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검색결과 547건 처리시간 0.03초

R&D투자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사업화 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Effect of R&D Investment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 이성화;조근태
    • 기술혁신연구
    • /
    • 제20권1호
    • /
    • pp.263-294
    • /
    • 2012
  • R&D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 민간기업 118개를 분석한 결과, R&D투자는 기술사업화성과, 매출액증가율 및 영업이익증가율 등 경영성과에 모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기술사업화 능력이 R&D투자와 경영성과간의 관계에서 분석한 결과, 기술전략기획능력, 기술프로세스능력, 기술조직능력인 광의의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나타났으며, 제조능력과 마케팅능력인 협의의 기술사업화 능력은 경영성과에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R&D투자가 경영성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요인이지만, 기술사업화 능력도 경영성과에 매개작용을 하므로 기술사업화 능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

기초·원천기술의 사업화 활동이 기업의 기술성과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술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mmercialization Activities by using Basic Science and Technology on Technology and Business Performance of Enterprise : Case study on Mediating Effect of Technology Performance)

  • 정명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129-13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초원천연구의 기술사업화 활동이 기술 활용성과와 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술사업화 활동으로는 기술사업화 추진경험, 기술사업화 전담부서, 기술사업화 컨설팅과 같이 구분하였으며, 기초 원천기술을 도입한 기업을 추적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였으므로 기술 활용성과 외에도 기업의 경영성과로 확장하여 분석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실증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기술사업화 유형을 세분화 하여 다양한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기초연구 결과를 활용한 기술사업화 활동은 모든 요인이 기술 활용성과와 기업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성과에 대한 매개효과도 모두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소제조기업의 연구개발역량과 자원배분역량이 제품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SEMs R&D Capabilities and Resource Allocation Capabilities on Product Performance)

  • 정종서;서영욱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1호
    • /
    • pp.69-82
    • /
    • 2023
  • 본 연구는 연구개발역량과 자원배분역량이 기술사업화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기술사업화역량이 제품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기술사업화역량은 사업화속도, 시장범위, 기술의 폭을 변인으로 하여 영향을 검증하였다. 중소제조기업의 재직자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5와 Smart PLS 3.0으로 연구의 모형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개발역량은 기술사업화역량의 사업화속도, 시장범위, 기술의 폭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원배분역량은 기술사업화역량의 사업화속도, 시장범위, 기술의 폭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사업화역량의 사업화속도, 시장범위, 기술의 폭은 기업의 제품성과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자원기반관점에서 기업의 연구개발역량과 자원배분역량은 강화하는 것이 사업화속도, 시장범위, 기술의 폭과 같은 기술사업화역량을 확대하며, 기술사업화역량의 강화가 기업의 제품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기업의 사업화 성과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기술경영활동수준, 기술혁신역량이 사업화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 창업성장기술개발지원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by the Level of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y and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Focused on Government Funded R&D Project for Start-up SMEs)

  • 조기영;백낙기;장영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43-352
    • /
    • 2015
  • This study analyzes the business performa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R&D) and especially studies the effect of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y and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on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y can be composed of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analysis of market, R&D method, and appropriateness for commercialization plan. Also, the technology innovation can be divided into patent, R&D manpower, R&D investment ratio, production capability, and marketing capability.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all the components of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y are positively related with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In case of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y, however, only production and marketing capabilities have influence on the business performance. Especially, marketing capability controls the effect of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ies on the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Consequently, technology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activity for SMEs to succeed commercialization and SMEs should collaborate with production and marketing departments from the early stage of R&D.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과 기술마케팅이 사업화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Technology Marketing on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 강만영;전인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213-227
    • /
    • 2013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과 기술마케팅이 중소기업의 사업화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조사 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부의 인정을 받은 기업부설연구소 및 연구개발전담부서를 보유한 중소기업의 신제품 및 신기술 담당자 204명을 대상으로 기술경쟁력과 기술마케팅, 사업화성과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이 기술마케팅과 사업화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기술마케팅이 사업화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기술경쟁력의 기술혁신능력과 기술사업화능력, R&D집중도(인적투자) 변수는 기술마케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사업화능력은 사업화 판매와 비판매성과에 R&D집중도(물적투자)는 사업화비판매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기술마케팅의 핵심기술 및 보완기술 요인이 높을수록 사업화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술중심의 중소기업은 기술경쟁요인인 기술혁신능력과 기술사업화능력, R&D집중도를 높이기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을 수행하여야 한다.

혁신성장기반 공공 연구자 중심의 기술창업 활성화 정책연구 (A Study on Technology Entrepreneurship Policy Focused on Innovative Growth)

  • 윤정근;권재철;최선희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2호
    • /
    • pp.51-64
    • /
    • 2019
  • Purpose - Research on the ability of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to conduct business is being conducted. Research on government support policy for public technology projects, emphasizes technology creation. Public agencies are encouraging evolutionary barriers at the stage of realistic business. This paper presents the policy possibilities by presenting policies and strategies based on corporate public polic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actual state of public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based on the data on stat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public institutions.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literature data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by identifying success cases of public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Korea, there are not many research papers that provide policy alternatives for technical commercialization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review various government policies and check the statu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o increase its value. Results -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policy development is necessary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public technology, becaus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value of technology users, suppliers, investors and customers through various network activa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ifferentiated Korean public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del for the proliferation of public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by presenting methodical model of technical commercialization. Conclusions - Through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raise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public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o create economic value, an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research achievement, research method of excellent technology, and method of commercializing technology, and to create achievement of technical commercialization in the future.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y, strategies for creating value through utilization of public technology should be prepared, and a plan for mutual prosperity among domestic companies should be prepared. Policy alternatives of various public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o build national competitiveness have been developed, and various examples of performance for the performance of public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hould be derived.

The Determinant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MEs

  • Jo, Dong Hyuk;Park, Jong W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8호
    • /
    • pp.4146-4161
    • /
    • 2017
  •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roles of the social capital and absorptive capacity in technology-intensive firms and verify these roles in an empirical wa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in technology-intensive firms.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through a literature review,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apital, and absorptive capacit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in technology-intensive firm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determined the importance i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the enhancement of absorptive capacity and suggested strategic directions to improv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기술사업화 생태계의 동태성에 대한 전략적 진단 (Strategic Diagnosis on the Dynamics of the Region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Ecosystem)

  • 최남희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7권3호
    • /
    • pp.145-173
    • /
    • 2016
  • This study aims to develop strategic diagnosis framework of performance by identifying and analysing the dynamics of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ecosystem in innovative reg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ystems thinking approach is used. The systems thinking approach connects feedback structure and behavior more explicitly to diagnosis vicious feedback loop in the region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ecosystem. In terms of an ecological point of view, it will be possible to explore dominant feedback structure and find leverag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gion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The diagnosis of reenforcing and balancing feedback structure is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rvey data which has been collected in a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targeting on the 200 firm located in the Pangyo and Daeduk region.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region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ecosystem was immature and faced limit to the growth. An important finding of this study was that region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ecosystem need to activation of startups and reinforcement of virtuous feedback structure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arket systems.

기업의 자원과 성과간의 관계에서 제품 및 공정혁신능력과 기술사업화역량의 역할 분석: 대덕연구개발특구내 기업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ource,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 Capability,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mpetence and Performance of Firms in Daedeok Innopolis)

  • 황경연;성을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7-160
    • /
    • 2016
  • 본 연구는 기업의 보유 자원과 성과간의 관계에서 제품 및 공정혁신능력과 기술사업화역량의 역할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자원준거관점과 혁신 및 기술사업화 관련 실증연구에 기초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대덕연구개발특구내 109개 기업 자료를 활용하여 검정하였다. PLS-SEM을 활용한 실증분석에서 기업의 인적 자원과 무형 자원은 제품혁신능력과 공정혁신능력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업의 유형자원은 제품혁신능력과 공정혁신능력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제품혁신능력과 공정혁신능력은 기술사업화역량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업성과에는 직접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업의 기술사업화역량은 기업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혁신능력을 제품혁신능력과 공정혁신능력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혁신능력이 기술사업화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 연구이다.

중소제조기업의 기업가정신과 기술사업화역량이 기술적 성과를 매개로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s on Financial Performance by Mediating Technological Performance)

  • 전인선;이록;박주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508-519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중소제조기업의 기업가정신과 기술사업화역량이 기술적 성과를 매개로 하여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기 위해 실증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국내 중소제조기업체 중 R&D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실무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소제조기업의 기업가정신은 기술적 성과와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사업화역량 또한, 기술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술사업화역량은 재무성과에 미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는데, 재무성과가 기술사업화역량에 있어서 개인 또는 조직 간의 역량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으로 또 다른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기술적 성과는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기업가정신과 기술사업화역량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술적 성과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가정신과 기술사업화역량이 강화되어 재무성과 향상에 있어서 기술적 성과가 매개적 역할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중소제조기업의 기업가정신과 기술사업화역량이 재무성과를 높이는 기제임을 실증시켜준 것으로 재무상태나 운영 시스템의 완성도가 미흡한 중소제조업체에서의 신제품개발과 성과향상에 기업가정신과 기술사업화역량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