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mbola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산 털보톡토기상과 (톡토기목, 곤충강)의 계통과 종분화 (Phylogeny and Speciation of Entomobryoidea (Collembola, Insecta) from Korea)

  • 박경화;김진태;이병훈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2호
    • /
    • pp.121-136
    • /
    • 1996
  • 톡토기목 가운데 털보톡토기상과에 속하는 3개 과의 종들간의 유연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이들 과에 속하는 3종 및 인접 상과에 속하는 3과 4종에 대해 유전자분석을 실시하 였다. 이를 위해서 전기영동을 실시하고 대립유전자빈도를 구한 후 유전적차이치(D)를 이용 하여 UPGMA 방법으로 dendrogram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분절아목 중 털보톡토기상과에 속하는 마디톡토기과, 털보톡토기과 및 가시톡토기과의 종들이 함께 유집되었고, 인접상과인 보라톡토기과, 어리톡토기과 및 혹무늬톡토기과의 종들이 함께 유집되었다. 한편 가시톡토기 과의 종은 털보톡토기과의 종과 그리고 혹무늬톡토기과의 종은 보라톡토기과의 종과 가깝게 유집이 되기는 하나, 이들 종간의 유전적 차이값이 매우 높아 일부 학자의 견해대로 한 과 에 속하는 두 아과로 놓기보다는 별개의 과로 두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었다. 아울러 굴 톡토기는 어리톡토기과와 유집되기는 하나 유전적차이가 크므로 독립된 과로서의 성격이 인 정된다. 이 결과는 형태형질 및 18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와도 대체로 일치하였다.

  • PDF

唾腺에 巨大多絲染色體를 갖는 韓國産 혹무늬톡톡이 (곤충강) 2種의 報告 (Two Neanurid Species of Collembola (Insecta) from Korea with Polytene Chromosomes in Salivary Glands)

  • Lee, Byung-Hoo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51-262
    • /
    • 1980
  • 전북의 수개 산지에서 채집된 혹무늬톡톡이 가운이 한국 미기록속으로 Lobella minuta n.sp.가 신종으로 확인되었기에 이를 기재, 보고한다. 또한 한국 미기록속, 미기록종으로 이미 그의 타선염색체에 관해 보고된 바 있는 (Lee, 1980) Morulina triverrucosa Tanaka, 1978의 한국산 표본에 대해 추가 기재한다. 저자는 위 신종의 구기가 매우 단순화되어 있음을 관찰하고 Cassagnau의 보고 (1966$\\sim$1978)에 비춰 타선의 비대화와 거대다사염색체의 발달 가능성을 추정하게 되었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세포 및 조직학적 조사를 시행한 바 위의 추정이 사실임이 확인되었으므로 그 결과를 발표한다.

  • PDF

월동기 논 생태계 절지동물의 생물다양성 (Biodiversity of Overwintering Arthropods in a Paddy Field Ecosystem)

  • 서화영;이경주;황인수;주정일;김광호;공민재;최용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17-422
    • /
    • 2021
  • 월동기 논과 논두렁에서 서식하고 있는 다양한 절지동물의 발생밀도를 조사하여 생물다양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동력흡충기를 이용하여 논과 논두렁에서 각각 5지점씩 50×50 cm 격자 내에 있는 지표면과 식물을 흡입하여 채집하였다. 논과 논두렁에서 채집한 총개체수는 41,197개체였으며, 대부분 Collembola, Hemiptera, Diptera가 많이 채집되었다. 영농형태별 유기농법 재배지와 관행농법 재배지에서의 절지동물 출현패턴은 거의 유사하였으나 채집된 개체수는 유기농법 재배지에서 더 많았다. 종다양성지수, 종풍부도지수, 종균일도 지수는 논보다는 논두렁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고,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운봉지역 목초지의 토양미소절지동물 (Soil microarthropods in pasture at Unbong, Namwon city)

  • 권용립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2-77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soil microarthropods in pasture at the Unbong Area, to fulfil this purpose, samples were taken from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Namwon branch from 24. June, 1998 to 18. Setemb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Collembola was hight in cattle and goat pasture, and Acarina was hight in wild and gathering pasture. Oribated mites were also hight in wild and gathering pasture more than cattle and goat pasture. Oribatid mites as a vectors of cestodes were identified 7 species of Carabodes peniculatus, Carabodes sp., Scheloribates laevigatus, Scheloribates latipes, Scheloribates rigidisetosus, Galumna cuneata and Galumna sp. The diversity indices showed hight in wild and gathering pasture. According to the MGP analysis I was type GP, and analysis II was type P.

  • PDF

서울대 광양연습림내 토양 미소 절지동물에 관한 연구 - 2. 개체군밀도와 생물량 (Soil Microarthropods at the Kwangyang Experiment Plantation(2. Population Density and Biomass of Soil Microarthropods)

  • Kwak, Joon-Soo;Park, Seong-Sik;Kim, Tae-Heu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3호
    • /
    • pp.183-190
    • /
    • 198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pulation density and biomass of soil microarthropods in the forests with different flora. soil microarthropods of 29,475 individuals were identified into 6 different classes, and 18 different orders. Acarina were the most numerous with abundance of 74.8% followed by 17.9% of Collembola, comprising 92.7% of arthropod fauna. Similar dominance of the two groups was found also in biomass although the level reaching no more than 63.9%. The A/C ratio in the broad-leaved forests are higher than that in the coniferous forests.

  • PDF

韓國産 뿔톡토기科의 6新種 및 洞窟産 1未記錄種등에 관한 分類學的 硏究 (Some Entomobryidae Including Six New Species and One New Record of Cave Form (Collembola) from Korea)

  • Lee, Byung-Hoon;Park, Kyung-Hwa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77-188
    • /
    • 1984
  • 남한의 30여개 지역의 삼림토양에서 뿔톡토기과를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3속 10종을 얻은 바 이 가운데 6신종 (Entomobrya jirisana n. sp., Entomobrya quadrata n. sp., Entomobrya vigintiseta n. sp., Entomobrya monopunctata n. sp., Homidia heugsanica n. sp., Homidia bilineata n. sp.) 및 1 한국미기록종 (Sinella curviseta Brook, 1882)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Entomobrya monopunctata n. sp. 는 잣나무에서 채집되었고 Sinella dubiosa Yosii, 1956는 눈이 없는 진동굴성으로 삼척의 초당굴미기록종이다. 본 연구결과 한국산 뿔톡토기는 모두 3속 23종이 된다.

  • PDF

Collebola (Insecta) from Is. Chin-do , Korea

  • Kim, Jin-Tae;Lee, Byung-Ho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4호
    • /
    • pp.447-453
    • /
    • 1995
  • 진도의 톡토기目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koreana Yosii and Lee, 1963, Homidia minuta n,.sp., H, munda munda Yosii, 1956,H. mediaseta Lee and Lee, 1981, H. vigintiseta Lee and Park , 1984 및 Lepidocyrtus Koreanus n.sp. 등 2신종을 포함하여 모두 2과3속 6종 밝혔다. 이로써 한국산 털보톡토기과는 북한산을 포함하여 모두 5속 29종이 된다.

  • PDF

New Records of the Genus Isotomurus (Collembola: Isotomidae) from Korea

  • Kim, Hakseo;Park, Kyung-Hwa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4권1호
    • /
    • pp.3-9
    • /
    • 2018
  • Two species of the genus Isotomurus $B{\ddot{o}}rner$ are newly recorded in Korea; I. bimus Christiansen and Bellinger, and I. plumosus Bagnall. These species are collected from salt marshes near West Sea of Korea. The Korean materials of I. bimus agreed well with the original description by Christiansen and Bellinger from North America, in its peculiar body pattern, with two long ciliated setae on tibiotarsus of hind leg, multisetaceous lateral flap of ventral tube and the presence of a mucronal lateral seta. Isotomurus plumosus is also easily identified from other Isotomurus species by the peculiar colour pattern, and the presence of long maxillary lamella 1 and a mucronal seta.

New record of Folsomia quadrioculata(Tullberg, 1871) and redescription of Folsomia octoculata(Handschin, 1925) from the forest of South Korea

  • Lee, Yun-Sik;Cho, Kijong;Park, Kyung-Hwa
    • 환경생물
    • /
    • 제37권1호
    • /
    • pp.1-7
    • /
    • 2019
  • During a recent study to understand an interaction of Collembola community and their environmental factors, two species in the genus Folsomia, F. quadrioculata Tullberg 1871 and F. octoculata Handschin 1925, were found in the forest of South Korea. From 2013 to 2015, these two species were sampled from six mountains and F. quadrioculata or F. octoculata was the dominant species in 5 sampling sites among 6 sampling sites. F. quadriocualta and F. octoculata were found in litter of deciduous and pine forest, respectively. Therefore, the major tree species seems to b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their habitat. F. quadiroculata is newly recorded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F. octoculata is redescribed based on new materials from South Korea.

메틸에틸케톤과 메탄올이 김어리톡토기의 사망 및 번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yl Ethyl Ketone and Methanol on the Survival and Reproduction of Paronychiurus kimi (Collembola: Onychiuridae))

  • 위준;이윤식;손진오;김용은;모형호;조기종
    • 환경생물
    • /
    • 제35권2호
    • /
    • pp.169-174
    • /
    • 2017
  • 화학사고 발생 시 환경에 노출된 화학물질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김어리톡토기(Paronychiurus kimi)를 이용하여 OECD guidelines 232 Collembola reproduction test in soil에 따라 사고대비물질 2종, 메틸에틸케톤과 메탄올에 대한 급성, 만성 생태독성평가를 진행하였다. 메틸에틸케톤과 메탄올을 농도별로 OECD 인공토양과 섞은 후, 성충 P. kimi 10마리를 접종하여 7일 후의 성충 사망률과, 28일 후의 성충 사망률 및 번식률을 확인하였다. 메틸에틸케톤과 메탄올에 대한 급성독성평가 결과, $LC_{50}$ 값은 각각 2378과 $762mg\;kg^{-1}$ soil이었으며, 만성독성평가 결과, $LC_{50}$ 값은 각각 1857과 $6063mg\;kg^{-1}$ soil이었다. 만성독성평가 시 P. kimi의 산란 수에 대한 $EC_{50}$ 값은 메틸에틸케톤에서 $570mg\;kg^{-1}$ soil, 메탄올이 $589mg\;kg^{-1}$ soil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P. kimi가 종래의 다른 토양 절지동물에 비해 메탄올에 대해 높은 민감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재까지 이들 사고대비물질에 대한 생태독성정보의 부재와 더불어 대부분의 사고대비물질들이 큰 휘발성을 가지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이러한 사고대비물질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종래의 표준지침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평가지침 마련을 통해 지속적인 생태독성정보구축을 위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