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etition plot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4초

수도품종(水稻品種)의 생태형(生態型) 차이(差異)가 잡초(雜草)와의 경쟁력(競爭力)에 미치는 영향(影響) (Competition between Transplanted Lowland Rice and Weeds as Affected by Plant Spacing and Rice Cultivar Having Different Eco-geographic Race)

  • 김순철;이수관;김동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6
    • /
    • 1982
  • 수도(水稻)의 품종형(品種型) 차이(差異)가 잡초(雜草)와의 경쟁(競爭)에 미치는 영향력(影響力)을 알기 위해 통일형(統一型) 품종(品種)(Japonica${\times}$Indica)인 서광(曙光)벼와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인 낙동(洛東)벼를 공시(供試)하여 30${\times}$15 cm, 40${\times}$(10${\times}$10 cm), 10${\times}$10 cm 재식거리(裁植距離)로 1980년(年) 포장시험(圃場試驗)으로 실시(實施)하였던 결과(結果_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은 대체로 서광(曙光)벼보다 낙동(洛東)벼 재배구(栽培區)에서 많은 발생량(發生量을) 보였고 재식거리(裁植距離) 간(間)에는 밀식(密植)인 10${\times}$10 cm구(區)에서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이 가장 적었고, 30${\times}$15 cm구(區)와 40${\times}$(10${\times}$10cm) 구(區) 간(間)에는 차이(差異)가 없었다. 그리고 제초방법(除草方法) 간(間)에는 서광(曙光)벼 10${\times}$10 cm 구(區)를 제외(除外)한 모든 처리구(處理區)에서 무제초구(無除草區)의 잡초발생량(잡초발생량)이 월등히 많았다. 2. 잡초발생(雜草發生)에 의한 벼 수량감소(收量減少)는 서광(曙光)벼의 경우 40${\times}$(10${\times}$10 cm)> 30${\times}$15 cm 구(區) > 10${\times}$10 cm 구(區) 순(順)이었고 낙동(落東)벼의 경우는 30${\times}$15 cm구(區) > 40${\times}$(10${\times}$10 cm)> 10${\times}$10 cm 구(區) 순(順)이었으나 10${\times}$10 cm 구(區)에서는 제초방법간(除草方法間)의 수량차(收量差)가 없었다. 3. 잡초건물중(雜草乾物重)과 벼 수량(收量)과는 두 품종(品種) 다 같이 높은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인정(認定)되었으며 벼 수량감소율(收量減少率)이 50% 예상(豫想)되는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은 서광(曙光)벼 213 $g/m^2$, 낙동(洛東)벼 241 $g/m^2$였다. 4.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하여 보면 잡초(雜草)와의 경쟁력(競爭力)은 통일형(統一型) 품종(品種)인 서광(曙光)벼보다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인 낙동(洛東)벼가 약간 높은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 PDF

자연림 복원을 위한 모듈군락식재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Modular Community Planting for Natural Forest Restoration)

  • 한용희;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38-349
    • /
    • 2022
  • 다양한 수종의 묘목을 고밀도로 심는 모듈군락식재가 기존의 성목식재보다 자연림 복원 효과성이 뛰어난지 알고자 야외 실험을 했다. 또 모듈군락식재의 식재밀도 차이에 따라 생장이 촉진되는지, 또 식피율이 높아지는지를 알아보았다. 큰나무를 넓게 띄어 심는 성목식재구(대조구)와 다종의 묘목을 고밀도로 심는 모듈군락식재구(처리구)로 구분했고, 다시 식재밀도에 따른 3주/m2와 1주/m2 모듈군락식재구로 나눠 실험을 설계했다. 2019년 5월부터 26개월간 공시재료의 생존율, 생장량(수고, 수관폭, 근원직경), 식피율을 측정했고, 측정 수고값을 활용하여 장래 수고생장을 예측했다. 모듈군락식재구의 생존율과 상대생장량이 성목식재구보다 높았다. 모듈군락식재구의 식피율은 23개월 이전에 지표면을 완전히 덮었지만, 성목식재구는 이식스트레스로 인해 오히려 식피율이 낮아졌다. 고밀도로 심은 모듈군락식재구의 묘목이 자라서 식재 후 5~6.5년 만에 성목식재구보다 더 높이 자랄 것으로 예측됐다. 이런 결과를 이끈 원인은 다종(多種)·묘목·고밀도 식재와 토양개량·멀칭 등의 식재기반 개선 때문이라 본다. 즉, 모듈군락식재구에 심은 묘목은 큰나무를 심은 성목식재구보다 식재 후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 생존율이 높고, 초기 생장량이 많았을 것이다. 다양한 자생수종의 고밀도 혼식은 상호보완적 환경압을 완화하는 동시에 개체간 경쟁을 유발해 생장 촉진을 이끌었다. 더불어, 식재기반 개선은 묘목의 활착율 상승과 생장량 증가에 유효했다고 본다. 식재밀도가 높을수록 식피율이 급격히 늘어나, 제초 등의 사후관리비 절감 효과가 있을 것이다. 모듈군락식재구(3주/m2, 1주/m2)의 식재밀도가 높았을 때 수고생장이 촉진되었고, 수관폭·근원직경은 식재밀도가 낮았을 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Analysis of Double Stranded DNA-dependent Activities of Deinococcus radiodurans RecA Protein

  • Kim, Jong-Il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4권5호
    • /
    • pp.508-514
    • /
    • 2006
  • In this study, the double-stranded DNA-dependent activities of Deinococcus radiodurans RecA protein (Dr RecA) were characterized. The interactions of the Dr RecA protein with double-stranded DNA were determined, especially dsDNA-dependent ATP hydrolysis by the Dr RecA protein and the DNA strand exchange reaction, in which multiple branch points exist on a single RecA protein-DNA complex. A nucleotide cofactor (ATP or dATP ) was required for the Dr RecA protein binding to duplex DNA. In the presence of dATP, the nucleation step in the binding process occurred more rapidly than in the presence of ATP. Salts inhibited the binding of the Dr RecA protein to double-stranded DNA. Double-stranded DNA-dependent ATPase activities showed a different sensitivity to anion species. Glutamate had only a minimal effect on the double-stranded DNA-dependent ATPase activities, up to a concentration of 0.7 M. In the competition experiment for Dr RecA protein binding, the Dr RecA protein manifested a higher affinity to double-stranded DNA than was observed for single-stranded DNA.

Solubilization of an Angiotensin II Binding Site from Rat Liver

  • Chung, Sung-Hyun;Ravi Iyengar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231-236
    • /
    • 1991
  • The high affinity binding sites for angiotensin II were solubilized from rat liver membranes by treatment with CHAPS. The binding protein was also partially purified by angiotensin III inhibitor-coupled Affi-gel affinity chromatography. Binding to the intact membrances as well as to the solubilized preparation was specific and saturable. According to the Scatchard plot, the membrane preparations exhibited a single class of high affinity binding sites with a Kd OF 0.71 nM. The solubilized preparation also showed the presence of a single class of bindings sites with less affinity (Kd of 14 nM). Meanwhile the competition studies using angiotensin II analogues represented two separate binding sites for angiotensin II and single binding site for antagonist. These latter findings were correlated to the results provided by Garrison's research group. More works are needed to clarify this discrepancy.

  • PDF

산불 후 입지에 따른 소나무 분포와 환경 요인 - 강원도 고성군을 중심으로 -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Factors and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after Fire in Goseong, Gangwon Province, Korea)

  • 신문현;임주훈;공우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9-60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forest fire on natural distribution and regeneration of Pinus densiflora Sieb. & Zucc. in Goseong, Gangwon province, Korea. After 13 years of the last forest fire in 2000, five investigation plots ($10m{\times}10m$) in each of rocky land and ridge, the well-known location as a favorite site for natural distribution of P. densiflora, were set to investigate stand characteristic and soil environment includi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oisture contents of soil. Also, five investigation plots in slope area were set and investigated as well.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nd exchangeable nutrients ($K^+$, $Ca^{2+}$, $Mg^{2+}$) were highest in the slope while the soil in the rocky land showed the lowest concentration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_2O_5$, and exchangeable nutrients ($K^+$, $Na^+$, $Ca^{2+}$, $Mg^{2+}$). The soil in the slope only showed higher concentration of total nitrogen, $K^+$ and $Ca^{2+}$ than the unburned area in Goseong. Mean soil moisture contents in the rocky land (5.77%) were lowest while the slope (15.78%) and the ridge (15.27%) showed almost three times as much than the rocky land. P. densiflora was dominant in the rocky land and Quercus spp. were dominant in the ridge and slope. The average proportion of P. densiflora was highest in rocky land (58.4%, 14.6 trees per plot) followed by the ridge (25.2%, 7.8 trees per plot) and the slope (11.3%, 3.4 trees per plot) while the average height of P. densiflora was highest in slope (277cm) followed by the ridge and the rocky land. The height and crown width of Quercus spp. were higher than P. densiflora in the every plot. The results suggest that P. densiflora may be able to naturally regenerate and survive in the rocky land after the fire while P. densiflora in the ridge and the slope are suppressed by Quercus spp.

테에다소나무 조림지(造林地)에서 활엽수(闊葉樹)와의 종간경쟁(種間競爭)이 임분수준(林分水準) 생존(生存) 예측모형(豫測模型)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Hardwood Interspecific Competition on Stand Level Survival Prediction Model in Unthinned Loblolly Pine Plantations)

  • 이영진;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49-54
    • /
    • 2000
  • 임분수준(林分水準) 생존예측모형(生存豫測模型)이 개발(開發)되었으며, 이 모형(模型)은 녹병(綠病)(Cronartium quercuum [Berk.] Miyabe ex Shirai f. sp. fusiforme)의 발생율(發生率)을 모형(模型)에 포함하였으며 그리고 녹병(綠病)에 감염(感染)되지 않은 단계(段階)의 임목(林木)들이 감염(感染)되는 단계(段階)로의 전이(轉移)가 허용(許容)되는 특징(特徵)을 가지고 있다. 12년간(年間) 장기적(長期的)으로 매년(每年) 측정(測定)된 영구적(永久的)인 실험(實驗)plots의 다양(多樣)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利用)하였으며, 인공조림(人工造林)된 테에다소나무임분(林分) 내에서 자연적(自然的)으로 발생(發生)된 활엽수(闊葉樹)들과의 종간경쟁(種間競爭)이 소나무임분(林分)의 생존예측(生存豫測)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분석(分析)하였다. 본(本) 연구(硏究)의 결과(結果)로서 임분수준(林分水準)의 생존예측모형(生存豫測模型)은 지위지수(地位指數)와 활엽수(闊葉樹)의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밀도(密度)와의 유의(有意)한 영향(影響)이 생존예측모형(生存豫測模型)에서 나타났다. 지위지수(地位指數)와 활엽수(闊葉樹)의 밀도(密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서 조림(造林)된 테에다소나무임분(林分)의 미래(未來) 생존(生存) 본(本) 수(數)는 뚜렷히 감소(減少)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적미(赤米)의 경합기간(競合期間)과 밀도(密度)가 수도생육(水稻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Duration of Competition and the Competitive Ability of Red Rice with Rich by Replacement Diagram)

  • 이동우;김재철;김영호;홍유기;손석용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5-51
    • /
    • 1987
  • 적미(赤米)에 대한 벼의 경합시기(競合時期)와 경합력(競合力)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폿트를 이용(利用), 적미(赤米)와 수도(水稻)를 함께 이앙(移秧)하여 이앙후 10일(日)부터 60일(日)까지 10일(日) 간격으로 적미(赤米)를 제거(除去)하여 한계 경합기간(競合期間)을 구명(究明)하였으며, 경합력(競合力)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대체적(代替的)인 설계방법(設計方法)에 의해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검토(檢討)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연 다음과 같다. 1. 적미(赤米)에 의한 경합기간(競合期間)이 길어질수록 수도(水稻)의 초장(草長), 경수(莖數)의 감소(減少)는 크게 나타났으며 최고분벽기(最高分蘗期)는 빨라지는 경향(傾向)이었다. 2. 수도수량(水稻收量)은 이앙후(移秧後) 20일(日)부터 유의성(有意性) 있게 감소(減少)하기 시작(始作)하였으며 이는 주당수수(株當穗數) 감소(減少)가 가장 큰 요인(要因)이었으며 수당입수(穗當粒數), 간장(稈長)의 감소(減少)가 함께 영향을 끼친 것으로 생각된다. 3. 대체적(代替的) 설계(設計)에 의한 수도(水稻)와 적미(赤米)와 상호경합(相互競合)은 길항적(拮抗的)이었으며 따라서 상대수량계(相對收量計)도 상호길항적(相互拮抗的)임을 추정(推定)할 수 있었다. 4. 대체적(代替的) 설계(設計)에 의한 경합력 조사결과 수도(水稻), 적미(赤米)의 수당입수(穗當粒數), 간장(稈長), 수장(穗長) 변화(變化)는 큰 차이가 없었다. 5. 적미(赤米)의 수수(穗數)가 $m^2$당(當) 300 본(本) 발생(發生)되면 수량(收量)은 약(約) 50% 감수(減收)되었다.

  • PDF

중부한국의 하록림 밑 관목층 구성종의 미분포와 종간상관 (Pattern and Association within Shrub Layer under Summer Green Forest in Central Korean Peninsula)

  • 오계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5권1호
    • /
    • pp.33-41
    • /
    • 1972
  • Nine shrub layer communities under two relatively well conserved natural summer green forests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n Peninsula were studied for the pattern of stem distribution in terms of Greig-Smith's multiple split-plot experiment and for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opulation of the two main species in terms of Kershaw's covariance analysis respectively. Four contiguous belt transects, $4{\times}64m size with 1{\times}1m$ basic unit, were set in each shrub layer communities. Significant primary clumps with $1{\times}1m or 1{\times}2m$ dimension wer observed consistently throughout the nine study sites. The primary clumps themselves were significantly distributed either regularly or at random.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wo principal species of each shrub layer is highly significantly either positive or negative in $1{\times}1m or 1{\times}2m$ dimension. As the plot size increases from $1{\times}1m to 8{\times}8m$ the associational trends were changed from negative to positive direction in one forests. But the change from positive to negative direction and the consistent negative association were also observed from the other forest. All of the association trends were observed only from $1{\times}1m to 4{\times}4m$ dimension. These results are suggestive that the distributional pattern of the shrub layer species under the summer green forest is simple mosaic fashioned with $1{\times}1m or 1{\times}2m$ dimension. The rest of the principal species are located in that matrix. The simple mosaic pattern of two principal species are located in that matrix. The simple mosaic pattern of two principal species seems to be controlled by change in micro-environmental pattern. Differences between the primary random group and clumped group among sites also suggest that competition exists for light or/and soil between primary clumped groups.

  • PDF

수도품종(水稻品種)의 숙기(熟期) 차이(差異)가 잡초(雜草)와의 경쟁력(競爭力)에 미치는 영향(影響) (Competition between Transplanted Lowland Rice and Weeds as Affected by Plant Spacing and Rice Cultivar Having Different Maturity)

  • 김순철;김제규;김동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12
    • /
    • 1982
  • 수도(水稻)의 숙기(熟期) 차이(差異)가 잡초(雜草)와의 경쟁력(競爭力)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기 위해 통일형(統一型) 품종중(品種中)에서 숙기(熟期) 차이(差異)가 약(約) 12일(日)인 통일(統一)과 영남조생(嶺南早生)을 공시(供試)하여 30${\times}$15cm, 40${\times}$(10${\times}$10cm), 10${\times}$10 cm의 재식거리(裁植距離)로 1980년(年) 농촌진흥청(農村振興廳) 영남작물시험장(嶺南作物試驗場)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포장시험(圃場試驗)으로 실시(實施)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무제초구(無除草區)의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은 두 품종(品種) 다같이 밀식구(密植區)인 10${\times}$10cm구(區)에서 가장 적었고 30${\times}$15 cm 구(區)와 40${\times}$(10${\times}$10 cm)구(區) 간(間)에는 차이(差異)가 없었다. 또한 제초방법간(除草方法間)에는 10${\times}$10cm구(區)에서만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고 30${\times}$15 cm구(區)와 40${\times}$(10${\times}$10 cm)구(區)에서는 무제초구(無除草區)의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이 월등히 많았다. 2. 벼 수량(收量)은 손 제초구(除草區)에서는 두 품종(品種) 다같이 재식거리간(裁植距離間)의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무제초(無除草)의 경우에는 10 ${\times}$ 10cm 구(區)에서만 손제초구(除草區)와 수량차이(收量差異)가 없었고 40 ${\times}$ 15cm 구(區)와 40 ${\times}$ (10 ${\times}$ 10cm) 구(區)에서는 잡초발생(雜草發生)에 의(依)해 손제초구(除草區)보다 10a 당(當)100 kg 이상(以上) 감소(減少)되었다. 3. 수도(水稻) 수량(收量)과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 간(間)에는 두 품종(品種) 다 같이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는데 (통일(統一); Y = 5.68 - 0.0127X, r=-0.814$^*$, 영남조생(嶺南早生): Y = 0.04 - 0.0134 X, r=-0.9704$^{**}$), 수량감소(收量減少) 정도(程度)는 조생종(早生種)인 영남조생(嶺南早生)이 통일(統一)보다 잡초발생(雜草發生)에 의(依)한 수량감소율(收量減少率)이 약간 높은 편이었는데 수량감소율(收量減少率)이 50% 예상(豫想)되는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은 영남조생(嶺南早生) 188.2 g/$m^2$, 통일(統一) 223.6g/$m^2$였다. 4.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미루어 보아 잡초(雜草)와의 경쟁력(競爭力)은 조생종(早生種)인 영남조생(嶺南早生)보다 숙기(熟期)가 이보다 약(約) 12일(日) 늦은 통일(統一)이 약간 높은 것으로 인정(認定)되었다.

  • PDF

수도품종(水稻品種)의 간장차이(稈長差異)가 잡초(雜草)와의 경쟁력(競爭力)에 미치는 영향(影響) (Competition between Transplanted Lowland Rice and Weeds as Affected by Plant Spacing and Rice Cultivar Having Different Culm Length)

  • 김순철;이수관;박래경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4-51
    • /
    • 1981
  • 수도(水稻)의 간장(稈長) 차이(差異)가 잡초(雜草)와의 경쟁력(競爭力)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기 위해 통일형품종(統-型品種) 중(中)에서 간장(稈長) 차이(差異)가 약(約) 10cm인 청청(靑靑)벼와 만석(萬石)벼를 공시(供試)하여 재식거리(我植距離)를 달리하여 1980년(年) 포장시험(圃場試驗)으로 실시(實施)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은 간장(稈長)이 짧은 만석(萬石)벼가 간장(稈長)이 긴 청청(靑靑)벼보다 많았고 재식거리별(我植距離別)로는 밀식(密植)인 $10{\times}10cm$ 구(區)에서는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이 가장 적었다. 2. 잡초발생(雜草發生)에 대한 재식거리(我植距離)의 잔류효과(殘留效果)는 밀식(密植)일수록 잡초발생(雜草發生) 억제효과(抑制效果)가 높았는데 $10{\times}10cm$ 구(區)에서는 전년(前年)에 손으로 제초(除草)한 구(區)와 거의 비슷한 잡초발생(雜草發生)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그러나 발생(發生)되는 잡초(雜草)의 구성(構成)은 달랐는데 손으로 제초(除草)한 구(區)는 올챙고랭이와 올미가 거의 비슷한 비율(比率)로 발생(發生)되나 밀식구(密植區)($10{\times}10cm$)에서는 올챙고랭이가 올미보다 높은 발생비율(發生比率)을 보였다. 3. 벼 수량(收量)은 품종(品種) 및 제초방법(除草方法)에 관계없이 밀식구(密植區)인 $10{\times}10cm$ 구(區)에서 가장 높았으며 $30{\times}15$ cm 구(區)와 $40{\times}(10{\times}10cm)$ 구간(區間)에는 통계적(統計的)인 통계적(統計的)인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제초방법간(除草方法間)에는 품종적(品種的)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었다. 4. 잡초발생(雜草發生)에 의한 수량검소(收量減少)는 주(主)로 엽면적감소(葉面積減少)와 수수감소(穗數減少)에 기인(基因)되며 일수립수(一穗拉數), 등숙비율(登熟比率) 및 천립중(千拉重)은 그다지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다. 5.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미루어 보아 잡초(雜草)와의 경쟁력(競爭力)은 간장(稈長)이 큰 청청(靑靑)벼가 간장(稈長)이 짧은 만석(萬石)벼보다 큰 것으로 인정(認定)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