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rison of cultivars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36초

강낭콩의 적정 침지조건과 조리특성의 비교 (Comparison on Optimum Soaking Condition and Cooking Properteis of Korean Kidney Beans)

  • 조은자;박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37-942
    • /
    • 1995
  • 침지 중 강남콩의 절단력은 적색종>분홍색종>백색종의 순으로 컸으나, $10^{\circ}C에서\;10시간,\;20^{\circ}C에서\;8시간,\;30^{\circ}C에서\;6시간,\;40^{\circ}C$에서 3시간 침지한 경우에는 품종에 관계없이 동일한 절단력을 보였다. 동일한 절단력을 나타내는 조건($10^{\circ}C에서\;10시간,\;20^{\circ}C에서\;8시간,\;10^{\circ}C에서\;6시간,\;10^{\circ}C$에서 3시간)을 적정 침지조건으로 하여 침지한 강낭콩의 조리완료 시간은 침지조건에 관계없이 분홍색종이 23분, 적색종이 25분, 백색종이 27분이었다. 조리속도는 침지조건에 관계없이 비슷하엿으나 분홍색종>적색종>백색종의 순으로 컸다. 고형분 용출량은 침지조건과 품종에 관계없이 비슷한 값을 보였으나, 품종에 관계없이 $30^{\circ}C$에서는 최대의 고형분 용출량을, $10^{\circ}C$에서는 최소한 고형분 용출량을 나타내었으며, 백색종은 침지온도 $10^{\circ}C$에서 10시간 침지시 다른 침지조건 보다 고형분 용출량이 훨씬 적어 차이를 보였다.조리액의 색도는 적색종>분홍색종>백색종의 순으로 흡광도가 높았고, 조리시 강낭콩의 최대 흡광도는 분홍색종과 적색종은 490nm였고 백색종은 330nm였으며, 강낭콩 분홍색종과 적색종이 침지조건에는 관계없이 동일한 흡광도를 보였으나, 침지온도 $10^{\circ}C$에서 10시간 침지한 분홍색종은 흡광도가 낮아 특이한 패턴을 보였다.

  • PDF

콩 품종별 흡습특성 비교 (Comparison of Sorption Characteristics of Several Soybean Varieties)

  • 김동희;염초애;김우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1호
    • /
    • pp.14-17
    • /
    • 1990
  • 7개 품종의 콩(팔달, 단엽, 장백, 백운, 장엽, Local 1, Local 2)에 대한 흡습특성이 온도, 상대습도를 달리한 조건에서 조사되었다. 이들 콩의 평형상대습도는 $4^{\circ}C$$25^{\circ}C$보다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탈습은$4^{\circ}C$에서는 RH 44 % 이하에서, $25^{\circ}C$에서는 RH 52 % 이하에서 일어났다. 또한 흡습은 $25^{\circ}C$에서는 RH 80% 이하에서 저장 10일에 평형수분함량에 도달하였으나 $4^{\circ}C$에서는 RH 73 % 이상에서 부터 저장 10일 후 계속 수분함량이 증가하였다. $4^{\circ}C$에서 팔달의 평형수분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25^{\circ}C$에서는 백운의 평형 수분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저장시간별 수분함량의 변화속도를 log(dw/dt)=b log(t)+log a의 식을 이용하여 예측한 결과 저장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dw/dt)${\times}10^3$의 값은 대수함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상대 습도가 높아지면서 -b 값은 낮아졌다. 초기흡습속도는 상대습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시료품종중 팔달의 값이 비교적 가장 높았다.

  • PDF

품종에 따른 강낭콩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비교 (Compariso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Kidney Bean Starch according to Varieties)

  • 조은자;김성곤;박선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87-793
    • /
    • 1998
  • 품종별 강낭콩 전분의 성질에서 전분입자는 타원형으로 표면은 매끄러웠고 품종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아밀로그램의 호화개시 온도는 농도$(7{\sim}9%)$가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고, 최고 점도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92.5^{\circ}C$에서의 점도 대수값과 농도는 모두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다. 물결합 능력은 $94.7{\sim}102.0%$, $70{\sim}90^{\circ}C$에서의 팽윤력과 용해도는 각각 $3.79{\sim}12.21%$$1.84{\sim}17.38%$, 아밀로오스 함량은 $31.1{\sim}32.8%$, Blue value는 $0.64{\sim}0.66%$, 비교점도는 $2.27{\sim}2.61{\;}mlg^{-1}$였고, $50{\sim}95^{\circ}C로 가열시 광투과도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호화패턴으로 강낭콩 품종간에 차이를 보였다. 시차주사 열량기에 의한 호화양상에서 호화개시온도와 호화정점은 분홍색종과 적색종은 비슷하였으나 백색종이 차이를 보였고, 호화엔탈피는 $1.9{\sim}3.5{\;}cal/g$으로 분홍색종>적색종>백색종의 순으로 품종간에 차이를 보였다.

  • PDF

한국잔디 수집계통들 중에서 우수계통들의 생육특성 비교 (Comparison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uperior Lines in the Collected Lines of zoysiagrass)

  • 임용우;김기용;김맹중;성병렬;임영철;정의수;신홍균;김용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7권2_3호
    • /
    • pp.75-80
    • /
    • 2003
  • 2001년 수집된 한국잔디 133계통들 중에서 우수한 계통들을 선발하기 위하여 밀도(품질), 피복성, 녹색기간, 내병성, 출수유무(종자수) 등의 주요특성과 그 외 생육특성들이 조사되었다. 생육특성이 우수한 6계통이 선발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집된 133계통들 중에서 가장 녹색기간이 긴 계통은 J01067으로 11월초까지 녹색도를 유지하였다. J01106 및 J01129 계통들은 엽폭이 각각 1.5mm 및 2mm 정도로 매우 좁으며, 밀도가 높고, 피복성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병성도 강하였다. J01122 계통은 들잔디 계통들 중에서 유일하게 내병성이 강한 계통으로 선발되었다. J01128 계통은 엽폭이 3.2mm로 중엽에 속하였으며, 대비품종인 Sunburst 와 비슷하였다. 이 계통의 경우도 J01106, J01129 계통들과 마찬가지로 밀도가 높고 내병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집된 133계통들의 형태적 분류를 위하여 5가지의 생육특성을 사용하여 크게 세가지 군집으로 분류하였으며, 그 중에서 대비품종으로 사용된 6품종들과 선발된 우수 6계통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제 1군집에 속하는 품종 및 계통은 Belare, Meyer, 안양중지(Anyang-jungji), J01067, J01112 등이 포함되었으며, 제 2군집으로는 S-94, J01105가 포함되었고, 제 3군집에는 Sunburst, 건희(Konhee), J01106, J01128, J01129 등이 포함되었다.

카네이션, 백합, 장미 시설재배지 토양중 양분함량 과 품종별 경엽중 양분함량 (Chemical Properties of the Greenhouse Soil and Nutrient Contents in Leaves and Stems of Carnation, Lily, and Rose.)

  • 황기성;호교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7-251
    • /
    • 2000
  • 시설화훼류 재배지 토양의 양분 집적도와 백합, 장미 및 카네이션의 품종별 경엽중 양분함량을 조사하여 토양개량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시험을 수행하였다. 시설화훼류 재배지 토양은 염류농도, 유효인산, 치환성칼리 함량이 과다하게 집적되어 있는데 화훼류 재배지 별로는 장미 > 카네이션 > 백합재배지의 순으로 컸다. 화훼류 경엽중 양분함량은 작물별로는 백합 > 카네이션 > 장미의 순으로 높았으며, 품종별로는 백합은 'Snow Qeen'>'Le Reve'>'Casa Blanca', 카네이션'Marina'>'Super star'>'Mary Devor'> 'Madelon', 장미는 'Cocktail'> 'Marina'>'Maderon'의 순으로 높았다. 화훼류 경엽중 양분함량은 카네이션은 $T-N:1.66{\sim}2.35%$, $K:1.73{\sim}2.23%$, $Zn:2.13{\sim}6.43\;mg/kg$, $Cu:3.79{\sim}13.89mg/kg$ 범위이었으며 백합은 $T-N:0.79{\sim}1.65%$, $P:0.l8{\sim}0.44%$, $Ca:0.59{\sim}1.26%$, $Mg:0.21{\sim}0.46%$, $Zn:23.65{\sim}90.30mg/kg$, $Cu:0.99{\sim}4.62mg/kg$ 범위이었다. 또한 장미는 $T-N:0.75{\sim}1.62%$, $P:0.17{\sim}0.30%$, $K:1.60{\sim}2.91%$, $Ca:0.64{\sim}0.94%$, $Zn:24.57{\sim}48.31mg/kg$, $Cu:3.10{\sim}9.08mg/kg$ 범위이었다. 백합의 양분흡수량은 K > T-N > Ca > Mg의 순으로 컸으며, 장미의 양분흡수량은 T-N > K > Ca > P > Mg의 순으로 컸다.

  • PDF

떫은감의 품종별 고농도 이산화탄소의 저장효과 (Comparison of Fruit Quality of Various Astringent Persimmon Cultivars during Storage in Atmosphere Controlled with High $CO_2$Concentration)

  • 김창배;이숙희;김찬용;윤재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80-385
    • /
    • 1999
  • CA저장에 적합한 떫은감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청도반시, 사곡시, 고종시, 봉옥시 4품종을 공시하여 $CO_2$농도를 12, 16%로 하였으며 $O_2$농도는 같이 3%로 하여서 약 160일간 저장하여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거의 변화가 없거나 감소하였으며, 청도반시, 사곡시, 고종시는 $CO_2$12%, $CO_2$16% 모두 일반 저온저장고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봉옥시는 고농도의 $CO_2$로 가용성 고형분의 감소가 현저하였다. 경도변화에서 청도반시, 사곡시 및 고종시는 고농도의 $CO_2$에 의한 CA저장에서 일반 저온저장보다 경도 유지가 좋았고 봉옥시는 CA저장과 일반 저온저장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장기저장시 청도반시의 중량감소가 가장 적었고, 고종시의 중량감소가 가장 컸다. 장기저장에 따른 부패과 발생은 $CO_2$농도가 높을수록 억제효과가 높았으며 청도반시, 사곡시에서 발생율이 현저히 낮아서 CA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색도변화에서 CA저장으로 Hunter값이 약간 증가하거나 비슷한 수준이었다. 청도반시, 사곡시, 고종시는 일반 저온저장, CA저장에서 저장기간이 오래 경과해도 tannin 지수가 높아서 추후 탈삽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봉옥시는 고농도 $CO_2$로 탈삽이 진행되었으나 과육이 검게 변하는 갈변화 현상을 보였다.

  • PDF

마디배양과 다양한 호르몬을 이용한 효율적인 알스트로메리아 캘러스 유도 시스템 체계 확립 (Establishment of efficient Alstromeria callus induction system using node culture and various hormones)

  • 양환래;이상희;김종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413-416
    • /
    • 2019
  • 알스트로메리아는 절화 국제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작물 중 하나이다. 특히 긴 개화기간, 다양한 꽃 색깔, 그리고 저온적응성이 높고 배양기간 동안 낮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알스트로메리아는 낮은 증식률, 긴 시간이 걸리는 배양 과정, 높은 바이러스 감염율 때문에 기내 배양 기술이 오늘날까지 계속해서 발전해왔다. 캘러스 유도는 직접적인 식물체 발생 방법에 비해 다양한 배양 부위를 가지고 있고 캘러스만 유지를 잘한다면 캘러스를 유지하면서 식물체 분화를 동시에 할 수 있어 대량 증식에 많은 이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캘러스 유도를 위한 다양한 호르몬과 품종을 비교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마디 및 마디사이를 배양하여 실험을 진행한 결과, 8주 후부터 캘러스가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마디사이에 비해 마디에서의 캘러스 발생율이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2,4-D와 picloram을 비교한 실험에서는 2,4-D를 처리한 배지에서 캘러스 발생율이 최대 2배 이상 높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알스트로메리아 대량증식 시스템 체계 확립 및 신품종 육성에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북한 벼 품종의 평야지와 고랭지간 수량 및 미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Yield Performance and Grain Properties of North Korean Rices between Alpine and Lowland Area in Southern Part of Korea)

  • 김영두;노태환;이재길;양보갑;이선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78-585
    • /
    • 1996
  • 본 연구는 북한에서 육성된 벼 품종을 남부산간 고냉지인 운봉과 남부 평야지인 익산에서 재배한 후 이들에 대한 수량성 및 쌀의 품질 관련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육종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1. 북한 벼 품종의 주당 수수 및 천립중은 지역간 유의성이 없었으나 수당 입수와 등숙율 및 수량은 두 지역간에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고, 수량에 대한 수량 구성요소별 기여도는 익산에서는 등숙율이 가장 컸고 운봉에서는 천립중이 가장 컸다. 2. 단백질, 아밀로스함량, 알칼리붕괴도 및 Mg/K 당량비는 지역보다는 품종간 변이가 컸으며 Mg 및 K함량은 지역, 품종간 및 품종$\times$지역간(V$\times$L)교호작용 변이에서 모두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3. 아밀로그램 특성인 호화 개시온도, 최고점도, 강하점도, 취반점도 및 응집점도는 지역, 품종간 및 V$\times$L 교호작용 변이에서 모두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4. 밥의 텍스쳐 특성인 경도, 응집성 및 탄력성은 지역간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품종 및 V$\times$L 교호작용 변이는 뚜렷하였으며 부착성, 점탄성 및 저작성은 지역, 품종간 및 V$\times$L교호작용 변이에서 모두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 PDF

사일리지용 우량 보리품종 선발 2. 사료가치 및 TDN 수량 (Selection of Promising Barley Cultivar for Silage 2. Nutrient value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yield)

  • 김원호;서성;윤세형;김기용;조영무;박태일;고종민;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3-288
    • /
    • 2003
  •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 우량품종 선발을 위해 경기 수원(축산연)에서 1999 ∼ 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사료가치 및 TDN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총체보리의 유숙기 때의 ADF 함량은 27.3 ∼ 29.1% 이었고 황숙기의 경우 27.4 ∼ 30.4%이었다. 또한 유숙기와 황숙기 때의 NDF 함량은 50.6 ∼ 55.9% 그리고 53.1 ∼ 60.6. 유숙기와 황숙기의 TBN 함량은 65.4 ∼ 67.4% 그리고 64. 3 ∼ 67.7%이었다. 또한 ha 당 TDN 수량은 유숙기 때 4,120 ∼ 5,528kg, 황숙기 때 5,674 ∼ 6,569kg 이었다. 그리고 소화율은 유숙기 65.8 ∼ 74.6% 이었고 황숙기 때 64.6 ∼ 73.9% 이었다. 본 시험에서 수량 및 사료가치를 고려하여 수원지역에서는 총체용 보리 우량 품종은 알보리이며, 작부체계에 있어서 황숙기 때 수확하는 것이 유리하다.

벼 고당미 변이계통 배유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gary-Endosperm Mutants in Rice)

  • 고희정;허문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6
    • /
    • 1994
  • 돌연변이로 유기된 고당미 계통과 원품종을 대비하여 미립의 외형, 배유결정조직, 유리당함량, 단백질함량 및 아미노산 조성, 지방함량 및 지방산조성, 알칼리붕괴도, 호응집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당미는 입폭과 입후가 원품종에 비해 작았고, 현미 1000입중이 월등히 감소하였다. 2. 고당미의 배유조직에서는 뚜렷한 전분입자를 관찰할 수 없었는데, 고당미의 종류별로 차이가 있었다. 3. 고당미의 sucrose, glucose, fructose 함량은 원품종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특히 sucrose는 원품종이 1.11∼2.65%인데 비해 고당미는 5.84∼8. 79%로 월등히 증가하였다. 동일한 sugary 유전자를 가진 계통간에도 차이가 있었으며, 화청su-2는 유의하게 낮은 sucrose 및 총당함량을 보였다. 4. 화청su-1을 제외한 고당미계통들은 원품종과 같거나 높은 알카리붕괴도를 보였고, 호응집성에서도 원품종에 비해 harder gel의 특성을 보였다. 5. 고당미계통의 단백질 및 지방함량은 원품종에 비해 월등히 높았는데, 이는 고당미계통에서 도리어 호분층이 두터워졌고 배유전분층의 축소로 인해 현미에서 호분층의 상대적 비율이 높기 때문이었다.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에는 두드러진 변화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