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on millet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초

국내산 곡류와 곡류 가공품의 곰팡이독소 오염 동향 (Trends in Mycotoxin Contamination of Cereals and Cereal Products in Korea)

  • 이데레사;백슬기;김소수;백지선;박진주;최장남;최정혜;장자영;김점순
    • 식물병연구
    • /
    • 제28권4호
    • /
    • pp.179-194
    • /
    • 2022
  • 이 논문에서는 2000년 이후 우리나라의 곡류와 곡류 가공품의 곰팡이독소 오염실태를 보고한 논문들을 작물별로 분석하였다. 보리, 쌀, 옥수수는 다른 곡류보다 많이 조사되었다. 모든 곡류와 곡류의 가공품에 공통으로 발생한 독소는 데옥시니발레놀과 제랄레논이었다. 니발레놀은 분석한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지만 보리, 쌀, 귀리에서 더욱 빈번하거나 주로 검출되었다. 푸모니신은 옥수수와 수수 외에 율무, 기장, 쌀에서도 검출되었다. 율무와 기장은 푸모니신과 제랄레논이 가장 빈번하게 검출되는 오염양상이 유사하였다. 가장 빈번하게 검출수준이 국내기준(최대기준)을 초과한 곰팡이독소는 제랄레논이었고 다음은 데옥시니발레놀과 아플라톡신 순이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오염수준은 각 곰팡이독소의 최대기준 미만이었다. 이 결과는 보리, 쌀, 옥수수, 수수, 기장, 율무 등이 다른 곡류에 비해 곰팡이독소 오염에 취약하며 따라서 이들 농산물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안전관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기장 유전자원의 농업적 특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Common Millet Germplasm)

  • 윤성탁;허진우;김성민;김창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94-400
    • /
    • 2008
  • 수년 동안 국내 전역에서 수집된 기장 137 유전자원을 공시하여 농업적 특성조사를 통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137자원의 수형은 편수형, 산수형, 편밀수형(편수형과 밀수형의 중간형태) 및 산편수형(산수형 과 편수형의 중간 형태)의 4가지 수형으로 구분되었다. 수형별 빈도를 보면 편수형이 91자원으로 66.4%를 차지하였다. 2. 종피색은 황백색, 황갈색, 흑갈색, 황색 및 갈색 5가지로 분류되었으며, 종피색별 빈도를 보면 황백색 이 54자원 39.4%로 가장 많았으며, 종실형태는 방추형이 62.8%, 단방 추형이 37.2%이었다. 3. 출수소요일은 $68{\sim}85$일의 범위를 나타내어 변이폭이 컷으며, 평균은 73.7일이었다. 빈도별 분포는 $70{\sim}75$일이 46.7%로 가장 많았다. 생육기간은 $109{\sim}124$일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평균 112일이었다. 생 육기간의 빈도를 보면 $111{\sim}115$일이 83자원으로 60.6%로 가장 많았다. 4. 간장의 분포는 $181{\sim}190\;cm$가 65자원으로 47.4%로 가장 많았으며, 160 cm 이하가 2.9%로 가장 적었다. 수장은 $156{\sim}201\;cm$의 범위를 보였고, 평균 181.4 cm이었으며, 빈도별 분포는 $31{\sim}35\;cm$가 74자원으로 54.0%로 가장 많았다. 5. 1수립수의 범위는 $432{\sim}2,665$개로 변이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1,429.5개이었다. 1수립수 분포는 $1,200{\sim}1,400$개가 20.4%로 가장 많았으며, 1,000개 이하 및 2,000개 이상이 각각 13.1%, 8.6%를 차지 하였다. 6. 등숙률은 10% 이하에서 90% 이상까지 변이의 폭이 매우 컷다. 1000립중은 범위가 $2.2{\sim}6.0\;g$으로 변 이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4.69 g이었다. 7. 간장은 수장 및 출수소요일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생육기간은 1000립중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등숙률도 1000립중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등숙률이 높은 자 원일수록 1000립중이 높았다.

성서에서 언급되는 농산물에 관한 연구 -곡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gricultural Products Mentioned in the Bible with Priority to the Cereals)

  • 김성미;이광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41-453
    • /
    • 1998
  • Varieties of the cereals produced in the Biblical times and the ways these cereal foods have been grafted into Korean food culture has been pursued, and the regulations of agricultural life and the metaphors or parables of cereals represented throughout the Bible have been studied. The word "grain" appears eight times in the KJV and one hundred seventeen times in the RSV. On the other hand, the word "corn" shows up one hundred and one times in the KJV but not in the RSV at all. Wheat, one of the earliest cultivated and the most important grains for food is mentioned fifty two times in KJV and generally the rich in those days lived on wheat in the parched state or in the form of bread. Barley, one of the staple cereal crops of Palestine is referred to thirty six times in the KJV. It was less expensive than wheat and so was used mainly for the food of such animals as horses, donkeys and cattle, but sometimes it was mixed with flour and used for making bread for men, mostly for Poor men. The spelt (in ASV and RSV) and the rie(in KJV) appearing in Exodus 9:32 is a kind of grain, which is translated into Na-mack (in Hangul Revised Bible ; HRB), Ssal-bori (in Hangul Common Translated Bible : HCB) and Ho-mil (in Hangul King James Bible; HKJB) but which should be put into Spelt-mil in Korean. The lentil appearing in Genesis 25 : 34 is translated into Pat (red-bean) and Bul-kong respectively in HRB and HCB but the same word in the Second Book of Samuel is translated into Pat in both HRB and HCB. HCB translates lentil into Bul-kong in Genesis and into Pat in the Second Book of Samuel (23:11). HCB and HKJB which put lentil into Pat in previous parts translate the word into Nok-tu in the Second Book of Samuel. The word, lentil here should be put into lentil-kong and parched pulse into "Poken-Chong-ja" not into Poken-Nok-tu. Millet which is translated into Cho should be put into Gui-jang. filches should not be classified as a grain or a cereal but as a flavor or a condiment, so the word filches should be put into So-Hoi-hyang or Hoi-hyang. Regulations in reference to agriculture are included in the Bible. That is, it is seen that the Bible regulates the observance of the sabbatical year and feasts, the partition of land, how to sow and so on. It is also observed that grains are used for metaphors or parables: wheat represents the peaceful times and straws are compared to trifles. As seen above, there should be more prudent examinations and standards for the translation of grains into Pat, Pul-kong, Nok-tu, Gui-ree, Ssal-bo-ri and Na-mack.i-ree, Ssal-bo-ri and Na-mack.

  • PDF

잡곡 선별을 위한 물성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Physical Properties for Miscellaneous Cereal Crops Sorting)

  • 김훈;이효재;한재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354-360
    • /
    • 2020
  • 본 연구는 잡곡(조, 기장, 수수)의 물리적 특징 중 기하학적 특성, 산물밀도 및 종말속도를 함수율별로 분석하여 미곡가공시설의 선별 장치를 이용하여 잡곡의 선별의 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 기장 및 수수의 초기함수율은 16.3, 19.8, 16.5 %(w.b.)로 나타났다. 잡곡은 5수준으로 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잡곡의 기하학적 특성 중 원형율을 제외하고 단축, 장축 및 면적은 함수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차식 실험모델로 모두 표현이 가능하였다. 산물밀도는 조 및 기장은 함수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수의 경우는 함수율과 무관하였다. 종말속도는 함수율이 높을수록 종말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차식 실험모델로 표현이 가능하였다. 잡곡별 측정한 물리적 특성은 함수율의 변화에 따른 1차식 실험모델로 표현이 가능하였으며, 기존 미곡선별장치를 이용할 경우 종말속도를 이용하는 장치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기하하적 특성 및 산물밀도를 이용하는 공정은 잡곡에 따라 전용 공정의 설계가 별도로 필요하였다.

조선시대 구망식품의 문헌적 고찰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Famine Relief Food of Chosun-dynasty)

  • 김성미;이성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5-56
    • /
    • 1992
  • This paper has made a close examination of Shingan Goohwang Chowalyo(1660), Cheesaeng yoram(1691), Sallim Gyungjae(1715) and Imwon simyook Jee(1827), to grasp what kinds of famine relief foods have been analyzed in terms of nutrition elements and cooking methods. And also this paper has surveyed the changes of these famine relief foods according to the times. Three hundred forty one famine relief foods are recorded in the above mentioned books, Among them, ten foods are recorded in common in these four books: pine needles, elm tree skin, soybeans, wax, jujubes, black beans, glutinous millet, turnip seeds white pine-mushroons and Chool-Atractylodes japonica. The methods of cooking and processing are most varied in the order of pine needles, black beans and elm tree skin, Pine needles are rich in protein and fat, and so may be regarded as the first of famine relief foods. Elm tree skin is of more than 50% carbohydrate and may be used in plate of cereals. I addition to these, Hwangui-milk vetch, Choonsu-cedrela Sinensis, Tacksa-Alisma Orientale Juzep and some other foods contain starch, glucose, fatty acids, and amino acids. So they may be used for replacing cereals and relieving famine. Before these famine relief foods are cooked or processed, according to their ingredients they should be soaked in water for a time in some cases the water should be changed several times. In Shingan Goohwang Chowalyo and Cheesaeng Yoram, measuring units are rarely recorded, while in sallim Gyungjae, they are explicitly shown. Imwon Simyook Jee clearly shows the use of oriental medicine materials. And the fur above mentioned books show no record of famine relief animal foods. To these days, vegetables have been boiled, squeezed and seasoned with salt and oil, but the better the economic conditions become, the less other famine relief foods are used. Nevertheless it is expected that these natural foods can be made favorite dishes with the best use of their good flavors and tas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