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nial period

검색결과 470건 처리시간 0.025초

일제 강점기(1910~1945) 조선의 우유 생산과 보급 (Production and Supply of Milk in Joseon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 이규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00-41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how 'milk' was produced and supplied introduced and spread in the modern Joseon period. Condensed milk and powdered milk were mainly consumed in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ince they could be conveniently preserved for a long time, although raw milk was also produced and consumed. For areas adjacent to farms, milk delivery service was offered while areas with great consumption received an additional supply from different areas by rail. Since no manufacturing plants were operational in Korea, condensed milk and powdered milk consumed in Joseon had to be imported. In the case of condensed milk, when production in Japan increased, extra supply was aggressively sent into their colony, Joseon. The 'Gyeongseong Milk Association' founded in 1937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that it led to standardization of the production system and prices as well as pasteurization of milk.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era, milk production and consumption were controlled. As milk was purchased as a war supply, the milk consumption market became distorted and limited.

일제강점기의 우리나라 철도성격규명에 관한 정성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the Properties of the Korean Railway during the Japan Colonial Period)

  • 이용상;정병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306-314
    • /
    • 2012
  • 한반도에서 철도가 처음으로 개통된 후 철도는 주로 군사적 목적으로 이용되었다. 즉, 경인선, 경부선, 경의선이 건설되었으며, 한일합방이후에는 한반도에서 철도는 일본의 식민화에 따른 지배의 수단이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우리나라의 새로운 운송수단으로서 근대화를 촉진시키고, 조선의 경제, 문화, 사회의 발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현재, 한국 철도사 연구 중에서 연구가 미진한 부문의 하나가 일제강점기에 있어서의 철도의 성격규명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구체적인 철도의 영향력과 사회변화 등에 대한 미시적인 연구와 관료를 중심으로 한 철도정책과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철도의 성격에 대한 다양한 측면이 간과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의 철도에 대한 성격규명을 정성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즉, 일제강점기 조선총독의 지휘를 받았던 철도국장 등 철도정책결정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철도관료의 분석을 통해 철도의 성격을 규명해보고자 하였으며, 대륙철도와의 연결과 국내산업개발 측면에서의 조선철도의 성격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그 동안 일제강점기의 철도에 대한 성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식민지적 공공설'과 8.15 해방 공간 ('Colonial Public-nes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Forced Occupation)

  • 원용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7권
    • /
    • pp.50-73
    • /
    • 2009
  • 전통적으로 한국 언론사 논의는 언론을 수동적 존재로 파악하는 태도를 견지해왔다. 특히 해방 전후 언론 연구에서 그런 경향은 더욱 짙다. 언론을 수동적으로 대한다 함은 언론을 수단 혹은 도구로 보는 태도를 말한다. 언론사 논의는 그 같은 경향 내에서 언론을 민족 해방, 민족국가수립에 기여했는지 혹은 아닌지로 분류하고 평가하려 했다. 민족언론, 친일언론 등과 같은 친근한 구분법은 그로부터 나왔다. 최근 들어 그 같은 경향을 벗어난 연구들이 등장하고는 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그 같은 민족주의적 시각으로부터 자유스럽지 않다. 덕택에 언론의 독자적문화, 민중들의 언론 습관, 일상 속의 언론 논의는 소홀히 다루어졌다. 이 글은 민족주의적 관점으로 언론현상을 논의할 경우 해방당시를 섬세하게 설명할 방도가 없어진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민족주의적 관점을 넘어선 국면 분석을 통해 새로운 언론사 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1945년 8월 15일이라는 해방 국면에서의 언론 상황을 점검하고 그를 통해 새롭게 대안적으로 포착해야 할 언론 단면들을 드러내고자 했다. 그 점검을 통해 해방 국면에서 제한된 형태이긴 하지만 언론이 해방의 의미를 나누었고 민중들은 그 같은 의미를 언론을 통해 받아들이는 습관을 나름으로 형성한 식민지적 공공성을 지니고 있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그 공공성은 왜곡되고 식민지적인 것일 수밖게 없었지만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당시 민중들에게는 감정적 구조를 전달해주고 있었으며 삶의 지침이 되기도 하는 영역이었다. 식민지 근대화론자들이 말하는 것처럼 일제에 의해 선사된 근대성의 공간도 아니고 민족주의자들의 주장대로 식민화된 공간만도 아닌 그 둘이 혼효된 공간이었다. 그리고 그 공간은 이후 한국 언론 문화, 관습, 언론을 받아들이는 습관 등 언론규율로 연장되었을 것이다. 혹은 새롭게 등장하는 서구적 근대성과 조우하면서 전혀 새로운 형태로 변해갔을 수도 있다. 지금의 언론 문화를 정리해내는 데 있어 식민지적 공공성에 대한 관심은 더 늦출 수 없는 중요한 지점이 아닐 수 없다.

  • PDF

통영지역의 일제강점기 수산관련 주요 동향에 대한 분석 -어업현황, 어획고, 주요 이슈 등을 중심으로- (A Study on Fisheries Business Trend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Tongyeong based on Fisheries Status, Catches and Issues)

  • 이동호
    • 수산경영론집
    • /
    • 제46권2호
    • /
    • pp.75-92
    • /
    • 2015
  • Generally, the outcomes of the historical study in some domain would be a most fundamental and basic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essential and core component of them. Specially in case of social science,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research much more emphasized that would be divided into independent academic field. In Korean history including fisheries business and industry, the most remarkable historic event would be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at one of the most obstacle should overcome. Though the fisheries business and industry of Korea have considerable own history, the research and study of that not so much have been performed or investigated includ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of fisheries history have merely focused on partial topics like 'Fishermen's Association', 'Fisheries Industry Despoliation'. And the historical study of fisheries business and industry's overall status and trend in local area except Pusan also not enough. The aims of this study are exploring the fisheries trends and statu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Tongyeong and finding out the overall major fisheries business issues that would be a better understanding the Korean fisheries industry. Achieving that Objectives, over 800 articles of media,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other historical data were gathered, refined and analyzed. This paper focused on of major fisheries topics and issues that including overall fisheries status, trends, fisheries catches, local fisheries cooperatives and fisheries exhibitio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Tongyeo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tatus of fisheries in Korea had been deteriorated for exploit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and Japanese fisheries capitalist during that period. Though the level of Tongyeong in fisheries was very high in terms of catches ratio and population of fisherman, the distribution networks of fishermen's association was not good enough. And the Tongyeong fisheries exhibition in 1922 has positive aspects for considering both composition of organization and educational activity. Even though the results and findings would be a helpful guidelines for understanding the fisheries business trends and statu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more research and study of that should be accomplished.

일제강점기 거문도 근대화 과정 -사회구조를 중심으로 -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Geomundo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ed on social structure)

  • 박민정;박순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6-48
    • /
    • 2016
  • 본 연구는 거문도를 사례로 근대화 과정에 대하여 사회구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근대화 이전 거문도의 사회구조는 하나의 마을을 기본적인 공간단위로 하는 공동체 의례와 조직에 기초한 전통적인 사회로 각 마을은 상대적으로 독립적이고 병렬적인 공간구조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일본인의 이주라는 일제에 의한 강제된 근대화로 기존의 마을과는 별개로 형성되는 집단거주공간을 중심으로 근대화가 이식되고 확산되었다. 그 과정에서 개별 거주지 간 의 연계성이 강화되면서 공동체 의례뿐만 아니라 새로운 근대적 사회조직의 출현과 그 성격도 변화하였다. 그 후 근대화 토착화기에는 선진어업기술 및 유통체계의 근대화에 따른 자본주의적 생산체제로의 전환으로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근대적 규범이 정착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제 강점기 후반에는 관변조직 뿐만 아니라 각종 자생적 자치조직까지도 식민지 수탈정책을 보조하는 근대화에 역행하는 조직으로 전락하였다. 공간구조는 공동체의 영역 및 구성원의 외연적 확대로 마을 간의 연계성이 강화된 위계적인 구조로 재생산되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의 '강제된 근대화'라는 한계성으로 기존의 자율적이고 자생적 조직의 해체에 따른 지역공동체 의식의 붕괴라는 부작용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 PDF

일제 강점기 철도관련 조직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adual Changes in Railway Organization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이용상;정병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51-26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의 철도관련 법과 조직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우리나라의 철도관련 조직은 1906년부터는 통감부 철도관리국에서 시작하여 통감부 철도청, 일본철도원 한국철도관리국, 1910년에 조선총독부 철도국, 조선총독부 관방철도부, 경성철도관리국으로, 다시 조선총독부 철도국, 조선총독부 교통국으로 변화하여 교통전반을 관할하는 조직으로 확대 되었다. 또한 영업거리의 확대에 따른 조직의 변화와 함께 철도종사원의 수도 증가하였고 충원을 위한 양성기관도 발전하였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의 철도조직과 깊은 관련이 있는 철도망의 변화와 철도노선의 건설시기 등을 살펴본 후 관련법과 철도조직의 변화과정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의 철도네트워크와 철도조직 그리고 철도직원의 상관관계와 함께 각각의 특징을 분석해 보고 당시 일본, 만철, 타이완 철도조직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철도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해 봄으로써 당시 각국의 철도조직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식민지성 등을 함께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구부립도서관과 일제의 식민지정책 (Taegu Burip Library and Japanese Colonial Policy)

  • 김남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23
    • /
    • 2001
  • 일제의 도서관정책은 한국인의 독립운동으로 전개된 민족 계몽을 위한 도서관활동을 저지 하고, 관 주도의 도서관을 통한 조선인에 대한 일본문화의 식 민화였다. 대구부립도서관은 일제 가 관 주도로 설립한 한국 최초의 부립도서관이라는 점에서 설립 배경과 활동을 식민지 정책 과 연계시켜 조사, 분석하여 일제의 도서관정책의 허구성과 조선에 대한 식민지 지배구조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도서관사연구, 일제의 식민지정책연구 그리고 대구의 도서관사연 구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일제시대의 두 간호단체에 관한 고찰(考察);조선간호부회(朝鮮看護婦會)의 간호수준 향상 노력과 조선간호부협회(朝鮮看護婦協會)의 사회 활동 (A Study on Two Nursing Organization;Choseon Ganhoboohoi(賴健看議婚會) Tried to Improve the Standard of Nursing and Choseon Ganhoboohyophoi (朝鮮看護婦協會) Tried to do Social Activities)

  • 이꽃메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421-429
    • /
    • 2000
  • Two nurses' assications were organized in Korea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One was Choseon Ganhoboohoi(朝餘看護續會,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started in 1923 and the other was Choseon Ganhoboohoiphoi started in 1924. Two nursing associations were very different in their members and activities. Choseon Ganhoboohoi was organized and lead by Western missionary nurses in Korea and their Korean pupil nurses. The aim of Choseon Ganhoboohoi was to become a member of ICN. Choseon Ganhoboohoi united with the Western Graduate nurses' Association in Korea, tried to raise the standard of nursing education, and became a branch of Japan Imperial Nurses' Association. All was to become a member of ICN. It continued 15 years and was quite active. But after the half of 1930s Japan's ruling policy became more and more suppressive and western missionaries were expelled from Korea so it could not but discontinue it's activities. Choseon Ganhoboohoiphoi(朝鮮觸護續協會) was organized and lead by Korean nurses. The aim of it was to do the role of nurses by social activities. So it tried health education for the public, It continued only about 2 years, But the leaders of Choseon Ganhoboohoiphoi moved to women's liberation movement and Korean liberation movement and tried to solve the problems of colonized women. The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of Choseon Ganhoboohoi and Choseon Ganhoboohoi were two trends to develop Korean nursing during Japaneses Colonial period. The former asked for international cognizance by the raise of nursing standard, and the latter asked for national cognizance by social activities. Although two nurses' associations were different in their ways but quite same in the aspect that both tried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 Korea. But the colonial situation prevented them from continuing their activities. This means that the colonial situation of national level influenced deeply on the development of nursing profession.

  • PDF

일제강점기 원마산(原馬山)의 도시공간 변천과정 연구 -1912년부터 1945년까지 - (A Reconstructive Study on the Urban Structure of the Original Masan in the Colonial Era.)

  • 허정도;이규성
    • 건축역사연구
    • /
    • 제11권2호
    • /
    • pp.57-74
    • /
    • 2002
  •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hange of the urban space of the original Masan Area during the Japanese-forced colonial era of Korea(1910-1945) after circa 1912. That year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modern map of land was introduced. The land area of the original Masan was about $17,000m^2$ composed of small houses and shops. Colonial era could be divided into 3 periods according to the change of colonial policies. And the change of the urban space is examined according to these 3 periods. During the 1st period(1911-1920) the following 3 development occurred. 1. Land was reclaimed along the coast line by a Japanese civilian named 'Bakgan'. And his ownership of land continued until 1945. 2. A government ware house(Cho-Chang), which was the symbol of Masan harbor, was demolished and the land was divided into small lots. 3. Main artery and trunk roads(14-15m wide) were built replacing 2-3m wide narrow roads and connected to the reclamation land. During the 2nd period(1921-1930), also land reclamation and road making was more frequently carried out. And the infrastructure of the city was developed gradually. Also public buildings began to be built. Modern roads were constructed city-wide not only in the center of the city. In the 3rd period reclamation was at its peak. Especially Sinpo-Dong area located at the middle of New and original parts of Masan was reclaimed connecting 2 parts and making of a central Masan. During that time original Masan was enlarged because of reclamation. The coast line of Masan became straight from e original organic shape. Roads were constructed in the outskirts also. The size of land lots were more or less the same during the colonial era. But gradually lots were divided into smaller lots. Japanese entrepreneurs gradually occupied the central area of the original Masan until the liberation day. But Chinese ownership of land gradually diminished.

  • PDF

일제강점기 한국인 도서관 직원의 현황과 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Activities of Korean Library Staffs Who Worked in Librar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송승섭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171-196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피지배 계급으로 역사 속에서 소외되어 있었던 한국인 도서관 직원들의 현황과 역할에 대해서 조사하고 그들의 활동을 재평가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인이 근무했던 도서관과 한국인 직원현황을 조사했다. 둘째, 그들이 도서관에서 종사했던 직책과 그 성격을 살펴보았다. 셋째, 한국인 도서관 근무자들이 받은 교육에 대한 참석 실태와 도서관 관련 잡지 투고 현황을 조사했다. 현황분석 결과, 일제강점기에 한국인 도서관 직원은 총 27개 도서관에 241명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서관 강습회에 73명, 제29회 전국도서관대회에 22명이 참석하였고, 주요 도서관 잡지 기고자도 40여 명에 달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들이 해방 후, 우리나라 근대도서관 이식과정에서 일정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