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sorter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9초

영상처리에 의한 장미 선별 (On-Line Sorting of Cut Roses by Color Image Processing)

  • 배영환;구현모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4권1호
    • /
    • pp.67-74
    • /
    • 1999
  • A prototype cut-flower sorter was developed and tested for its performance with five varieties of roses. Support plates driven by a chain mechanism transported the roses into an image inspection chamber. Color image processing algorithm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length, thickness, and straightness of stem and color, height, and maturity of bud. The average absolute errors of the system for the measurements of stem length, stem thickness, and height of bud were 19.7 mm, 0.5 mm, and 3.8 mm, respectively.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by the sorter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 human inspector for straightness of stem and maturity of bud. The classification error for the straightness of stem was 8.6%, when both direct image and reflected image by a mirror were analyzed. The accuracy in classifying the maturity of bud varied among the varieties, the smallest for‘Nobless’(1.5%) and the largest for‘Rote Rose’(13.5%). The time required to process a rose averaged 2.06 seconds, equivalent to the capacity of 1,600 roses per hour.

  • PDF

벤더형 고응답 압전밸브의 주파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 Bender Type High-Speed Piezoelectric Pneumatic Valve)

  • 윤소남;함영복;박중호;이성수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9권4호
    • /
    • pp.14-18
    • /
    • 2012
  • Two kinds of piezoelectric actuator are applied to the valv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the flow and the pressure of the fluid. One is a stack type piezoelectric actuator which has very fast response characteristics but very tiny displacement. The other is a bender type piezoelectric actuator which has also fast response characteristics but lower than the stack type one, and has longer displacement than the stack type one. So, the bender type piezoelectric actuator has advantage to apply to the valve for controlling a large amount of flow and fast on-off operating. In this study, the bender type piezoelectric pneumatic valve for color sorter is designed and fabricated. The new type high speed piezo valve with the both side supporting mechanism for high operating frequency and high reliability is discussed for separating the foreign body from the grains. Finally,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fabricated valve are analyzed 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are also discussed for substituting the conventional type solenoid actuator.

색채선별기 이용한 남부평야지 조기재배 해담쌀의 품질향상 (Improvement of Rice Quality Using Grain Color Sorter During Early Transplanting Cultivation in the Southern Plain of Korea)

  • 이종희;이지윤;이소명;신동진;차진경;조준현;권영호;조수민;박동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2호
    • /
    • pp.79-83
    • /
    • 2020
  • 본 연구에서 남부 평야지 조기재배 조건에서 생산된 쌀을 색채선별기를 이용한 쌀의 외관특성 향상과 밥맛의 향상을 위해 품질관련 특성을 분석하였다. 해담쌀 백미를 색채선별기에 2회 통과하여 등급별로 분류한 결과, A급은 64.8%, B급 18.0%, C급 17.2%이였다. 분류등급별 쌀을 백미완전미율을 분석한 결과, A급은 72.9%로 색채선별전 쌀 48.4%보다 약 25.4%정도 향상되었다. B등급과 C등급은 원료곡보다 완전미율이 낮았다. 쌀의 백도는 A등급이 45.3으로 색채선별전의 원곡보다 1.7정도 낮아졌다. 색상색차계 적색도 a값은 색채선별전 대비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아밀로스 함량과 단백질 함량은 색채선별 전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쌀의 호화특성은 정상립으로 분류된 A등급은 최고점도와 최종점도가 각각 266.1RVU와 215.9 RVU로 색채선별전보다 높았고, 밥의 윤기치에서도 68.8로 색채 선별전보다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 볼 때 평야지 조기재배 조건에서 생산된 쌀을 색채선별기를 이용한 쌀의 외관특성을 분류함으로써 완전미율과 밥맛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erformance Evaluation of Rice Mill Plant By a Computer Simulation

  • Chung, Jong-Hoon
    • Agricultural and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권1호
    • /
    • pp.7-14
    • /
    • 2001
  • A rice mill plant with a capacity of 3 t/h was constructed with automated facilities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 simulation model was developed with SLAMSYSTEM for evaluation and improving the rice mill process. The developed model was validated in the views of hulling efficiency, milling efficiency, milled rice recovery, other materials produced, at bottlenecks in the processes. The results of hulling efficiency, milling efficiency, milled rice recovery in the simulation were, respectively, 81.1%, 89,5%, and 73.1%, while those of the actual mill plant were 81.5%, 90.2%, and 73.5%. The simulation results including the rates of other materials(chaff, bran, broken rice, stone, etc) produced in the processes were almost similar with those of the actual process. In the simulation the bottlenecks were found out in the process for separating brown rice and sorting colored rice. These phenomena also appeared in the actual process. It needed to increase the hourly capacities of the brown rice separator and the rice color sorter. As the developed model could well express the automated rice mill plant, it could be used for designing and improving rice mill plants.

  • PDF

색상선별(色相選別) 기술(技術)을 이용(利用)한 고온(高溫) 용융노(熔融爐) 이화재(而火材) 재활용(再活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Recycling of Refractory Materials from High-Temperature Melting Furnace by Color Sorting Technology)

  • 서강일;이덕희;최우진;장정훈;박은규;오용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0권1호
    • /
    • pp.28-36
    • /
    • 2011
  • 국내의 경우 내화재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대부분 폐기 처분되고 있으며, 폐기되는 내화재의 50% 이상이 탄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화재를 색상인식 방법으로 선별하여 재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선별기 광원의 색온도가 자연광에 가까운 6,500K에서 순도 97.2%의 회수물을 얻었으며, 자연광에 가까울수록 주변 광원의 간섭이 적어 선별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험결과 투입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 800 mm/sec에서 순도 98.8%, 회수율 98.1%로 조사되었으며, 시료크기 20~30 mm에서 순도 및 회수율은 각각 98.2%, 98.4%로 조사되었다. 회수물의 순도 및 선별효율은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가 느릴수록, 시료의 크기가 클수록 향상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본 색상 자동선별 시스템의 처리용량 및 폐내화재의 재활용성 등을 고려할 경우 최적의 선별조건은 색온도 6,500K, 컨베이어 벨트 속도 1,000 mm/sec, 시료 크기 20mm이하인 것으로 판단된다. 카메라 해상도를 고정하고 인지 영역을 좁게 하여 시료 크기 -10 mm, 벨트컨베이어 속도 1,000 mm/sec에서 순도 97%이상, 회수율 및 선별효율이 각각 98%, 96%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해상도에서 인지영역이 좁을수록 순도 및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임베디드 제어기 기반의 색채선별기 개발 (Development of Embedded Controller Based Color-Sorter System)

  • 김기선;손형민;김영민;탁철곤;박상석;임상경;하정석;정민정;이연정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84-92
    • /
    • 2010
  • 색채선별기는 양질의 곡물 유통을 위해 불량곡물, 이물질을 선별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색채 선별기는 PC기반 제어시스템으로서 비교적 고가이고 부피가 크며 현장 환경에서 기계적 충격이나 먼지등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운영체제가 탑재된 임베디드 제어기 기반의 색채선별기를 제안한다. 색채선별기는 기본적으로 곡물의 유입량 및 속도를 조절해 주는 피터부, 곡물의 영상을 받아 이미지를 처리해 주는 카메라부, 카메라부에서 받은 정보를 이용해 양품과 불량품을 분리해 주는 이젝터부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지능형 색채선별기용 ARM 프로세서 기반 임베디드 제어기의 하드웨어 구성, 피더부, 카메라부, 이젝터부 간의 통신프로토콜을 이용한 총괄관리 제어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소개한다.

SIMULATION AND AUTOMATION OF A RICE MILL PLANT - DEVELOPMENT OF SIMULATION MODEL -

  • Chung, J.H.;Youm, G.O.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0년도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V.II
    • /
    • pp.378-387
    • /
    • 2000
  • A rice mill plant with a capacity of 2.5 ton/hr was constructed with automated facilities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 simulation model was developed with SLAM SYSTEM for evaluating and improving the rice mill plant. The developed model was validated in the views of hulling efficiency, milling efficiency, milled rice recovery, other materials produced, and bottlenecks in the processes. The results of hulling efficiency, milling efficiency, milled rice recovery in the simulation were, respectively, 81.1%, 89.5%, and 73.1%, while those of the actual mill plant were 81.5%, 90.2%, and 73.5%. The simulation results including the productivity of other materials(chaff, bran, broken rice, stone, etc) produced in the processes were almost similar with those of the actual process. In the simulation the bottlenecks were found out in the processes of separating brown rice and of sorting colored rice. These phenomenon also appeared in the actual process. It needed to increase the hourly capacity of the brown rice separator and the rice color sorter. As the developed model could well express the automated rice mill plant, it could be used for designing and improving rice mill plants. In addition, an alternative model needed to be developed for the system control more accurately and for increasing the rice quality.

  • PDF

완두 전분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특성 (A study on the noodle quality made from pea starch-wheat composite flour)

  • 김은주;윤재영;김희섭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92-697
    • /
    • 2002
  • 밀가루에 배합비를 달리하여 완두전분을 대체한 완두 전분 복합분의 제면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완두 전분 첨가 복합분을 이용하여 만든 dough와 cooked dough를 rheometer를 이용하여 기계적 측정을 한 결과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는 시료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며 cohesiveness만이 밀이 51.6%로 가장 높아 다른 대체전분과 유의성이 있었다. (p<0.05) 국수의 조리특성중 삶은 국수의 무게 증가량은 시료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조리 손실율은 밀가루 국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P2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차계를 이용하여 색도를 측정한 결과 P30의 L값은 가장 높게 b값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C20은 P30에 비해 L 값은 낮았으나 b값은 비슷했고 밀은 가장 낮은 L값과 가장 높은 b값을 나타내었다. 완두전분을 많이 첨가할수록 색이 밝아지고 황색도가 낮아졌다. 조리된 국수는 완두전분을 첨가했을 때 transparency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hardness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30에서는 smoothness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Stickiness, chewiness, acceptability에서는 시료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20은 모든 관능적 특성에서 밀가루면과 비슷한 특성을 나타냈으며 국수를 삶았을 때 transparency가 높았다. C20은 P20, P30보다 hardness가 유의적으로 낮거나 smoothness가 높았다. 국수를 국수장국에 말아 10분간 방치한 후의 관능평가에서도 P20은 모든항목에서 P30은 aceeptablity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W와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패 완두 전분의 조리된 국수의 swelling 방지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으나 20% 대체한 P20이 완두 전분 첨가면으로서 적합하였다.e proportion of 1st principal component was 0.818 in ESI-flavored oil. The PCA plot was used to detect stored Elsholtzia splendens flavored oils.(앞 뒤 문맥이 안맞음. 뒤에 이어지는 글이 있는지?).철저한 위생관리가 요구되어졌다.안한다고 답한 비율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 < 0.05), 저체중군의 편식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식사의 질에 대하여 식사를 고칠 필요가 있다고 답한 비율은 남자가 40.4%, 여자가 56.3%로 나타났으며 (p < .0.01), 다른 군에 비하여 저체중군 남자와 과체중군 여자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4. 수면 시간은 남자는 평균 6.92시간, 여자는 6.53시간으로 조사되었으며, 과체중군 남자가 가장 길었으며, 저 체중군 여자가 가장 짧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면시간에 관해서 남녀 모두 적당하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한편 하루 중 노동, 운동, 휴식, 식사의 균형에 관해서 남녀 모두 가끔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혀 아니라고 응답한 비율도 모든 체형에서 24%이상으로 나타났다. 남자의 70.2%,여자의 52.3%는 운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 < 0.001) 남자는 체형과 상관없이 운동을 가끔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전혀 운동을 하지 않는 비율도 24% 이상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운동을 항상 하고 있는 비율은 저체중군에서, 가끔 하는 비율은 과체중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자각적 건강 상태에 관하여 남녀 모두 과반수 이상이 그저 그렇다고 응답하였으며 건강하여 문제가 없다는 남자에게서, 항상 피곤하고 건강 장애가 있다는 여자에게서 높게 나타났다(p < 0.05). 항상 피곤하고 건강 장애가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과체중군 남자와 표준체중군 여자에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