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al forest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ased Floral and Faunal Assessment of Alapang Communal Forest of Benguet, Philippines

  • Lumbres, Roscinto Ian C.;Palaganas, Jennifer A.;Micosa, Sheryll C.;Besic, Elvira D.;Laruan, Kenneth A.;Yun, Chung-Weon;Lee, Young-Ji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770-77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xisting flora and fauna, and to develop a spatial map of Alapang communal forest located in the province of Benguet, Philippines. A total of 52 species belonging to 27 families were identified during the inventory in this communal forest using the quadrat method while a total of 30 species belonging to 18 families were recorded using line intercept technique for the assessment of grasses, herbs, vines and other low-lying vegetation. The diversity index of the species in Alapang communal forests using the quadrat method was 2.6649 while for the line intercept technique it was 2.5446.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is area was found to be Pinus kesiya Royle ex Gordon (Benguet pine) under Family Pinaceae with an importance value of 106.74%. In the faunal assessment, four species of birds and a small mammal particularly a rodent were identified during the study. Aside from the high species diversity of this communal forest, the presence of endemic and indicator species in the area denotes that this forest was still in good condition hence must be protected. Spatial maps and database system were generated based from data gathered in the fiel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공유림 분포패턴을 고려한 유역단위 산림기능평가 (Evaluation of Forest Functions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Communal Forests at the Watershed Level)

  • 권순덕;장광민;설아라;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1호
    • /
    • pp.71-7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공유림의 기능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효율적인 평가단위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기능평가 단위로써 대유역, 중유역 그리고 소유역 단위의 평가방법을 고려하였다. 공유림의 경우 소유주체가 일원화 되지 않고 각 시 군의 행정권이 분산화 되어있으며, 산림의 규모가 영세한 특징이 있어 지번 단위의 평가방법은 공유림의 기능평가 단위로 적합하지 않다. 이에 따라 공유림 기능평가에 적합한 평가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집수량 기준에 따라 소 중 대유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하여 산림기능평가를 수행하고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각 평가단위에 따른 기능평가 결과에서는 유역단위 기능 구분 시 공유림의 소규모 산지들을 일정 규모 이상의 산지로 집단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각 평단단위 별로는 소유역 단위에서 중 대유역 단위로 갈수록 산림의 기능이 지나치게 단순화 되는 경향이 나타나 소유역 단위의 기능구분이 공유림의 산림기능평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까엠(Community Forestry Programme)과 REDD+(인도네시아에서 하까엠이 REDD+의 이행주체가 될 수 있는가?) (Hutan Kemasyarakatan (Community Forestry Programme) and REDD+)

  • 윤준영;박관수;강호덕;김세빈;이준우;성용주;이승우;이상진;박범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4호
    • /
    • pp.775-78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an community forestry programme (HKm) could be one of the main tool for REDD+ in Indonesia. Recently, considerable numbers of countries including Norway, England, Korea and etc. have invested 69 million US$ in total to Indonesia for implementation of REDD+. However, forest dependent people without a communal right are subject to poor forest governance during a stream of REDD+ in Indonesia. This study suggest that HKm are needed to be a tool for RED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s of REDD+ in terms of Equity,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3Es) by stimulating local and Indigenous peoples to participate in REDD+. As a result of our study, Indonesia government have designated only 200,000 ha for HKm area by 2007. Indonesia government have a week political will to extend its area to give a communal right to those peoples who dwell in state forests and HKm application process is complicated and slow. HKm has a potential to be main tool for REDD+ in Indonesia. However HKm will be difficult to be main tool for REDD+ without resolving current obstacles.

베트남전쟁과 에코사이드 의식의 수용 (The Vietnam War and the Reception of Ecocide Consciousness)

  • 김일구
    • 영미문화
    • /
    • 제18권4호
    • /
    • pp.1-31
    • /
    • 2018
  • It is needless to say that America's indiscriminate artillery and chemical attacks have worsened the conditions of Vietnam's tropical rain forests, causing war-torn combat troops and civilians to suffer more from the participation and aftermath of the Vietnam war. Around two decades after the Vietnam War, American and Vietnamese writers dealing with the destruction of the human and nature of the Vietnam War and the following traumatic experience commonly report the horrors of inhumane warfare, but some differences among them appear in the reception of the ecocide consciousness. For American writers who had been involuntarily involved or who had stayed in the back area as interpreters and counter-intelligence force, the Vietnam War was often a kind of exotic "addicted adventure" which their American hometown could not provide. But apart from overcoming postwar post-traumatic stress by writing of healing which was shared with American war writers, Vietnamese writers have been able to overcome the scars of war as the communal memorial, which Jonathan Shay emphasized as the necessary comforting ritual by community members showing the sign of honor and care. On the other hand, American war writers were on the side of "separate peace," as Jeong stressed, and the Vietnam War to them was more racist like the case of "body count." Nevertheless, it is fortunate that the hideous experience of war could turn them all into the creativity pool, just as the 5,000 square mile of bomb creators have been used as the postwar fish ponds.

이조시대(李朝時代)의 임지제도(林地制度)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Forest Land System in the YI Dynasty)

  • 이만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48
    • /
    • 1974
  • 토지국유원칙(土地國有原則)을 표방(標榜)하고 "공사(公私) 공리(共利)"를 기본원칙(基本原則)으로 하고 있었던 고려조(高麗朝)의 시전과제도(柴田科制度)도 집권력(執權力)의 약화(弱化)로 인(因)하여 조만간(早晩間), 붕괴(崩壞)되고 말았던 것이나 임지제도(林地制度)에 있어서는 분묘설정(墳墓設定)의 자유(自由)와 개간장려(開墾奬勵)를 이용(利用)한 삼림(森林)의 광점(廣占) 및 전시과제도(田柴科制度)로 인(因)한 시지(柴地)의 수조권위양(收租權委讓)으로 유래(由來)된 사적수조권(私的洙組權)이 결부(結付)된 삼림(森林)의 사점현상등(私占現象等)이 점차(漸次) 발전(發展)하여 고려중기(高麗中期)의 국정해지기이후(國政解地期以後)에는 대부분(大部分)의 삼림(森林)이 권력층(權力層)의 사점지(私占地)로 화(化)하여 왔었다. 고려조(高麗朝)의 모든 제도(制度)를 그대로 계승(繼承)한 이조(李朝)는 건국후(建國後) 국가소용(國家所用)의 삼림확보(森林確保)를 위(爲)한 삼림수용(森林收用)의 제도확립(制度確立)이 긴요(緊要)하였음으로 전국(全國)의 삼림(森林)을 국가권력(國家權力)에 의(依)하여 공수(公收)하고 국가(國家)와 궁실소용이외(宮室所用以外)의 모든 삼림(森林)은 사점(私占)을 금(禁)한다는 "시장사점금지(柴場私占禁止)"의 제도(制度)를 법제화(法制化)하였고 도성주변(都城周邊)의 사산(四山)을 금산(禁山)으로 함과 아울러 우량(優良)한 임상(林相)의 천연림(天然林)을 택(擇)하여 전조선용재(戰漕船用材)와 궁실용재(宮室用材)의 확보(確保)를 위(爲)한 외방금산(外方禁山)으로 정(定)하고 그 금양(禁養)을 위(爲)하여 산직(山直)을 배치(配置)하였다. 그리고 연병(練兵)과 국왕(國王)의 수렵(狩獵)을 위(爲)한 강무장(講武場)과 관용시장(官用柴場), 능원부속림(陵園附屬林)의 금벌(禁伐), 금화(禁火)를 제정(制定) 등(等) 필요(必要)에 따라 수시(隨時)로 삼림(森林)을 수용(收用)하였으나 고려조이래(高麗朝以來)로 권력층(權力層)에 의(依)하여 사점(私占)되어온 삼림(森林)을 왕권(王權)으로 모두 공수(公收)하지는 못하였던 것이다. 이조초기(李朝初期)에 있어서의 집권층(執權層)은 그 대부분(大部分)이 고려조(高麗朝)에서의 권력층(權力層)이었던것 임으로 그들은 이미 전조시대(前朝時代)로부터 많은 사점림(私占林)을 보유(保有)하고 있었던 것이고 따라서 그들이 권력(權力)을 장악(掌握)하고 있는 한(限) 사점림(私占林)을 공수(公收)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으며 그들은 오히려 권력(權力)을 이용(利用)하여 사점림(私占林)을 확대(擴大)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 왕자(王子)들도 묘지(墓地)를 빙자(憑藉)하여 주(主)로 도성주변(都城周邊)의 삼림(森林)을 광점(廣占)하고 있던 터에 성종(成宗)의 대(代) 이후(以後)로는 왕자신(王自身)이 금령(禁令)을 어기면서 왕자(王子)에게 삼림(森林)을 사급(賜給)하였음으로 16세기말(世紀末)에는 원도지방(遠道地方)에 까지 왕자(王子)들의 삼림사점(森林私占)이 확대(擴大)되었고 이에 편승(便乘)한 권신(權臣)들의 삼림사점(森林私占)도 전국(全國)으로 파급(波及)하였다. 임진왜란후(壬辰倭亂後)에 시작(始作)된 왕자(王子)에 대(對)한 시장절급(柴場折給)은 삼림(森林)의 상속(相續)과 매매(賣買)를 합법화(合法化)시켰고 이로 인(因)하여 봉건제하(封建制下)에서의 사유림(私有林)을 발생(發生)시키게 된 것이다. 그리하여 권신(權臣)들도 합법적(合法的)으로 삼림(森林)을 사점(私占)하게 되었고 따라서 이조시대(李朝時代) 임지제도(林地制度)의 기본(基本)이었던 시장사점금지(柴場私占禁止)의 제도(制度)는 건국초(建國初)로부터 실행(實行)된 일이 없었으며 오로지 국가(國家)의 삼림수용(森林收用)을 합법화(合法化)시키는 의제(擬制)에 불과(不過)하였던 것이다. 금산(禁山)은 그 이용(利用)과 관리제도(管理制度)의 불비(不備)로 인(因)하여 산하주민(山下住民)들의 염오(厭惡)의 대상(對象)이 되었음으로 주민(住民)들의 고의적(故意的)인 금산(禁山)의 파괴(破壞)는 처음부터 심(甚)하였고 이로 인(因)하여 국가(國家)에서는 용재림확보(用材林確保)를 위(爲)한 금산(禁山)의 증설(增設)을 거듭하였으나 관리제도(管理制度)의 개선(改善)이 수반(隨伴)되지 않았음으로 금산(禁山)의 황폐(荒廢)는 더욱 증대(增大)되었다. 영조(英祖)는 정국(政局)을 안정(安定)시키기 위(爲)하여 경국대전이후(經國大典以後) 남발(濫發)된 교령(敎令)과 법령(法令)을 정비(整備)하여 속대전(續大典)을 편찬(編纂)하고 삼림법령(森林法令)을 정비(整備)하여 도성주변(都城周邊)의 금산(禁山)과 각도(各道) 금산(禁山)의 명칭대신(名稱代身) 서기(西紀) 1699년(年) 이후(以後) 개칭(改稱)하여온 봉산(封山)의 금양(禁養)을 강화(强化)시키는 한편 사양산(私養山)의 권한(權限)을 인정(認定)하는 등(等) 적극적(積極的)인 육림정책(育林政策)을 퍼려하였으나 계속적(繼續的)인 권력층(權力層)의 삼림사점광대(森林私占廣大)는 농민(農民)들로부터 삼림(森林)을 탈취(奪取)하였고 농민(農民)들 이 삼림(森林)을 상실(喪失)함으로써 국가(國家)의 육림장려등(育林奬勵策)은 효과(効果)를 나타내지 못하였던 것이다. 임진왜란후(壬辰倭亂後)의 국정해이(國定解弛)로 인(因)한 묘지광점(墓地廣占), 왕자(王子)에 대(對)한 삼림(森林)의 절급(折給) 권세층(權勢層)에 대(對)한 산림사점(森林私占)은 인허(認許)하는 입안문서(立案文書)의 발행등(發行等)으로 법전상(法典上)의 삼임사점금지조항(森林私占禁止條項)은 사문화(死文化)되었고 이조말기(李朝末期)에 있어서는 사양산(私養山)의 강탈(强奪)도 빈발(頻發)하고 있음을 볼수 있다. 이와 같이 이조시대(李朝時代)의 시장사점금지조항(柴場私占禁止條項)은 오로지 농민(農民)에게만 적용(適用)되는 규정(規定)에 불과(不過)하였고 이로 인(因)하여 농민(農民)들의 육림의욕(育林意慾)은 상실(喪失)되었으며 약탈적(掠奪的)인 삼림(森林)의 채취이용(採取利用)은은 금산(禁山), 봉산(封山) 및 사양산(私養山)을 막론(莫論)하고 황폐(荒廢)시키는 결과(結果)를 자아냈으며 권력층(權力層)의 삼림점탈(森林占奪)에 대항(對抗)한 송계(松契)의 활동(活動)으로 일부(一部) 공산(公山)이 농민(農民)의 입회지(入會地)로서 보존(保存)되어왔다. 그럼에도 불구(不拘)하고 일제(日帝)는 이조말기(李朝末期)의 삼림(森林) 거의 무주공산(無主公山)이 었던것처럼, 이미 사문화(死文化)된 삼림사점금지조항(森林私占禁止條項)을 활용(活用)함으로써, 국가림(國有林)으로 수탈(收奪)한후(後) 식민정책(植民政策)에 이용(利用)하였던 것이나, 실제(實際)에 있어서 이조시대(李朝時代)의 삼림(森林)은 금산(禁山), 봉산(封山), 능원부속림등(陸園附屬林等)의 관금지(官禁地)와 오지름(奧地林)을 제외(除外)하고는 대부분(大部分)의 임지(林地)가 권세층(權勢層)의 사유(私有) 내지(乃至)는 사점하(私占下)에 있었던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