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distribution

검색결과 1,226건 처리시간 0.032초

관심 NPC 추출을 이용한 효율적인 FPS 게임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t FPS Game Operation Using Attention NPC Extraction)

  • 박창민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63-69
    • /
    • 2017
  • The extraction of attention NPC in a FPS game has emerged as a very significant issue. We propose an efficient FPS game operation method, using the attention NPC extraction with a simple arithmetic. First, we define the NPC, using the color histogram interaction and texture similarity in the block to determine the attention NPC. Next, we use the histogram of movement distribution and frequency of movement of the NPC. Becasue, except for the block boundary according to the texture and to extract only the boundaries of the object block. The edge strength is defined to have high values at the NPC object boundaries, while it is designed to have relatively low values at the NPC texture boundaries or in interior of a region. The region merging method also adopts the color histogram intersection technique in order to use color distribution in each region. Through the experiment, we confirmed that NPC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FPS game and as a result it draws more speed and strategic actions in the game.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상악 유중절치의 부위에 따른 색조 분포 연구 (Color Distribution Analysis of Maxillary Primary Central Incisors using a Spectrophotometer)

  • 이석순;장지혜;이대우;양연미;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93-100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상악 유중절치를 절단, 중간, 치경부로 나누어 각 부위의 색조 분포 및 각 부위 색조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3세에서 6세 어린이의 건전한 상악 유중절치의 색조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CIE $L^*$, $a^*$, $b^*$, $C^*$, $h^*$ 및 이에 가장 잘 맞는 shade가 각 부위와 전체 순면에 대해 얻어졌다. 각 부위 및 전체 순면에 대해 CIE $L^*$, $a^*$, $b^*$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 < 0.05) 각 부위 사이의 색조 차이는 임상 허용의 한계치 보다 컸다. 각 부위의 색조 사이의 관계를 $L^*$, $a^*$, $b^*$ 값 사이의 관계로 정리하면 한 부위의 색조로 다른 부위의 색조를 예상하거나 유치의 색조에 더 잘 부합하는 수복 재료 및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How did the peculiar S0 galaxy M85 form?

  • Ko, Youkyung;Lee, Myung Gyoon;Sohn, Jubee;Ryu, Jinhyuk;Jang, In Sung;Lim, Sungsoon;Park, Hong Soo;Hwang, Narae;Park, Byeong-Gon
    • 천문학회보
    • /
    • 제40권1호
    • /
    • pp.46.1-46.1
    • /
    • 2015
  • M85 is a merger remnant galaxy in the Virgo Cluster, showing complex merging features. Globular clusters in M85 are a good tracer of its merging history. To investigate globular cluster system of M85, we obtain deep and wide field images of M85 in ugi filters covering one square degree using CFHT/MegaCam. We discover about 1,000 globular cluster candidates in these images.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globular cluster candidates within r < 5' from M85 does not show a clear bimodality and blue globular cluster candidates are more than red ones. These features are different from those in massive early-type galaxie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globular cluster candidates is elongated along the faint stellar light of M85. We also investiga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ub-populations of the globular cluster candidates with different color and brightness and estimate their ages based on their color. We discuss these results in relation with the formation history of M85.

  • PDF

Spatial distribution of pigment concentration around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region derived from Satellite data

  • Kim, Sang-Woo;Kim, Young-Seup;Yoon, Hong-Joo;Saitoh, Sei-ich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655-655
    • /
    • 2002
  •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pigment concentration (PPC) an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round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EKWC) was described, using both ocean color images and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AVHRR) images. Water mass in this region can b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in the horizontal profile of PPC and SST, nLw(normalized water-leaving radiance) images: (1) coastal cold water region associated with concentrations of dissolved organic material or yellow colored substances and suspended sediments, (2) cold water region of thermal frontal occurred by a combination of phytoplankton absorption and suspended materials, (3) warm water overlay region by the phytoplankton absorption than the suspended materials; (4) warm water region occurred by the low phytoplankton absorption, and (5) offshore region occurred by the high phytoplankton absorption. In particular, the highest PPC area appeared in the ocean color and SST images with a band shaped distribution of the thermal front and ocean color front region, which is located the coastal cold waters along western thermal front of the warm streamer of the EKWC.

  • PDF

Non-destructive quality prediction of domestic, commercial red pepper powder using hyperspectral imaging

  • Sang Seop Kim;Ji-Young Choi;Jeong Ho Lim;Jeong-Seok Cho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24-234
    • /
    • 2023
  • We analyzed the major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powders from various regions and predicted these characteristics nondestructively using shortwave infrared hyperspectral imaging (HSI) technology. We conducted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analysis on 70% (n=71) of the acquired hyperspectral data of the red pepper powders to examine the major quality characteristics. Rc2 values of ≥0.8 were obtained for the ASTA color value (0.9263) and capsaicinoid content (0.8310). The developed quality prediction model was validated using the remaining 30% (n=35) of the hyperspectral data; the highest accuracy was achieved for the ASTA color value (Rp2=0.8488), and similar validity levels were achieved for the capsaicinoid and moisture content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quality prediction model, we conducted spectrum preprocessing using SNV, MSC, SG-1, and SG-2, and the model's accuracy was verifi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ccuracy of the model was most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MSC method, and the prediction accuracy for the ASTA color value was the highest for all the spectrum preprocessing method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powders, even powders that do not conform to specific variables such as particle size and moisture content, can be predicted via HSI.

칼라 히스토그램 기반 영상 검색을 위한 효율적인 칼라 특징 정보 추출 기법 (Efficient Color Feature Information Extraction Method for Color Histogram-based Image Retrieval)

  • 이호영;김영태;김희수;배태면;하영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8B호
    • /
    • pp.1413-1423
    • /
    • 2000
  • 칼라 히스토그램 방법은 영상 획득 시 광원의 위치나 광원색의 변화에 따라서 칼라 분포가 변하게 되어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는 영상이라 할 지라도 검색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그래석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명의 변화가 배제된 칼라 정보를 추출한 후 이에 대한 칼라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영상 검색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생동폭 조절을 통하여 광원의 위치 변화 때문에 발생하는 음영으로 인한 색 분별력 저하를 방지하였으며 물체의 확산 반사 성분만을 이용한 gray world 가정 기반의 광원색 제거 방법으로 조명 조건 변화가 배제된 칼라 정보를 추출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된 칼라정보를 이용한히스토그램 방법이 조명의 영향이 배제되지 않은 입력 영상의 칼라 정보를 이용한 히스토그램 방법보다 높은 검색 효율을 보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컬러 정보와 피부색 모델을 이용한 피부 영역 검출 (Skin Region Extraction Using Color Information and Skin-Color Model)

  • 박성욱;박종관;박종욱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5권4호
    • /
    • pp.60-67
    • /
    • 2008
  • 피부색은 자동화된 얼굴 인식을 위한 매우 중요한 정보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컬러 정보와 피부색 모델을 이용한 피부 영역 검출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적응적 조명 보정 기법을 통해 피부색 영역의 검출 성능을 개선하였고 전처리 필터를 적용하여 피부색이 아닌 영역을 먼저 제거시킴으로써 처리 속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피부색 검출 성능이 우수한 ST 컬러 공간을 수정하여, 보다 정확한 피부색 영역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실험 결과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검출 결과를 나타냈으며, 처리 속도 또한 약 $33{\sim}48%$ 향상시킬 수 있었다.

RADIAL COLOR GRADIENT IN A GLOBULAR CLUSTER 1. M68

  • Yi, Su-Kyoung;Chun, Mun-Suk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7권2호
    • /
    • pp.105-111
    • /
    • 1990
  • Stars in M 68 from the observed-magnitude diagrams with CCD were integrated to find any radial gradient. The result shows that M 68 has a slightly bluer core. The main cause of these calculated radial color variations seems to come from the random distribution of ginants.

  • PDF

Pigment particle size distribution이 백판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

  • 김진현;이도엽;최강영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55-56
    • /
    • 2001
  • 지난 수년간 유럽을 중심으로 Carbonate의 PSD (Particle Size Distribution)가 도공지 의 백색도, 불투명도, Coverage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현재 국내의 Coating Pigment System 역시 Carbonate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나, 입자 분포에 따른 실증적 연구가 선진국에 비하여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최근 유럽에서 사용 중인 Narrow PSD Carbonate가 도공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것으로서, 특히 Multiple Coating에서의 도공층 구조변화와 그에 따른 백지물성 및 인쇄적성의 변화를 연구한 것이다. 실험의 Case는 Broad PSD CaC03와 Narrow PSD CaC03를 비 교하였 다 .. Color F Formulation은 Pre Color에서 #1 Clay 30 p따t와 각각 CaC03 70 p따t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바인더와 첨가제는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 Top color Formulation 또한 동일하 게 사용하였다. 코팅방식은 speed 450rrνmin, pre rod coating, top blade coating 방식 으로 CLC (Cy lindrical Laboratory Coater)를 사용하여 코팅하였다. 백지품질은 백색도, 평활도 ,광택도, 거칠음도, Bum Out Test와 Coverage( SEM 사 진 Z -direction) 등을 측정하였다. 인쇄품질은 인쇄 광택도, 인쇄 Picking strength와 2 도 인쇄 농도를 측정하였다. 백색도는 Narrow PSD CaC03를 사용한 것이 Broad PSD CaC03를 사용한 것 대비 약1% 우수하였다. 이것은 Narrow PSD CaC03를 사용한 것이 filter cake이 많이 open 되 어 있어 dewatering이 빠르고, Wet void volume이 증가되 어 부동화점 의 농도가 낮 아져 원지 층으로 침 투되 는 pigment가 작고 표층에 잔류하는 pigment와 void volume의 증가로 인해 기공층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백지광택도, 거칠음도 등 또한 Narrow PSD CaC03를 사용한 것이 우수하였 다. 이는 Pre color에서 coverage의 개선으로 top color층의 도공량 uniformity가 개선 된 이유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인쇄품질은 백지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이것은 top 칼라 Formulation이 동일하고, 인쇄시 잉크흡수 거동은 top color 층에 주로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판단 된다. 향후에는 인쇄품질의 향상을 위하여 Case 2의 CaC03 100% 사용가능성 및 Pre Color 는 Case 2로 고정하고, Top칼라를 변경하는 방법을 또한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PDF

피부색 범위의 점진적 확장에 의한 얼굴 검출 방법 (A Face Detection Method using Gradual Expansion of Skin Color Range)

  • 문대성;한영미;김민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4권5호
    • /
    • pp.396-405
    • /
    • 2001
  • 일반적으로 피부색과 유사한 칼라가 포함된 복잡한 배경으로부터 미리 정의된 단일 칼라 임계값을 이용해 얼굴영역을 정확하게 추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기 피부색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장시키면서 얼굴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초기 피부색 범위는 인터넷에서의 다양한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의 피부색 분포를 분석하여 매우 밀집되어 나타나는 범위로 선정한다. 피부색 범위를 확장함에 따라 영상 공간에서의 얼굴후보 영역도 확장되어 나타나는데, 확장 단계별로 확장된 얼굴 후보 영역이 실제 얼굴임을 검증하기 위해 얼굴의 모양정보와 얼굴 기관의 위치적 정보를 사용한다. 모양 제한자로는 타원의 특성과 외접 사각형(bounding box)의 가로와 세로의 비율을 사용한다. 얼굴 기관으로는 눈과 입만을 사용했는데, 얼굴 후보 영역 내부의 가로 방향성을 가지는 경계가 주로 눈과 입의 영역임에 착안한 것으로서 비교적 수월하게 추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하이라이트(highlight)에 의해 얼굴 영역의 일부가 왜곡된 경우와 얼굴 영역이 피부색과 유사한 배경에 인접해 있는 경우에 대해서도 강인하게 얼굴 영역을 추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