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code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6초

인쇄된 컬러 QR코드의 합성곱 신경망 알고리즘에 의한 진위 판정 시스템 (An Authentic Certification System of a Printed Color QR Code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최도영;김진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21-30
    • /
    • 2020
  • 스마트폰의 대중적인 보급으로 인해 QR 코드는 세상에서 가장 보편적인 코드들 중의 하나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QR 코드를 제안하여 저장 용량을 증가시키고, 또한, 컬러정보와 패턴 형태를 가변시켜서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게 한다. 이와 더불어, 제안된 QR 코드가 인쇄된 형태의 다양한 응용환경에 작용될 수 있도록 본 논문은 효과적인 진위 판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기존의 합성곱 신경망 구조 즉 VGGNet으로 구현되며, 스마트 폰을 통해 손쉽게 진품 또는 가품을 판정하고, 진품으로 판정된 코드에 대해서는 삽입된 개인 정보를 추출하도록 설계된다. 인쇄된 QR 코드에 대한 실제의 다양한 실험을 통해 제안된 시스템은 진품 또는 가품을 거의 완벽하게 분류할 수 있음을 보이고 개인 정보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A Perceptually-Adaptive High-Capacity Color Image Watermarking System

  • Ghouti, Lahouar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1호
    • /
    • pp.570-595
    • /
    • 2017
  • Robust and perceptually-adaptive image watermarking algorithms have mainly targeted gray-scale images either at the modeling or embedding levels despite the widespread availability of color images. Only few of the existing algorithms are specifically designed for color images where color correlation and perception are constructively exploited. In this paper, a new perceptual and high-capacity color image watermarking solution is proposed based on the extension of Tsui et al. algorithm. The $CIEL^*a^*b^*$ space and the spatio-chromatic Fourier transform (SCFT) are combined along with a perceptual model to hide watermarks in color images where the embedding process reconciles between the conflicting requirements of digital watermarking. The perceptual model, based on an emerging color image model, exploits the non-uniform just-noticeable color difference (NUJNCD) thresholds of the $CIEL^*a^*b^*$ space. Also, spread-spectrum techniques and semi-random low-density parity check codes (SR-LDPC) are used to boost the watermark robustness and capacity. Unlike, existing color-based models, the data hiding capacity of our scheme relies on a game-theoretic model where upper bounds for watermark embedding are derived. Finally, the proposed watermarking solution outperforms existing color-based watermarking schemes in terms of robustness to standard image/color attacks, hiding capacity and imperceptibility.

A Comparative Study of Recognition Rate of Color QR Code Printed on Tyvek and Cotton Material

  • Park, Suhrin
    • 패션비즈니스
    • /
    • 제21권3호
    • /
    • pp.14-28
    • /
    • 2017
  • This purpose of this study to analyze effect material properties have on change in QR code recognition rate according to change of materials by comparing recognition rate of color QR code. QR code applied to textile materials has the advantage of being washable and being applicable to lost child prevention goods or clothes or a person with dementia through record of information relating to the material or input of additional information, differently from QR code printed on the conventional paper. An effective method of entering QR code in textile materials is Digital Textile Printing(DTP), that facilitates printing by rapidly applying diverse information, and small quantity production. It is possible to tailor various QR codes according to use. Regarding samples to use, cotton material used in clothing products and Tyvek material recently applied to clothing and related products were selected. Reactive dyes were used for cotton, pigment was used for Tyvek, and QR code was printed with an inkjet printer by direct printing method. Printing methods and surface textures are different between cotton and Tyvek. It was revealed that consequent print results and results of recognition rate were different. Regarding color to be printed, 2015 S/S - 2017 S/S color presented by Pantone was used. Color combination affected recognition rate of color QR code. Understanding color combination, material properties and print characteristics may be helpful in increasing recognition rate of color QR code, and may contribute to usability of color QR code applied to textile materials in the future.

In vitro evaluation of color and translucency reproduction of maxillofacial prostheses using a computerized system

  • Nemli, Secil Karakoca;Gungor, Merve Bankoglu;Bagkur, Meral;Bal, Bilge Turhan;Arici, Yeliz Kasko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0권6호
    • /
    • pp.422-429
    • /
    • 2018
  • PURPOSE. Accurate color matching of maxillofacial prostheses to skin is important for esthetics. A computerized color matching system specific to human skin has recently been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in color and translucency matching of the computerized color matching system across different skin colors. MATERIALS AND METHODS. The silicone was colored to simulate 28 different skin colors (n=5) to serve as "target skin colors". Using a spectrocolorometer (e-skin), color codes were determined for "replicate skin color" fabrication. CIELAB Delta-E between target skin color-replicate skin color pairs and translucency parameter were calculated. CIELAB Delta-E values were compared with one-way ANOVA and Tukey multiple-comparison. The agreement between $L^*$, $a^*$, $b^*$ and translucency parameter of target skin colors and replicate skin color were calculated by a two-way mixed average measure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Translucency parameter of target skin color- replicate skin color pairs were compared with Paired t-test (${\alpha}=.05$). RESULTS. The mean CIELAB Delta-E value was 3.83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colors.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showed excellent reliability for $L^*$, $a^*$, $b^*$ and good reliability for translucency parameter (P<.001). The mean translucency parameter of replicate skin colo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ranslucency parameter. CONCLUSION. The computerized color matching system specific to human skin was found to be reliable in terms of color and translucency between target skin colors and replicate skin color.

칼라 지도 영상에서 도로 정보 추출 (Extraction of Road from Color Map Image)

  • 안창;최원혁;이상범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871-879
    • /
    • 1997
  • 지리 정보 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기존의 수치 지도화 방법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이므로 자동입력을 위한 도구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지도의 특징을 살펴 보면, 몇 가지 특징적인 색을 이용하여 정보를 계층화시켜 작성되어 있으므로, 영상에서 색 정보를 분리하면, 여러 가지 정보를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칼라 지도 영상에서 도로 정보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스캐너로 입력된 칼라 지도영상을 색 계층별로 분리하고, 도로를 포함하고 있는 영상에서 모폴로지 연산의 하나인 조건적 볼림 연산을 병렬적으로 적용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복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보의 중첩으로 인한 도로의 훼손된 부분을 효율적으로 복원하였으며, 세선화와 벡터화를 통하여 도로의 정보를 표현하였다.

  • PDF

전자눈을 이용한 햅쌀, 묵은쌀 및 이의 혼합쌀 판별 분석 (Discrimination analysis of new rice, stale rice, and their mixture using an electronic eye)

  • 홍지화;이재훤;조영호;최경후;이민휘;박영준;김현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469-473
    • /
    • 2017
  • 본 연구는 햅쌀과 묵은쌀 및 이의 혼합곡 판별을 위하여 전자 눈 분석을 이용한 쌀 신곡과 구곡 판별법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수집된 신구곡을 대상으로 GOP 시약처리를 통해 효소 활성에 따른 정색 반응을 확인한 후 전자눈 장비를 이용하여 신곡과 구곡의 판별에 적합한 색깔 코드의 선별과 이를 이용한 쌀 신곡과 구곡의 판별법을 개발하였다. 미지시료를 이용하여 판별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신곡과 구곡인 단일곡은 100%의 정확도로 판별이 되었으나 혼합곡의 경우 혼합된 비율에 따라 판별 정확도가 달라졌다. 혼합곡은 신곡과 구곡의 혼합 비율에서 구곡이 비율이 높아질수록 판별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전자눈 분석을 통하여 햅쌀과 묵은쌀을 판별할 수 있는 실용적인 판별 체계를 구축하였으므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판별식은 쌀 신구곡 판별을 위한 과학적인 근거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오프라인 응용을 위한 컬러 QR코드의 삽입 정보 추출 방법 (An Embedded Information Extraction of Color QR Code for Offline Applications)

  • 김진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9호
    • /
    • pp.1123-1131
    • /
    • 2020
  • 현재 QR 코드는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이다. QR코드는 작은 크기, 높은 부호화 및 에러 보정 능력, 손쉬운 생성 및 읽기 과정 등의 장점으로 인해 많은 응용에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인쇄된 컬러 QR코드 응용을 통하여 제한된 정보 저장 능력을 개선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컬러 정보를 QR코드에 다중화함으로써, 정보 추출을 위한 색상 간의 간섭 왜곡뿐만 아니라 기하왜곡 등으로 인하여 삽입 정보를 제대로 추출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색상차 왜곡과 기하 왜곡을 극복하기 위한 강인하고 효과적인 정보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CMYK 컬러 모델에 기반하여 컬러 QR코드를 생성함과 더불어 정보 읽기 과정에서 전역 공간 정합과 국부 공간 탐색을 적응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삽입 정보 인식률을 개선하는 것이다. 인쇄된 QR코드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은 실제 삽입된 정보를 추출함에 있어서 3% ~ 5% 정도의 비트 인식률 개선효과를 보인다.

색상 및 채도 값에 의한 이미지 코드의 칼라 인식 (Recognition of Colors of Image Code Using Hue and Saturation Values)

  • 김태우;박흥국;유현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50-159
    • /
    • 2005
  •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이미지 코드도 다양한 영역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에서 이미지 코드가 중요한 이유는 비용면과 함께 많은 영역에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칼라의 왜곡이 심하여 정확한 칼라를 읽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그 응용은 아직까지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칼라의 색상 및 채도 값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미지 코드를 찾아내는 것을 포함하여, 이미지 코드 인식에 관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이 논문의 실험에서는 현재 상용되고 있는 것들 중 가장 실용적이라고 판단되는 디자인을 사용하였다. 이 이미지 코드에는 여섯 개의 안전 칼라, 즉, R, G, B, C, M, Y가 사용되었다. 실험 영상들로는 크기가 $2464{\times}1632$인 72개의 트루 칼라 필드 영상들을 사용하였다. 히스토그램에 의해 칼라를 보정한 경우, 코드 검출 정확도는 96%, 검출된 코드에 대한 칼라 분류 정확도는 91.28% 이었다. 이미지 코드를 검출 및 인식하는데 2 GHz P4 PC에서 약 5초가 소요되었다.

  • PDF

컬러 정보와 퍼지 C-means 알고리즘을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s of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Color Information and Fuzzy C-menas Algorithm)

  • 김광백;윤홍원;노영욱
    • 지능정보연구
    • /
    • 제8권1호
    • /
    • pp.87-101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컬러 정보와 퍼지 c-means 알고리즘을 이용한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을 제안하고 차량 번호판 인식을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개발에 대해서 기술한다 컬러 정보와 퍼지 c-means알고리즘을 이용한 차량 번호판 인식 기술은 차량의 영상에서 번호판을 추출하는 부분과 추출한 번호판 영역에서 문자를 인식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최빈수 평활화를 이용하여 차량 영상에서 녹색 잡음을 제거하고 RGB컬러에서 녹색 정보와 횐색 정보를 이용하여 번호판 영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번호판 영역의 코드들은 히스토그램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FCM(Fuzzy c-mean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였다. 80개의 실제 차량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는 제안된 번호판 영역 추출 방법이 기존의 RGB정보를 이용한 방법과 HSI를 이용한 방법보다 추출율이 개선되었다 그리고 FCM 알고리즘을 이용한 차량 번호판 인식이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성능 향상을 보인 제안된 차량 번호판 방법을 이용하여 주차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Smartphone Color-Code based Gate Security Control

  • Han, Sukyoung;Lee, Minwoo;Mariappan, Vinayagam;Lee, Junghoon;Lee, Seungyoun;Lee, Juyoung;Kim, Jintae;Cha, Jae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5권3호
    • /
    • pp.66-71
    • /
    • 2016
  • Smart building gate security control system using smartphone integrated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has become part of daily life usage these days. The technology change in replacing RF NFC device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echnology based approach growing faster in recent days. This paper propose a design and development of gate security control system using color code based user authentication ID generation as part of an intelligent access control system to control automatic door open and close. In this approach gate security access control use the recent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echnology trends to transfer the user specific authentication code to door access control system using color code on smartphone screen. Using a camera in the door access control system (ACS), color codes on smartphone screens are detected and matched to the database of authenticated user to open the door automatically in gate security system. We measure the visual light communication technology efficiency as a part of the research and the experiments have revealed that more than 95% users authenticated correctly at the suggested experiment environment on gate security contro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