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bined effects of temperature and pH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8초

THM(trihalomethane)제거(除去) 대책(對策)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Removal of THM(trihalomethane))

  • 이석헌;황선진;박중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4-38
    • /
    • 1993
  •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lorine dioxide and ozone on reduction of THM(trihalomethane) formation. Precursor concentration, chlorine concentration, reaction time, pH, and temperature were governing compornents of THM formation. When other conditions are constant, THM formation increased linearly with precursor concentration increased. THM formation increased when pH increased from 5 to 9. In combined treatment with chlorine and chlorine dioxide, chlorine treatment after chlorine dioxide treatment made less THM than any other case does. Ozonation reduced THMFP(THM formation potential) of THM precursor. THMFP decreased exponentially with reaction time increased. Also biodegradability of humic acid was enhanced by ozonation.

  • PDF

저온 저장 중 절임배추의 미생물학적 품질 향상을 위한 혼합 살균제재와 항균성 얼음 병합처리 효과 (Combined Effects of Sanitizer Mixture and Antimicrobial Ice for Improving Microbial Quality of Salted Chinese Cabbage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 최은지;정영배;한애리;천호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715-1724
    • /
    • 2015
  • 본 연구는 절임배추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에 따른 품질유지 및 저장성 향상을 위해 혼합 살균제재(50 ppm 이산화염소수+0.5% citric acid) 세척처리와 항균성 얼음(20 ppm 이산화염소수) 냉온살균기술을 병합하여 저장 중 절임배추의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품질 변화를 분석하였다. 혼합 살균제재 세척 처리된 절임배추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총 호기성 세균, 대장균군, 효모 및 곰팡이, 그리고 젖산균 수가 2.20, 0.38, 1.28과 0.75 log CFU/g 각각 감소하였다. 저장온도 $10^{\circ}C$와 비교하여 $4^{\circ}C$ 저온 저장에서 혼합 살균제재 세척/항균성 얼음 처리에 의한 미생물 감균 효과가 일정하게 유지됨을 보였으며, pH 감소와 적정산도 증가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절임배추의 염도, 경도, 색도의 결과에 있어서 저장 중 대조구와 처리구 간에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혼합 살균제재 처리는 절임배추의 초기 미생물 오염농도를 감소시키고 항균성 얼음처리와 $4^{\circ}C$ 저온 저장은 저장 중 미생물 생육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절임배추의 미생물학적 품질 유지 및 shelf life 연장을 위한 효과적인 hurdle 기술이라고 판단된다.

초음파와 UV에 의한 페놀 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onication Combined with UV in the Degradation of Phenol)

  • 김성근;손현석;임종권;김지형;조경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649-65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난분해성 물질인 페놀을 초음파와 자외선 광선(UV-C)을 이용하여 분해를 알아본 연구이다. 초음파, 자외선, 그리고 초음파와 자외선의 결합반응에서 주파수, 온도, 용액의 pH, 아르곤 가스 purging, 그리고 자외선 세기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초음파 단독 반응의 경우 pH 4, $5^{\circ}C$, 35kHz에서 360분 동안 30%의 페놀의 최적 분해효율을 보였다. 자외선(UV-C) 단독 반응의 경우 $19.3\;mW/cm^2$의 자외선 세기와 pH 4, $5^{\circ}C$에서 60분에 100%의 페놀 분해 효율을 보였다. 이에 반하여 초음파와 자외선의 결합반응에서는 동일 조건에서 45분 동안 페놀이 모두 제거되었다. 초음파와 자외선의 결합 반응에서 페놀은 자외선 강도가 $7.6\;mW/cm^2$일 때 360분 안에 $19.3\;mW/cm^2$일 때는 45분 안에 완전히 분해되었고, 각각의 분해 속도 상수는 $17.3{\times}10^{-3}\;min^{-1}$$138.1{\times}10^{-3}\;min^{-1}$이었다. 페놀의 분해반응에서 OH 라디칼의 scavenger로 작용하는 메탄올을 첨가하는 실험을 한 결과 초음파와 자외선 광선의 조합반응에서 페놀 분해의 주요인자는 OH 라디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페놀 분해의 반응효율 비교는 초음파 + 광반응 조합반응 > 자외선 광선 단독 반응 > 초음파 단독 반응과 같이 확인되었다.

Flow-accelerated corrosion assessment for SA106 and SA335 pipes with elbows and welds

  • Kim, Dong-Jin;Kim, Sung-Woo;Lee, Jong Yeon;Kim, Kyung Mo;Oh, Se Beom;Lee, Gyeong Geun;Kim, Jongbeom;Hwang, Seong-Sik;Choi, Min Jae;Lim, Yun Soo;Cho, Sung Hwan;Kim, Hong Py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9호
    • /
    • pp.3003-3011
    • /
    • 2021
  • A FAC (flow-accelerated corrosion) test was performed for a straight pipe composed of the SA335 Gr P22 and SA106 Gr B (SA106-SA335-SA106) types of steel with welds as a function of the flow rate in the range of 7-12 m/s at 150 ℃ and with DO < 5 ppb at pH levels ranging from 7 to 9.5 up to a cumulative test time of 7200 h using the FAC demonstration test facility. Afterward, the experimental pipe was examined destructively to investigate opposite effects as well as entrance effects. In addition, the FAC rate obtained using a pipe specimen with a 50 mm inner diameter was compared with the rate obtained from a rotating cylindrical electrode. The effects of the complicated fluid flows at the elbow and orifice of the pipeline were also evaluated using another test section designed to examine the independent effects of the orifice and the elbow depending on the distance and the combined effects on orifice and elbow. The tests were perform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130-150 ℃, DO < 5 ppb, pH 7 and a flow rate of 3 m/s. The FAC rate was determined using the thickness change obtained from commercial room-temperature ultrasonic testing (UT).

탄소강의 유동가속부식에 미치는 크롬의 영향 (Effect of Cr on Flow Accelerated Corrosion of Carbon Steel)

  • 이은희;김경모;김홍표;김동진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25-32
    • /
    • 2015
  • The alloy content of structural materials of nuclear power plants has been recognized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flow accelerated corrosion (FAC). In particular, many literature data reported that chromium cont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lloying element and even a small amount of chromium is effective to suppress FAC. This report reviewed and compared chromium models of Ducreux, Bouchacourt, and Kastner which were used in predicting FAC rates. The plant data indicate that Ducreux model may be conservative for the specimen containing 0.15 wt% chromium. The related articles were reviewed as follows. Combined effects of chromium content, pH,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DO), flow velocity, test time, and kinds of amine on the FAC rate were described. 0.1 wt% chromium in steel did not affect the FAC rate with changes in pH. The FAC rates pronounced with higher flow rate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test duration(600 d) for 0.013 wt% chromium. The FAC rates in mixed amine chemistry were higher than in ammonia chemistry, which may be lessened by the addition of chromium to the steel.

콘크리트 환경과 고온의 복합환경이 FRP 보강근의 계면전단성능에 미치는 영향 (The Combined Effect of Concrete Environment and High Temperature on Interlaminar Shear Strength of FRP Reinforcement)

  • 문도영;오홍섭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749-756
    • /
    • 2011
  • FRP 보강근의 화재 노출시 내구성능에 대한 연구들은 고온 노출이 인장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신설 구조물에 삽입된 FRP 보강근은 먼저 콘크리트 내에서 습윤환경 및 알칼리에 의한 성능저하가 발생하며, 이와 같은 FRP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보강근은 고온에 노출된다. 그러므로 화재에 의해 손상 받은 FRP 보강근의 평가시에는 콘크리트 환경과 고온에 의한 영향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장기간동안 용액에 노출된 FRP 보강근에 $60^{\circ}C$, $100^{\circ}C$, $150^{\circ}C$$300^{\circ}C$의 온도를 가하고, 계면전단강도를 측정, 비교 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환경과 고온의 복합영향이 FRP 보강근의 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환경만의 영향 또는 고온만의 영향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 조사 온도가 타락죽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rradiation Temperature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arakjuk (Milk Porridge))

  • 한인준;송범석;이주운;김재훈;최갑성;박정로;전순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307-1313
    • /
    • 2011
  • 방사선 조사 기술을 이용한 타락죽의 멸균 시 관능적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방사선 조사온도에 따른 타락죽의 pH, 지질산패도, 점도, 색도, 관능검사 및 향기패턴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pH와 색도의 경우 방사선 조사에 의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질산패도의 경우 조사구 가운데 냉동조사구가 가장 낮았으나, 점도에서는 냉동조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종합적 기호도에서 냉동조사구의 경우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기패턴 분석 결과, 지질산패 및 이취에 관련된 RT 3.88 sec의 peak와 타락죽 고유의 향과 관련한 RT 7.34 sec의 peak를 구분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방사선을 조사에 의한 타락죽의 관능적 품질 저하는 냉동조사를 통해 개선이 가능하였으나, 여전, 지질산패와 점도감소 및 조사취 발생 등에 의한 타락죽 고유의 관능적 품질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추후 항산화제의 첨가 또는 포장방법의 변화 등과 병용처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품질 개선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Wet preparation of calcium phosphates from aqueous solutions

  • Lee, Byeong Woo;Hong, Il Gok
    • Journal of Ceramic Processing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655-659
    • /
    • 2019
  • Calcium phosphates such as HA (hydroxyapatite), β-TCP (tricalcium phosphate) and biphasic HA/β-TCP, were synthesized by wet chemical precipitation in aqueous solution combined with ball milling process. Nanosize powders of the calcium phosphates were synthesized using Ca(OH)2 and H3PO4. The effects of initial precursor Ca/P ratio (1.30, 1.50 and 1.67), ball milling process and post heat-treatment on the phase evolution behavior of the powders were investigated. The phase of resulting powder was controllable by adjusting the initial Ca/P ratio. HA was the only phase for as-prepared powders in both cases of Ca/P ratios of 1.50 and 1.67. The single HA phase without any noticeable second phase was obtained for the initial Ca/P ratio of 1.67 in the overall heat-treatment range. Pure β-TCP and biphasic calcium phosphate (HA/β-TCP) were synthesized from precursor solutions having Ca/P molar ratios of 1.30 and 1.50, respectively, after having been heat-treated above 700 ℃. The β-TCP phase has appeared on the pre-existing DCPD (dicalcium phosphate dihydrate) and/or HA phase. Dense ceramics having translucency were obtained at a considerably lower sintering temperature. The modified process offered a fast, convenient and economical route for the synthesis of calcium phosphates.

감마선 조사에 의한 Pork Sausage의 저장에 관한 연구 -제 1 보 방부제와 방사선과의 상승효과에 대하여- (Studies on the Preservation of Pork Sausage by Gamma Radiation -Part 1. On the Enhancement of the Preservative Effect of Antiseptics by Gamma Radiation-)

  • 김년진;박용근;서돈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0-105
    • /
    • 1972
  • 방부제와 방사선조사와의 상승효과가 pork sausage의 저장성 및 그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AF-2와 potassium sorbate를 법정허용량의 전량, ${\frac{1}{2}},\;{\frac{1}{4}}$, 및 무첨가로 하고 0.25, 0.5, 0.75 Mrad별로 조사시킨 후 $5^{\circ}C$25^{\circ}C$에서 저장했다. 저장중 산패도 휘발성염기질소, 세균수, 및 pH의 변화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했다.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부제의 보존효과는 저온저장의 유익성을 보여 $5^{\circ}C$에서 저장한 ${\frac{1}{4}}$첨가 무조사구가 $25^{\circ}C$에서 저장한 전량첨가 0.25Mrad 조사구와 비등한 저장성을 보였다. 2) 조사취는 거의 인정할 수 없었으며 $25^{\circ}C$에서 저장한 0.75Mrad 조사구가 약간의 산패취를 보였다. 색택과 풍미는 저장온도에 따라 격심한 차이를 보였다. 3) 적정선량은 0.5Mrad로 인정되었으며 대조구보다 약 $2{\sim}3$배의 저장기간을 연장시켰다.

  • PDF

제강 슬래그 및 분진에 의한 폐수 중 중금속 제거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Wastewater Using Steelmaking Slag and Sludge)

  • 현재혁;김민길;남인영;백정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8권1호
    • /
    • pp.11-17
    • /
    • 1999
  • 본 연구는 폐기물로 발생되는 제강 슬래그와 제강분진을 수처리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 중금속 제거능을 조사하였다. 실험은 초기농도(5, 25, 50 mg/L), pH(3, 7, 11), 온도 (25, 37, $50^{\circ}C$)를 달리하여 회분식 실험을 시행하였으며 또한 EDTA 착물형성의 유무에 따른 제거능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실험결과 pH 7과 pH 11에서는 흡착 기작 뿐만 아니라 폐기물 성분중 CaO의 수화.분해작용으로 인한 수산화물 침전이 유도되어 90%이상의 제거능을 보여 주었다. pH3에서는 20~30%의 제거율을 보여주고 있다. 제철산업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제강 슬래그와 제강 분진을 대상으로 이들이 폐기물 매립장의 점토차수재의 보조재료로 활용될 때 단순 침출수 이동 억제 기능외에 침출수내 중금속의 제거효과도 기대될 뿐 아니라 경제적/기술적 문제점이 없어 활용가치가 향상될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