, G2=2.0 그리고 M=1.9 시간으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처리구의 G1과 G2 기간은 짧아졌고 S 기간은 길어졌으며, 이는 섬진벼의 변화와 반대 성향을 보여 주었다. 3. 섬진벼에서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하여 DNA와 RNA 합성은 감소한 반면, 단백질 합성은 증가하였으며, 칠성벼에서는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하여 DNA와 단백질 합성은 증가하였으나, RNA 합성은 섬진벼와 같이 감소하였다.

  • PDF

벼 뿌리세포의 유사분열주기에 대한 배양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Mitotic Cycle of Rice Root Meristem Cells)

  • 김재철;이승준;권성환;곽성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5-72
    • /
    • 1990
  • 본 연구는 Japonica형 품종인 섬진벼와 통일형품종인 서광벼의 세포주기를 측정하고 온도의 하항에 따른 세포주기의 지연을 측정하여 품종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세포주기를 phase별로 기간을 측정하고 온도의 변화에 따른 각 phase 기간변화로 조사하였다. 아울러 DNA, RNA 및 protein 합성량도 측정하여 세포주기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는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섬진벼와 서광벼의 세포주기는 3$0^{\circ}C$에서 6시간, 2$0^{\circ}C$에서 12시간으로 동일하였으나 15$^{\circ}C$에서는 섬진벼 18시간, 서광벼 20시간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Japonica형 품종인 섬진벼가 통일형 품종인 서광벼에 비하여 냉해에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세포주기로부터 측정된 각 phase별 기간은 섬진벼가 2$0^{\circ}C$에서 $T_{G_1}$=2.0, $T_{s}$ =4.4, $T_{G_2}$=3.2 그리고 $T_{M}$=2.4 시간이었고, 3$0^{\circ}C$에서 $T_{G_1}$=1.8, $T_{s}$ =2.6, $T_{G_2}$=0.6 그리고 $T_{M}$=0.8 시간이었다. 서광벼에서는 2$0^{\circ}C$에서 $T_{G_1}$=3.0, $T_{s}$ =3.0, $T_{G_2}$=3.5 그리고 $T_{M}$=2.5시간이었고 3$0^{\circ}C$에서 $T_{G_1}$=1.5, $T_{s}$ =1.5, $T_{G_2}$=2.0 그리고 $T_{M}$=1.0시간이었다. 2$0^{\circ}C$에서 3$0^{\circ}C$로 배양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섬진벼에서는 2$0^{\circ}C$에 비하여 3$0^{\circ}C$에서 $G_1$기는 길어졌고 $G_2$기와 M기는 짧아졌다. 그러나 서광벼에서는 각 phase의 상대적 기간이 거의 일정한 비율이었다. 3. DNA, RNA 및 protein 합성은 온도가 하항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효소 분해순서를 달리하여 제조한 탈지대두박효소 분해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Hydrolyzed Vegetable Protein Manufactured by Various Enzyme Reaction Order of Defatted Soybean Meal)

  • 신명곤;이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279-1284
    • /
    • 2016
  • 식물성 단백질 급원인 탈지대두박에 Flavourzyme$^{(R)}$(F), Neutrase$^{(R)}$(N), Alcalase$^{(R)}$(A), Protamex$^{(R)}$(P)의 단백질 분해효소를 작용시켰을 때 짠맛을 많이 생성하는 조건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효소처리 순서를 달리하여 제조한 enzyme hydrolyzed vegetable protein의 고형분 함량은 1차 Neutrase $^{(R)}$(N), 2차 Alcalase$^{(R)}$(A), 3차 Flavourzyme$^{(R)}$(F), 4차 Protamex$^{(R)}$(P)를 처리한 NAFP 처리구에서 5.60%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고형분 함량에서는 효소의 처리 순서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24개의 처리구들 중에서 ANFP(102.76 mg%)와 APNF(102.85 mg%) 처리구가 통계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정량묘사분석 결과 짠맛은 PNFA(11.81) 처리구가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나타내며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NPAF(10.14), FPNA(10.00), APNF(9.80), NAFP(9.76), AFNP(9.57), APFN(9.52), NPFA(9.50) 처리구가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으며 다음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감칠맛은 모든 처리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쓴맛 후미는 AFPN(5.67) 처리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FAPN(2.38), PNAF(2.62), NAPF(2.48) 처리구에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묘사분석 결과를 주성분 분석한 결과 PNFA, NAFP, APFN, NPAF, FPNA, NPFA, APNF 처리구는 짜고 감칠맛 나는 맛을 낼 수 있는 효소처리법이었다. 따라서 이들 효소의 처리 순서가 짜고 감칠맛 나는 식물단백효소 분해물의 제조에 바람직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A ubiquitin-proteasome system as a determination factor involved in methylmercury toxicity

  • Hwang, Gi-Wook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6-54
    • /
    • 2006
  • The methylmercury (MeHg) is a toxic environmental pollutant, causing serious neurological and developmental effects in humans. Recent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indicated that ingestion of MeHg in fish during pregnancy can result in neuroethological effects in the offspring. However,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MeHg-toxicity is not fully understood. To elucidate the mechanisms of toxicity of MeHg and of defense against MeHg, we searched for factors that determine the sensitivity of yeast cells to MeHg, and found that overexpression of Cdc34, a ubiquitin-conjugating enzyme (E2) that is a component of the ubiquitin-proteasome (UP) system, induces a resistance to MeHg toxicity in both yeast and human cells. The UP system is involved in the intracellular degradation of proteins. When Cdc34 is overexpressed in cells, ubiquitination reactions are activated and the degradation of certain proteins by the UP system is enhanced. Therefore, it seems likely that certain as-yet-unidentified proteins that increase MeHg toxicity might exist in cons and that toxicity might be reduced by the enhanced degradation of such proteins, mediated by the UP system, when Cdc34 is overexpressed. SCF ubiquitin-ligase is a component of UP system and consists of Skpl, the scaffold protein Cdc53, the RING-finger protein Hrt1, and one member of the family of F-box proteins. The F-box proteins directly bind to the substrates and are the determinants of substrate specificity of SCF. Therefore, we searched for the f-box protein that cofers resistance to MeHg, and found that overexpression of Hrt3 or Yi1224w induced resistance to MeHg toxicity in yeast cells. Since the protein(5) that enhance toxicity of MeHg might plausibly be induced in substrates of both f-box proteins, we next searched for substrate proteins that are recognized by Hrt3 or Y1r224w using two-hybrid screen. We found that Did3 or Crsl interacts with Hrt3; and Eno2 interacts with Yir224w. The yeast cells that overexpressed each those proteins showed hypersensitivity to MeHg,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ose proteins enhance the MeHg toxicity. Both Dld3 and Eno2 are proteins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pyruvate, and overexpression of both proteins might induce increase in interacellular levels of pyruvate. Deletion of Yi1006w that transports pyruvate into the mitochondria induced aresistance to MeH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motion of the pyruvate irdlowinto the mitochondria might enhance MeHg toxicity. This study providesimportant keyfor the elucidauon of the molecular mechanism of MeHg toxicity.

  • PDF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에 노출된 용혈성 Bacillus cereus MH-2의 세포 반응 및 프로테옴 분석 (Cellular responses and proteomic analysis of hemolytic Bacillus cereus MH-2 exposed to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 김동민;박상국;오계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60-26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쌈장에서 용혈성을 가지는 Bacillus cereus MH-2를 분리하여, EGCG 노출에 따른 MH-2 균주의 세포 반응과 프로테옴 분석을 위해 수행되었다. 다양한 농도의 EGCG에 노출된 MH-2 균주는 노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생존률은 점차 감소함을 보였다. MH-2 균주의 alginate 생성량은 EGCG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특정 EGCG 농도에서 노출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그 생성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DS-PAGE 및 anti-DnaK와 anti-GroEL의 단일항체를 이용한 Western blot 통한 분석으로, 두 가지 스트레스 충격단백질인 70 kDa의 DnaK와 60 kDa의 GroEL의 발현은 대수생장기의 배양에서 EGCG의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EGCG에 노출된 세균의 세포 외부형태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세포 표면의 돌출부 생성과 함께 세포의 뭉그러짐이 관찰되었다. EGCG에 노출된 Bacillus cereus MH-2 배양의 수용성 단백질 부분에 대한 2-DE에서 20개의 단백질 스팟이 EGCG 노출에 의해 크게 변화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장독소(hemolysin BL lytic component L1, hemolysin BL-binding protein), chaperon (DnaK, GroEL), 세포방어요소(peptidase M4 family proteins), 에너지 및 물질대사 등에 수반되는 이들 단백질은 MALDI-TOF를 사용한 peptide mass fingerprinting에 의해 동정되었다. 이들 결과는 B. cereus MH-2에 대한 EGCG-유도 스트레스와 세포독성의 기작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Stage specific transcriptome analysis of liver tissue from a crossbred Korean Native Pig (KNP × Yorkshire)

  • Kumar, Himansu;Srikanth, Krishnamoorthy;Park, Woncheol;Lee, Kyung-Tai;Choi, Bong-Hwan;Kim, Jun-Mo;Lim, Dajeong;Park, Jong-Eun
    • Journal of Biomedical and Translational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116-124
    • /
    • 2018
  • Korean Native Pig (KNP) has a uniform black coat color, excellent meat quality, white colored fat, solid fat structure and good marbling. However, its growth performance is low, while the western origin Yorkshire pig has high growth performance. To take advantage of the unique performance of the two pig breeds, we raised crossbreeds (KNP ${\times}$ Yorkshire to make use of the heterotic effect. We then analyzed the liver transcriptome as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fat metabolism. We sampled at two stages: 10 weeks and at 26 weeks. The stages were chosen to correspond to the change in feeding system. A total of 16 pigs (8 from each stage) were sampled and RNA sequencing was performed. The reads were mapped to the reference genome and differential exp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edgeR package. A total of 324 gen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ially expressed (${\left|log2FC\right|}$ > 1 & q < 0.01), out of which 180 genes were up-regulated and 144 genes were down-regulat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showed that the samples clustered according to stages. Functional annotation of significant DEGs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showed that GO terms such as DNA replication, cell division, protein phosphorylation, regulation of signal transduction by p53 class mediator, ribosome, focal adhesion, DNA helicase activity, protein kinase activity etc. were enriched. KEGG pathway analysis showed that the DEGs functioned in cell cycle, Ras signaling pathway, p53 signaling pathway, MAPK signaling pathway etc. Twenty-nine transcripts were also part of the DEGs, these were predominantly Cys2His2-like fold group (C2H2) family of zinc fingers. A protein-protein interaction (PPI)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highly interconnected clusters, suggesting an enrichment of genes with similar biological function. This study presents the first report of liver tissue specific gene regulation in a cross-bred Korean pig.

어류 병원체 Edwardsiella piscicida의 OmpR은 생육과 병원성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에 필수적 (OmpR Is Essential for Growth and Expression of Virulence-related Genes in the Fish Pathogen Edwardsiella piscicida)

  • 듀르가 레이;김연하;최윤정;강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8-36
    • /
    • 2021
  • Edwardsiella piscicida는 어류의 출혈성 패혈증 및 사람의 위장 감염의 중요한 원인균이다. 세균이 생존을 하기 위해서는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특수한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따라서 E. piscicida가 삼투압 변화 환경을 감지하고 이에 반응하는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염도 조건에서 단백질 발현 형태와 세균의 생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EnvZ-OmpR의 two-component 조절 시스템의 일부인 OmpR 단백질은 세균의 염분 스트레스 감지와 관련이 있다. 이 단백질이 E. piscicida에서 어떤 생리적 역할을 하는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염분 스트레스에 대한 OmpR 단백질의 기능을 조사 하였다. OmpR을 발현하지 못하는 돌연변이체를 분석한 결과 구연산염 이용, H2S 생성 및 인돌 생산의 능력이 야생형과 비교했을 때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ompR 유전자를 가지는 플라스미드를 돌연변이 균주에 도입하여 분석한 결과 위의 세가지 표현형은 야생형과 같아졌다. 지연된 성장률도 부분적으로 회복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OmpR이 세포 운동성과의 관련성을 찾아볼 수 없었다. 이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돌연변이 분석, 성장 분석, MALDI-TOF MS, qRT-PCR 및 표현형 연구 결과는 E. piscicida의 OmpR이 삼투압 조절, 생육, 포린 발현, 독성 관련 유전자(eseC, eseD 및 evpC) (ETAE_1826) 및 기능을 알 수 없는 특정 유전자(ETAE_1540 및 ETAE_2706)와 관련이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