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sensibility factor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5초

웹사이트 사용자 감성유형 분류를 통한 감성척도 연구 (A Study on the Image Scale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Emotion in Web Site)

  • 홍수연;이현주;진기남
    • 감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1-10
    • /
    • 2009
  • 본 연구는 사용자들이 웹 페이지에서 기본적으로 느끼는 감성을 분석한 후 감성척도(Image Scale)를 구성하여, 웹사이트 디자인과 감성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웹사이트 감성유형 분류 및 감성척도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감성유형 분류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로 이루어 졌으며, 언어전문가 검증과 요인분석으로 이루어졌다. 감성척도 연구는 감성유형 분류 결과를 다차원척도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웹사이트 디자인과 감성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 사용자 감성평가 설문을 통해, 감성유형에 따른 웹사이트 표본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표본을 감성척도 공간에 배치하여 감성과 웹사이트 디자인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웹페이지 대표 감성유형은 '상쾌함', '차분함', '고급스러움', '강렬함', '젊음', '독특함', '미래적임' 이다. 다차원척도로 형용사간의 유사성을 분석한 결과 '무겁다-가볍다'와 '부드럽다-딱딱하다'의 축으로 구성된 웹사이트 감성척도 공간을 구성하였다. 또한, 웹사이트 디자인 요소와 감성의 관계는 '딱딱하다-부드럽다' 느낌에서는 색채와 레이아웃의 영향이 가장 두드러졌으며, '가벼운-무거운' 느낌에서는 명도와 색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결혼 예식장 종류에 따른 서비스스케이프 배색 이미지 분석 -호텔 예식 연회, 일반예식장, 종교 결혼식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wedding servicescape color combination image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hotel banquet hall, general wedding hall and sanctuary-)

  • 김경희;조미나;양일선
    • 감성과학
    • /
    • 제14권1호
    • /
    • pp.73-82
    • /
    • 2011
  • 본 연구는 결혼 예식장 종류에 따른 서비스스케이프 배색 이미지를 호텔 예식 연회, 일반 예식장, 종교 결혼식장 간에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 20~39세 400명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 및 우편조사를 실시하였고 31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WIN 17.0을 사용하였고,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t-test, 분산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는 경쾌함, 고상함, 은은함의 3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크론바하 알파값이 조사 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0.7 이상을 나타내어 적합하게 나타났다.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 분석 결과, '깨끗한'이 3.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온화한' 3.50, '은은한' 3.38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에 대한 결혼식장 유형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배색 이미지 중 '경쾌함' 요인은 일반 예식장이 3.00, '고상함' 요인은 호텔 결혼식장 3.64, '은은함' 요인은 호텔 결혼식장에서 3.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차이 분석 결과, 성별, 결혼 유무, 한달 총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연령, 학력, 직업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결혼식장 색채 마케팅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저융점 폴리에스터를 이용한 블라인드용 자카드 직물의 소비자 요구도 및 감성구조 (Consumer Needs and Sensory Evaluation of Jacquard Fabrics for Blind Using Low Melting Polyester)

  • 김정화;이정순;이선영;이승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73-68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nsumer needs and sensory evaluation of jacquard fabrics for blind using low melting polyester. Ten kinds of jacquard fabric used for this study were developed. Developed jacquard fabrics were assessed subjectively by 164 consumers using 7-point scale of 22 consumer needs and 43 sensory descriptors. The results we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the most important parameter to choose fabric for blind was 'Easy-use' and the other parameters are 'Lightproof', 'UV-protect', 'Design', 'Price', 'Color', 'Insulation', 'Easy-care'. The image sensibility of jacquard fabrics was explained by six factors: feminine, active, modern, traditional, pure, cozy. Higher preference was found in jacquard fabrics of clear, natural, luxurious, simple, feminine, young, cozy, graceful image. The preference was predicted 38.2% with feminine, modern, pure, cozy, traditional factor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image sensibility factor 1 and preference was 0.437. The 3 factors (feminine, modern, pure)were selected as significant image sensibility affecting preference.

의복 스타일에 따른 인상 형성에서의 순서효과 (The Order Effect on Impressions Formed by the Function of Clothing Style)

  • 김경원;탁혜령;고애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995-1006
    • /
    • 2004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lothing style and the order effect on impression formation.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consisted of response scales and stimuli. Fifty-one items of 7-point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9 items of demographic traits, and 4 items of subjective evaluation scales were developed. Stimuli were color pictures of a model wearing each of two clothing styles(mannish style, feminine style). The sample include 56 male and female subject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within-subject design and the half of the sample responded to the mannish style first and the other half responded to the feminine style first. Responses to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were factor analyzed, and seven factors were identified: intellectuality, sensibility, activity, modesty, competence, display, keenne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nnish style and feminine style in impression of wearer's age, job, and physical attractiveness as well as wearer's intellectuality and sensibility. It was revealed that the first impression and second impression of wearer's intellectuality, sensibility, modesty, competence, display were differed by the function of the order of stimuli shown to the subjects. Both primacy effect and recency effect of order effect were confirmed, and especially negativity effect was influenced prominently on impression formation.

IMF이후의 신세대 진바지 소비자의 감성이미지 면화와 브랜드 인지도 분석 (Analysis of young adults sentiments about the image of jan brands and awareness of jean brads under the IMCF economic environment)

  • 이훈자;김칠순;임정호;남영미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 /
    • pp.273-277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large representative data base for jeans marketing strategy. This study was to survey brand awareness and analyze brand image and consumer's seeking image. The 7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656 reliable on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 SAS statistical package including frequency table, factor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son's correlation test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Brand awareness involves "brand recall" based on asking a person to name recalled first, and "brand recognition" based on asking to identify brand name from 30 given brands. The result indicated that "Levi" was dominant for brand recall and Guess was dominant for brand recognition. 2. Regarding the brand image, the result showed that "Vov" was best represented for sophisticated 8t trendy brand images, "Storm" for sophisticated brand image, "Jambangee" for reasonable price & comfortable brand images, and "Levis" for classic & design/color brand images. 3.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consumer's seeking image, six factors(characteristic/gay, intelligent/sexy, feminine/sophisticated, active/functional, cute/young, simple/comfortable) were found. Several factors had a relationship with demographic variables, preferred design, fashion interest.

  • PDF

실용 테이블 데커레이션에 대한 선호 분석에 관한 연구 - 색채 조화의 이미지 및 심미성의 영향요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reference Analysis on Eating/Drinking Table Decoration - Centering on Color Image and Aesthetic Value)

  • 장영순;홍정표;김태호
    • 감성과학
    • /
    • 제9권spc3호
    • /
    • pp.187-196
    • /
    • 2006
  • 본 연구는 실용테이블 데커레이션의 수준별 요소에 일정한 규칙의 색채변환을 주어 관찰자(응답자) 선호의 색채 테이블과 이미지 형용사, 심미성의 각 영향 요소간의 관계성 고찰로 이는 선행 연구인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의 관찰자 선호도에 대한 조사 분석'의 검증연구이다. 연구결과로 색채 이미지와 선호도는 '고급스러운, 먹고싶은'의 이미지로, 중 저의 어두운 톤인 브라운 색채와 '따뜻한, 화사한' 이미지의 주황색 톤이 선호되었다. 선호도와 심미성 영향 요소와의 관계 평가에서는 일반인들은 '통일성, 게슈탈트'의 영향요소를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비전문가들은 '독특성'이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자극물 선정에서 색채 변환에 의존함에 따라 T P O에 적합한 분위기 연출의 미흡 부적합 등 현실성의 문제점과 설문 응답이 이루어진 시기, 즉 계절, 세대 간 변수, 자극물 선정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나, 실용 테이블 데커레이션에의 선호 디자인에 대한 프로세스를 제안함으로써 정성적 연출뿐만 아니라 정량적인 데이터를 이용한 새로운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쇼윈도우 디스플레이 경향에 관한 연구 - 강남지역 백화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end of Show window Display - Focused on department of kangnam area -)

  • 권양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8호
    • /
    • pp.233-24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oordination trend of the Image of the color and object from the department show-window display locating in the kangnam area.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1) Show window display determinating the first image of department-store marketing service, playing the role of visual marketing provides the valuable impressions with shoppers in the times of sensibility, 2) In contemporary recognition of "Design is namely culture", show window display proceeds on the direction of concrete and practical presentation of merchandise as many customers are pursuing the high graded luxury brands while their life styles change. 3) Main concept is represented by the coordinated fashion goods on the mannequin or the body and the main theme is displayed variously in the circumferential area or on the articles with the abstract and concrete objects of diverse forms of dominant color and accent color conveying the seasonal theme precisely. 4) The compositive element of color Is the decisive factor of the visual sense of space In the coordination-trends of show window display specially representing the seasonal theme or the intentional messages and conduces to the psychological and mental desire in human and the circumstances, 5) Following the color, the compositive element of object presents the concrete image of theme or the abstract and geometrical sense of space besides the visual sense of space and shows the proportionality and the activity in displaying the show window space.dow space.

현대패션에 나타난 노랑의 조형성과 이미지 (Yellow Image and Formative Properties in Modern Fashion)

  • 오해순;이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65-876
    • /
    • 200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yellow image and formative properties in modern fashion. For the study of formative properties 230 kinds of costume samples being visual power in yellow have been selected from photographs in fashion magazines and divided into tones: vivid(S, B, Dp), vague(L, Lgr, D), bright(Vp, P, B). For the study of image 30 kinds of costume samples is used. The Study was measured by using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The subjects were 50 students majoring in clothing and textile.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OVA, MD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 1. Factor analysis has extracted 4 factors of yellow image in the fashion. These factor are Attractiveness, Cheerfulness, Hardness and Softness, Gorgeousnes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ual evaluation of yellow tones. 3. Evaluative dimensions of yellow was classified as Soft-Hard, Gorgeous-Unpretentious. 4. The mage effect on Preference, Buying needs, Pleasant and Riches was consist of complicated sensibility.

현대패션에 나타난 주황색 이미지(제l보) (Orange Image on the Modern Fashion(Part I))

  • 주소현;이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970-981
    • /
    • 200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orange image in the modern fashion. So kinds of costume sample being visual power in orange have been selected from photographs in fashion magazines and divided into the tones : mist(Vp, Lgr, L), bright(P, B), vivid(S, V, Dp). The study was measured by using 27 semantic differential hi-polar scales. The subjects were 50 female students majoring in clothing and textil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SPSS packag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Cronbach $\alpha$, Factor analysis, MDS, ANOVA Sheff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Factor analysis has extracted 4 factors of orange image in the fashion. These factor are Attractiveness, Audacity, Hardness and Softness, Cutenes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ual evaluation of tones. 3. The discrimination among tones was related to cuteness and weight of orange. 4. The image effect on Preference, Buying needs, Pleasant and Riches was consist of complicated sensibility.

차량용 HUD의 인지적 감성 평가 -주행정보의 색채 시인성을 중심으로- (Vehicle HUD's cognitive emotional evaluation - Focused on color visibility of driving information)

  • 최원정;이혜미;이설희;박영경
    • 감성과학
    • /
    • 제16권2호
    • /
    • pp.195-206
    • /
    • 2013
  • 교통사고의 주된 원인은 자동차 주행 중 운전자의 시각적 주의 분산이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시선을 도로에서 벗어나지 않게 하면서 주행정보를 제공하는 HUD(Head Up Display)시스템을 이용해서 자동차 앞 유리(windshield)에 투영된 주행정보의 색채감성을 평가하였다. 주행정보는 전방시선 $0^{\circ}$에서 약 하방 $9^{\circ}$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였고, 실험실의 형광등, 5개의 LED 조명등과 TV출력 영상을 통해 25[lux]의 야간 운전 시 조도 환경, 100,000[lux]의 주간 운전 시 조도 환경을 재현하였다. 먼셀 표색계의 기본 5색(R, Y, G, B, P)과 신호등의 색 YR, W 총 7색의 단일 색과 W를 제외한 6개 글자에 각각 흰색 글자 외곽선, 회색 글자 외곽선을 주어 외곽선 있는 글자 12개를 만들었다. 총 19개의 실험 자극물을 주간과 야간 환경에서 각각 주행정보의 컬러 시인성, 피로도, 선호도, 방해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는 시인성이 유의미하게 나왔는데, 첫째, 주간에서는 Y와 G 색상같이 색상 자체의 휘도가 높은 경우 시인성이 높았다. 둘째, 텍스트의 외곽선이 있는 경우, 외곽선이 배경색으로 작용하여 색상과의 휘도대비를 일으켜 시인성에 영향을 준다. 셋째, 외곽선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 전면 유리의 휘도가 배경색 휘도로 작용하여 글자의 휘도와 큰 대비를 이룰 때 시인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운전자의 주시야를 고려해 전방에 제공되는 가상의 영상, HUD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주행정보의 색채시인성이 중요한데 이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배경과 글자의 휘도대비를 고려해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