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rative study on ICT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4초

A Comparativ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ield of South and North Korea Using Data Mining

  • Jiwan Kim;Hyunkyoo Choi;Jeonghoon Mo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1권1호
    • /
    • pp.14-30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research trends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field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y using data mining. Frequency analysis, clustering, and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keywords from seven South Korean and two North Korean ICT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or five years (2015-2019). In the case of South Korea (S. Korea), the frequency of research on image process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 was high at 16.7% and 16.3%, respectively. North Korea (N. Korea) had a high frequency of research, in the order of 18.2% for image processing, 16.9% for computer/Internet applications/security, and 16.4% for industrial technology. N. Korea'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sector was 11.9%, far higher than S. Korea's 0.7 percent. Student education is a unique subject that is not clustered in S. Korea. In order to promote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ICT field, the following specific policies are proposed. Joint research will be easily possible in the image processing sector, with the highest research rate in both Koreas. Technical cooperation of medical images is required. If S. Korea's high-quality image source is provided free of charge to N. Korea, research materials can be enriched. In the field of NLP, it calls for proposing exchanges such as holding a Korean language information conference, developing a Korean computer operating system. The field of student education encourages support for remote education contents and management know-how, as well as joint research on student remote evaluation.

IT기업의 규제샌드박스 활용 분석 (Analysis of Regulatory Sandbox Usage by IT Companies)

  • 송석주;민대환;이한진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09-124
    • /
    • 2023
  •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concept of regulatory stringency to the regulatory sandbox with a fresh perspective. The regulatory sandbox is a system that gives opportunities under certain conditions to new technologies or businesses that have not been launched due to inadequacy or insufficiency in legal systems. Previous research on regulatory sandboxes has mainly focused on discussions about their impact on specific technologies or business domains. This study attention to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evaluations. Among them, whether special cases for demonstration can evolve into official permission has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For this study, among the cases that passed the regulatory sandbox evaluation from February, 2019, to December, 2022, 162 cases in the field of ICT convergence were selected. The evaluation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positive interpretation (Fast Track)', 'temporary permission', and 'special case for demonstration.' Each case was assigned to one of the three group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the commo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were summarized. Then, this study explored improvement measures to pass a less restrictive regulatory sandbox. The analysis of the cases revealed that the differences in each evaluation result were attributed to variations in the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user protection features. Considering these differences, as well as the higher weight and importance of the preparation stage for sandbox application, this study suggested a three-step approach to prepare for temporary permission and positive interpretation rather than special case for demonstration. In addition, this thesis discussed the policy limitations of the regulatory sandbox mechanism in South Korea and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Hopefu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beneficial to individuals and companies, particularly venture companies and startups seeking to develop new technologies or businesses and utilize regulatory sandboxes.

CT 분야의 기술기준 및 적합성평가시스템의 혁신정책에 관한 연구: 민간화 방안을 중심으로 (A Study of Innovation Policy regarding Technical Regulation and Conformity Assessment Procedure on ICT Equipments - Focused on Privatization Plan)

  • 이용규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39-464
    • /
    • 2016
  • 우리나라의 ICT 기기의 기술기준 및 적합성평가절차는 주요 교역 상대국가의 요청, MRA 2단계 체결, 적합성평가서비스시장 확대의 필요성 및 제조업체의 요구에 따라 혁신해야 할 시점이다. 주요 선진국은 이미 민간화 방안을 활용하여 혁신을 진행하고 있었으며, 그 수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일본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민간화되어 있었고 한국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국내 민간기관의 시험 인증 능력을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는 현재보다 높은 수준의 민간화가 가능함이 나타났다. 아울러 설문 응답자는 '인증업무의 민간위탁', 'EMC의 민간임의표준으로 전환' 그리고 '적합성평가주체의 전환'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답변하였다. 나아가, '정책 수용성과 갈등 수준'의 관점에서는 '인증업무의 민간위탁'부터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이며, 민간화 이전에 인증심사원제도 마련 등 관련 제도를 사전에 개선해야 한다.

한국형 규제 샌드박스 제도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 : 산업융합촉진법, 정보통신융합법, 금융혁신법, 지역특구법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Korean Type Regulatory Sandbox System : the Industrial Fusion Promotion Act,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Act, the Financial Innovation Act, A Study on the Regional Special Districts Act)

  • 최호성;김정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73-78
    • /
    • 2019
  • 최근 신기술 기반의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규제 제약 없이 사업화를 진행 할 수 있도록 기존 규제의 유예 또는 면제를 시켜주는 한국형 규제 샌드박스(Sandbox) 제도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산업융합, ICT, 핀테크 및 지역혁신성장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규제 여부를 신속히 확인하고, 일정한 조건(구역 기간 규모 등)을 설정하여 실험 실증과 시장출시를 허용하도록 관련 법령을 정비하고 있다. 그러나 동일한 규제 샌드박스가 적용됨에도 불구하고 적용되는 분야의 특성에 따라 신청주체, 규제특례의 적용여부, 의사결정 추진체계 및 재정 세제 지원여부 등의 차이점이 보인다. 본 연구는 규제 샌드박스가 적용되는 산업융합 분야의 산업융합촉진법, ICT 분야의 정보통신융합법, 핀테크 분야의 금융혁신법 및 지역혁신성장 분야의 지역특구법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한국형 규제 샌드박스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한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A Study of Video-Based Abnormal Behavior Recognition Model Using Deep Learning

  • Lee, Jiyoo;Shin, Seung-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4호
    • /
    • pp.115-119
    • /
    • 2020
  • Recently, CCTV installations are rapidly increasing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o prevent various crimes.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CCTVs, video-based abnormal behavior detection in control systems is one of the key technologies for safety.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surveillance personnel who control multiple CCTVs to manually monitor all abnormal behaviors in the video.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 to recognize abnormal behavior using deep learning is being actively conduc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for detecting abnormal behavior based on the deep learning model that is currently widely used. Based on the abnormal behavior video data provided by AI Hub, we performed a comparative experiment to detect anomalous behavior through violence learning and fainting in videos using 2D CNN-LSTM, 3D CNN, and I3D models. We hope that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abnormal behavior learning model will be helpful in developing intelligent CCTV.

넷세대 이공계 학부생과 대학원생들의 학업 및 일상생활에서의 정보이용과 정보기기 활용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es of the Uses of Inform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in the Everyday Life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Science and Engineering)

  • 권나현;이정연;정은경;장길수;윤혜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69-295
    • /
    • 2013
  • 다양한 최신 정보기기가 학업과 여가를 위한 일상 속 정보이용에서 매우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최근 동향을 볼 때, 학생들의 정보기기 활용행태에 대한 이해는 정보행동연구에서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과학기술발전을 담당할 주역인 과학기술전공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이 그들의 일상 속에서 사용하고 있는 정보기기의 유형과 사용 목적, 그리고, 최신 스마트 정보기기의 활용도와 활용 패턴 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과 대학원생의 정보기기활용 패턴을 비교하는 한편, 학업과 비학업 영역에서의 활용패턴도 함께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일상관찰기록법과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국내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총 83명의 과학기술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넷세대 과학기술전공 대학(원)생들의 스마트기기를 포함한 총체적 정보기기 활용 패턴을 그들의 일상생활을 통해 파악함으로써 차세대 과학기술자들을 위한 정보서비스 및 시스템 설계에 토대가 될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품, 서비스, 융합제품서비스의 소비자 니즈 비교 분석 :아마존 온라인 리뷰를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Consumer Needs for Products, Service, and Integrated Product Service : Focusing on Amazon Online Reviews)

  • 김성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16-330
    • /
    • 2020
  • 이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사용하여 하드웨어 제품에 대한 리뷰, 서비스 상품에 대한 리뷰, ICT분야의 하드웨어와 클라우드 서비스가 융합된 형태의 상품을 대상으로 소비자 리뷰를 분석한다. 분석을 위해 각 리뷰의 키워드를 도출하고 토픽 도출에 사용된 단어의 차별성을 찾는다. 마지막으로 전체 리뷰를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각각의 상품군의 리뷰가 어떤 군집에 속하는지를 검토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각 상품의 유형별로 특화되어 사용된 핵심어를 도출하였고, 토픽모델링을 사용하여 제품과 서비스의 특성을 표현하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서비스 상품 리뷰에서는 공급자의 우수성을 의미하는 professional, technician과 같은 핵심어를 도출하였고, 융합제품서비스상품으로서 아마존 에코 리뷰에서는 favorite, fine, fun, nice, smart, unlimited, useful 등의 긍정적 의미의 형용사를 도출하였다. 군집분석을 사용하여 전체 리뷰를 분석하였고, 3개의 상품 유형별 리뷰가 배타적으로 서로 다른 각각의 군집에 속하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소비자의 니즈(needs)를 상품의 유형별로 온라인 리뷰를 이용하여 차이점을 분석하였고 실무적으로 상품 유형에 기반한 상품기획과 마케팅 프로모션 차별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초등 컴퓨터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lementary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 한정혜;김동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83-592
    • /
    • 2004
  •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정보 인프라 측면이나 인적자원의 정보수준에서 OECD 가입국 중 선두적인 위치에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들과는 매우 다른 특수성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ECD 가입국들과 우리나라의 컴퓨터교육과정을 거시적으로 비교하여 봄으로써, 현재 우리나라의 초등 컴퓨터교육 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짚어보고자 한다. 아울러 국내의 특수성을 고려한 향후 초등 컴퓨터교육 정책 및 운영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한국·미국 핀테크(FinTech) 산업의 고용창출효과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mployment Creation Effect of FinTech Industry in Korea and USA)

  • 신용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185-195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의 핀테크 산업 고용창출효과를 비교분석하여 한국의 핀테크 산업의 발전을 모색하고자 한다. 분석에 사용된 산업연관표는 한국과 미국 모두 동일한 산업분류와 통화 단위로 구성된 WIOD를 이용하였다. 또한 분석을 위해 핀테크 산업을 ICT분야와 금융분야를 하나의 산업으로 구성 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두 국가의 핀테크 산업 특성을 구분하기 위해 핀테크 산업 외에도 ICT분야와 금융분야의 고용창출효과도 함께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은 핀테크 산업에 100만 달러의 투자 또는 생산이 이루어질 때 취업유발효과는 11.33명, 고용유발효과는 9.47명으로 총20.8명의 고용창출효과를 나타냈고 미국의 경우 취업유발효과는 8.07명, 고용유발효과는 7.72명으로 고용창출효과는 총15.79명으로 나타났으나 절대적인 비교에서는 한국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국가 산업 전체 평균 고용창출효과를 기준으로 분류한 결과 한국의 핀테크 산업은 고용유발효과가 높은 고용유발우위 산업으로 미국은 취업유발효과와 고용유발효과가 모두 높은 고용창출우위 산업으로 분류되었다.

A Comparative Study on Elderly Persons' Adoption Patterns of Media Information (Newspaper, Smartphone, Etc.) and Digital Divide

  • Park, Kyoung-ryul;Kim, Jeong-l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2호
    • /
    • pp.127-134
    • /
    • 2018
  • This study found the digital divide of Korean elderly persons on the basis of the 2013-2017 survey data of the perception of media information adopters. The studied media were traditional ones, such as newspaper and TV. The media dependence of those in their 20s to 60s was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regarding their dependence on newspaper, elderly persons in their 60s had 20.7% on average, 13.6% higher than the percentage (7.1%) of young persons. Regarding their dependence on TV, those in their 60s had 97.6% and those in their 20s had 63.7%, so that there was a wide gap of 33.9% on average. The smartphone penetration rate of those in their 60s was 61.3%(2015-2017) on average, which tended to rise. The elderly's dependence on traditional media featured Digital Divide which is found in the informatization process.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ir digital divide, it is required to expand education in line with their knowledge level through remote online centers, develop inclusive ICT for convenience, and change philosophical policy paradigm in the dimension of qualit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