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imetric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5초

Grey 증상 잎담배의 색채 및 화학성분 특성 (Colorimetric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ey Leaf Tobacco)

  • 이철환;진정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59-364
    • /
    • 1995
  • 논담배 품질저하 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grey엽발생원인 구명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논토양에서 자연발생된 grey엽을 채취, 피해정도별로 색채와 화학성분적 특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Grey엽의 발생엽수와 발생율은 하위엽에서 가장 많았고 중 > 본 > 상엽 순이었으며 엽중성분함량은 정상엽에 비하여 Fe, Mn, Cl함량이 놓았고 피해증상이 심할수록 높았다. 2. 동일엽내에서 grey피해부위가 정상부위에 비하여 Fe, Mn, Cl함량이 높고 전질소, 에테르추출물은 낮았으며, 니코틴, 전당, Ca함량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Grey엽의 내용성분간에는 전질소와 Cl, Fe와 Mn간에 정상관이, 전질소와 전당 및 Mn, Cl과 전당간에는 각각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색상은 정상엽에 비하여 증상이 심할수록 L치가 크게 감소하고 b치, a치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L치와 a치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b치는 현저히 낮아 grey엽의 특성으로 나타났다.

  • PDF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을 첨가한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Yellow Layer Cake Prepared with Diacylglycerol Oil)

  • 문성란;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75-78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 제조 시 트랜스지방산 함량을 줄이고 인체 내의 지방 축적을 억제시켜 저열량의 효과가 있는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을 사용하였을 때의 품질 특성을 보고자하였다. 대조구는 마가린만을 사용하였고, 실험처리구는 마가린 무게에 대하여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의 첨가량을 10, 20, 30, 40%로 각각 다르게 첨가하여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를 제조하였다. 반죽의 pH 측정 결과 대조구에 비해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반죽의 비중은 대조구보다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반죽의 겉보기 점도는 대조구보다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다. 케이크의 pH 측정결과는 반죽의 pH와 같은 경향이었으며,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을 30% 첨가 시 부피와 수분함량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케이크의 명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고, 적색도, 황색도, 총색차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다. 텍스처의 경우 경도, 부착성, 검성과 씹힘성은 대조구보다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결과를 보였고, 탄력성과 응집성은 커지는 결과를 보였다. 관능검사에서는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을 20%와 30% 첨가 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그러므로 다이아실글리세롤 오일을 30% 첨가하여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를 만들 경우 맛과 품질을 향상시켜주고, 트랜스지방산의 함량을 줄이며, 인체 내의 지방 축적을 억제시켜 저열량 케이크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통밀가루 첨가량에 따른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Whole Wheat Flour)

  • 이은숙;두화진;김용노;심재용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146-152
    • /
    • 2010
  • 식이섬유가 풍부한 WWF를 우리 전통 음식인 설기떡에 첨가하여 수분함량, 색, 기계적 조직감 특성, 노화도, 관능적 특성 등 품질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품질과 영양적 가치를 고려한 적절한 첨가 수준을 찾고자 하였다. 시료들 간 유의적인 수분 함량의 차이는 없었으며, 색도 중 L(명도)값은 WWF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값을 나타내었다. TPA 검사에서 hardness는 제조 직후 시료들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저장 후에는 WWF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그 값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WWF의 첨가가 설기떡의 노화 지연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저장 기간 중 WWF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springiness와 chewiness가 대조군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 밖의 조직감 특성은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vrami 방정식의 시간상수(1/k)값은 WWF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WWF의 노화지연 효과를 확인하였다. 관능적 품질특성은 맛과 향, 조직감에서 5% 대체군이 전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전반적인 기호도까지 고려하면 5% WWF 대체가 맛과 향 및 조직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백복령 가루 첨가가 설기떡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Baekbokryung(White Poria cocos Wolf)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 장명숙;김복화;윤숙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6호통권90호
    • /
    • pp.895-907
    • /
    • 2005
  • 본 연구는 설기떡의 맛을 증진시키고 실생활에서 백복령 가루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나이대별로 백복령 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의 기호도도 알아보고, 설기떡의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쌀가루양에 대한 백복령 가루의 첨가량을 5, 7, 10, $15\%$로 하여 설기떡을 제조한 후 $20^{\circ}C$에서 36시간 저장하면서 관능적, 물리학적 특성 및 총균수을 비교하였다. 연령별로 기도호를 조사한 결과 $20\~30$대는 $5\%$ 첨가구를, $40\~60$대는 $7\%$ 첨가구를 선호하였다. 저장 실험한 결과에서 기호도는 전반적으로 $5\%$ 첨가구가 다른 첨가구에 비해 높은 점수를 나타내면서 선호하였다. 강도 특성은 색, 이취, 거친 정도, 쌉쌀한 맛의 항목에서는 백복령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강하게 느꼈고, 구수한 맛은 $5\%$ 첨가구의 점수가 강하게 나타났다. 촉촉함, 부드러움 항목에서는 8시간까지는 대조구가, 12시간부터는 $5\%$ 첨가구가 강하게 나타내었다.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백복령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랸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5\%$ 첨가구의 경우 대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적색도와 황색도는 백복령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도와 총색차는 백복령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경도, 검성, 부착성은 백복령 가루의 첨가가 증가할수록 높아졌고, 대조구와 $5\%$ 첨가구 사이에는 유의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응집성과 탄력성은 대조구와 첨가구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총균수는 첨가구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다가 20시간이 지나면서 대조구의 총균수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백복령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균수가 적게 나타났지만 첨가구간에 큰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36시간째 대조구에서 분홍색 곰팡이가 생겼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설기떡에 백복령 가루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으며 백복령 가루를 $5\%$ 정도 첨가할 경우 맛과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떡을 만들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첨가량을 높이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더 연구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로 생각된다.

Evaluation and Optimization of a Serum-base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Assay to Caspofungin in Candida albicans Clinical Isolates

  • Yoo, Young Bin;Kim, Sung-Soon;Kim, Young Kwon;Kim, Sunghy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74-183
    • /
    • 2016
  • In the present study, a serum-base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testing to caspofungin was optimized and evaluated to solve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CLSI) guideline-based antifungal agent MIC test and the usefulness of this testing for clinical application was determined. A total of 105 Candida albicans clinical isolates were used for measuring MIC to caspofungin. Results showed that growth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s of serum and the mouse serum was the most suitable for this assay. In order to measure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mouse serum, 0 to 100% mouse serum were added to the media during fungal culture.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serum was 50% when consideration of antifungal agent administration and inoculum size, serum components and ease of hyphae separated,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growth. In comparison of the usefulness between the conventional Alamar-modified broth microdilution MIC assay and 50% mouse serum-based MIC testing, the range of $MIC_{80}$ of the Alamar-modified broth microdilution MIC assay was $0.13{\sim}2.0{\mu}g/mL$ (SD ${\pm}0.42{\mu}g/mL$) and that of the 50% mouse serum-based MIC assay was $2.0{\sim}32.0{\mu}g/mL$ (SD ${\pm}9.01{\mu}g/mL$). The range of $MIC_{50}$ of the Alamar-modified broth microdilution MIC assay was $0.13{\sim}2.0{\mu}g/mL$ (SD ${\pm}0.40{\mu}g/mL$) and that of the 50% mouse serum-based MIC assay was $1.0{\sim}16.0{\mu}g/mL$ (SD ${\pm}2.36{\mu}g/mL$). The MICs of 50% mouse serum-based MIC testing was increased by up to 4 to 64 times than Alamar-modified broth microdilution MIC assay. In conclusion, a 50% mouse serum-based MIC assay was more useful for measuring MIC in Candida albicans clinical isolates than conventional colorimetric broth microdilution MIC testing.

흑마늘 분말을 첨가한 흑미 설기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 Sulgiddeok with Black Garlic Powder)

  • 두화진;심재용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77-684
    • /
    • 2010
  • Black food로서 흑미와 흑마늘을 이용하여 이들이 가지고 있는 생리활성 기능을 부여한 설기떡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설기떡의 주재료인 쌀가루의 호화특성은 모든 항목에서 흑미의 값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멥쌀보다 흑미를 이용하여 떡을 제조할 경우 상대적으로 노화지연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색을 측정한 결과 주재료의 영향을 받아 L, a, b값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흑마늘 첨가량에 따라 L, a값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기계적 물성 측정 결과 조직감의 변화는 호화특성 결과와 연관되어 쌀가루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저장기간 동안 흑미 설기떡의 경도증가 폭은 control에 비해 적었다. 미세구조 관찰을 통해 BG0~BG5에서 규칙성을 띄는 벌집모양의 망상구조를 확인하였다. 관능적 품질특성 결과에서는 BG1과 같은 적절한 흑마늘의 첨가는 맛/향(taste/flavor)의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흑미 설기떡이 저장에 따라 경도증가가 감소하여 노화지연에 효과가 있었으며 흑마늘의 적정 첨가 함량은 전체적인 기호도 및 맛과 향 등을 고려하여 1% 첨가구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흑마늘과 흑미가 가지고 있는 생리적 활성으로 인해 기존의 멥쌀을 이용한 떡에 비해 영양적인 가치의 증가도 기대된다.

시추이수용 벤토나이트의 분산 특성에 미치는 수질의 영향 (Effects of the Water Quality on the Dispersion Properties of Bentonites Used for Drilling Fluid)

  • ;황진연;이효민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1-33
    • /
    • 2007
  • 벤토나이트의 분산/응집 거동은 시추이수의 성능에 큰 영향을 줌으로 주요 관심의 대상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업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3종의 벤토나이트[2종의 CMC (carboxy-methyl cellulose)처리 벤토나이트와 1종의 무처리 벤토나이트]에 대하여 pH와 염분농도가 다른 용액에서의 분산/응집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벤토나이트 현탁액의 점성 변화를 시추용 이수의 유동학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벤토나이트의 분산/응집 거동은 비색분석법과 광분산법의 두 방법으로 측정되었으며, 광분산법으로 침전된 입자의 직경과 침전속도도 검토하였다. 벤토나이트의 종류와 수질에 따라 분산/응집 거동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초기 10분 동안에 모든 종류의 벤토나이트는 좋은 분산 특징을 보여주나, 이후에 CMC를 함유한 벤토나이트들은 다소 응집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염수에서는 모든 시료들이 응집되는 특성을 보이여 응집속도는 염의 농도와 폴리머의 농도에 따라 변화하였다. 침전된 응집물의 부피는 염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용액의 pH는 시료의 분산/응집 거동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며, 응집 속도와 응집입자의 직경은 용액의 pH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반면에, 침전된 응집물의 부피는 pH가 증가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응집 속도가 빠른 벤토나이트 분산용액은 점성이 낮았다. 다양한 환경에서 벤토나이트를 시추이수용으로 적용하고자 할 경우, 본 연구의 결과들은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OT/isooctane 역미셀계내에서의 lipoxygenase 반응 특성 (Characterization of Lipoxygenase in AOT/Isooctane Reversed Micelles)

  • 장판식;이광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7-16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dioctyl sulfosuccinate (aerosol-OT, AOT)와 비극성 유기용매인 isooctane으로 구성된 역미셀계를 이용하여 lipoxygenase의 반응특성을 살펴보았다. 기질로 사용되는 ${\alpha}-linoleic\;acid$가 5%(w/v) cupric acetate-pyridine 용액에 의하여 정량적으로 발색됨을 확인하였는 바, 기질이 단위시간당 소모되는 정도로서 lipoxygenase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Lipoxygenase 효소반응을 위한 최적 pH, 온도 및 R값 ([water]/[AOT]) 등을 측정한 결과 각각 5.0, $25^{\circ}C$, 10.0 등이었으며 $K_m$$V_{max}$값은 각각 0.31 mM of ${\alpha}-linoleic\;acid$$384.16{\mu}mol$ of ${\alpha}-linoleic\;acid\;decomposed/min$임을 확인함으로써, 역미셀계내에서 lipoxygenase 효소활성을 예민하고 안정되게 측정할 수 있었다. 한편, 지용성 항산화제의 일종인 ${\alpha}-tocopherol$을 역미셀계에 적용시킨 결과 최대 72%까지 lipoxygenase 효소의 활성도를 저해하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이는 대두 가공품 및 곡류 가공품에 ${\alpha}-tocopherol$을 첨가함으로써 가공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응고제가 우유 첨가 두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agulants on the Quality of Soybean Curd Added With Cow's Milk)

  • 김태영;김중만;조남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5호
    • /
    • pp.370-378
    • /
    • 1994
  • 두유에 우유를 40% 첨가시킨 두부 제조를 위하여 각 응고제별 및 첨가농도별로 두부를 제조하여 gel형성, 순물(whey)의 탁도, 단백질함량, 두부 생산량, 무기질함량, 조직특성과 색도를 비교 조사하였다. Calcium염 응고제는 0.3%(v/v), magnesium chloride는 0.4%, 유기산 응고제는 0.2% 첨가수준에서 대두와 우유 단백질의 공침전이 일어났으며 각 응고제 첨가비율에 비례하여 whey 탁도와 단백질의 유출량이 낮아졌다. 각 응고제 첨가 적정수준은 calcium acetate, calcium sulfate, calcium lactate 가 각각 1.2%(v/v), calcium chloride, gluconodelta-lactone이 각각 1.0%(v/v), magnesium chloride, lactic acid 0.8%(v/v), acetic acid는 0.6%(v/v)였으며 두부 생산량은 calcium chloride를 응고제로 사용했을 때 가장 높았다. 무기질의 함량은 calcium염 응고제가 유기산 응고제보다 Ca은 약 3.3배 많았고 K, Mg, Na, Fe도 약간 높았다. Texturemeter에 의한 우유 첨가 두부의 조직특성 조사결과 가장 단단한 두부는 acetic acid 두부이었고 calcium염 중에서는 calcium sulfate가 단단하였다. 응고제별 두부의 색도 비교에서 명도는 유기산 두부가 약간 높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calcium염 두부가 높았다.

  • PDF

Scientific Comparison Study on the Joseon Dynasty Palace Roof Tiles and Modern Handmade Roof Tiles

  • Ahn, Kyoung Suk;Lee, Min Hye;Kim, Ji Hye;Ha, Ji Hyang;Jang, Won Jin;Kim, Du Hyeon;Jeong, Ji Youn;Han, Min Su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3-7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ientifically analyz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oof tiles used for palaces in the Joseon Dynasty which stored in Changdeokgung material storage and Seooreung Jaesil and the modern handmade ones which made by N company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manufacturing techniques. Through chromaticity, cross-sectional observation, component analysis, and crystal structur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ired properties of the roof tile. Roof tiles from the Joseon Dynasty have a wider colorimetric range and higher apparent porosity and water absorption, on average, than the modern roof tiles. The cross section of the Joseon Dynasty roof tiles shows that most clay minerals have not been vitrified, remaining in the form of atypical particles, while the modern roof tiles have denser clay materials. X-ray diffraction analysis identified low-temperature minerals such as micas in Joseon roof tiles but no peak of these minerals was observed in the modern roof tiles, implying that the modern ones are fired at higher temperature than the Joseon ones. Therefore, the modern roof tiles are fired at higher temperature and have higher density than the Joseon ones due to the use of pugmills. The general content of main ingredients was similar between the two. Additionall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race elements in the Joseon roof tiles showed that most samples were from similar areas. It seems that the Joseon roof tiles were manufactured using soils supplied from a specific region at the same timeframe and their consistency in the content of principal components implies that they also have similar mix proportions of 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