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rison of curriculum and textbooks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18초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탐구 과제에 포함된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 분석 - 초등학교 4·5·6학년 2학기 사회교과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Role Embedded in Inquiry Tas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based on the 4th·5th·6th Grade in the Second Term)

  • 유종열;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9-4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포함된 탐구 과제를 정보활동 중심의 도서관활용수업 모형과 비교 분석하고, 사회 교과 학습에서 사서교사가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적 역할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정교과서로 개발되어 활용 중인 초등학교 4 5 6학년 2학기 사회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 5학년은 개별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삽화, 사진,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여 말로 표현하고, 6학년은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 또는 다른 자료에서 찾은 정보를 활용해서 과제를 해결하고 말로 표현하도록 탐구 과제가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4 5학년에게는 비교, 대조, 조합, 원인과 결과 구분, 사실과 의견 구분 그리고 결론의 예측과 추론 등의 정보활용기술을 지도하는데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6학년에게는 교과교사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장기간에 걸쳐서 과제의 특성에 따른 해결 계획을 수립하고, 자료 수집, 활용, 결과물 완성 및 평가에 이르는 전반적인 정보활용과정을 지도하는데 참여할 수 있다.

국내외 학술지를 토대로 분석한 화학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 비교 (Comparison of the Recent Trend of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Journals)

  • 한재영;이상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290-296
    • /
    • 2012
  • 화학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와 국외 화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 학술지로는 대한화학회지와 한국과학교육학회지를 선택하였고, 국외 학술지로는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을 선택하였다. 세 학술지에 2000년에서 2009년까지 10년간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주제로 '교수법 및 교육공학', '학습자 특성', '화학 개념 및 실험' 순서로 많이 연구되었고, 한국의 사회적 특성이 반영된 '교육과정 및 교과서' 연구도 종종 이루어졌다. 연구에서 다루어진 화학교육 목표는 '개념 이해 및 개념 변화'가 가장 많았고, 국외의 경우 '성취도 또는 성적'이, 국내의 경우 '실험·탐구 능력'과 '태도, 흥미, 동기'가 두 번째로 많았다. 연구 대상으로 국내에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은 반면 국외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아, 국내 연구에서 고등교육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연구 방법으로 '조사 및 검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국내의 경우 '자료 분석 및 내용 분석'과 '실험 연구', 국외의 경우 '실험 연구'가 두 번째로 많았다. 미래의 화학교육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8.15 광복 진전.후의 가정과 교육의 비교 (Comparis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Korean School before with after Korean Independence of the Dominance of Japan Empire.)

  • 정덕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4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home economics before and after korean Independence of the dominance of Japanes Empire. The specific aimes are to compare the subject organization, educational purpose and subject contents etc. of home economics in korean school before with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of the dominance of Japanes Empire. The methods to study were to analyze some documents(laws or regulations)and textbooks etc. at that tim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erized as follow. 1. The subject of home economics in primary school were‘Jaibong(sewing)’,‘Kasa(household affairs)’just before Korean Independence of Japan in 1945. But the subject of home economics changed to‘Yori(cooking)’,‘Jaibong’after Korean Independence in 1945. In 1946,‘Yori’and Jaibong were integrated in‘Kasa’. In 1954, ‘Kasa’changed to ‘Silkwa(Practical Course)’. The subject of home economics in middle or high girl school were‘Kajeong(home)’, ‘Yuga(nursing)’,‘Bogeon(preservation of health)’,‘Pibok(clothing)’just before Korean Independence in 1945. But the 4 subjects changed to‘Kasa’,‘Jaibong’,‘Suye(embroidery)’and the 3 subjects changed‘Sileop and Kajeong(home affairs)’again. 2. The hours per week assigned to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higher in high school years than in low school years both in primary schools and middle or high schools. 3. Among various home economics subjects, the hours assigned to‘Jaibong’were higher than any other home economics subjects. But The hours assigned to the‘Kasa’tended to increase in high school years. 4. The purpos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chools before Korean Independence of Japan focused of fostering korean's loyalty to Japan Empire in the end and on cultivating womanly virtue etc. This tendency was more prominant in middle or high school than primary school. 5.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during about 10 years generally followed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of Japanes Empire. 6.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in primary school for school boys was practised after 1955(The period of 1th curriculum). Before that time was practised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school girls. 7. Generally home economics education in Korean schools was weakened after Korea became Independant of Japanes Empire in 1945. 8.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fter Korean Independence tended to follow those of Japan. Among domains of the home economics the rate of contents of‘siksainghwall(life of foods)’tended to be largest, the rate of‘Jusainghwal(life of house)’lowest in primary, while the contents of‘oeusainghwal(life of clothing)’tended to be largest, the rate of‘Jusainghwal(life of house)’lowest in middle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