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ctive identity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5초

장소 특정적 다큐멘터리의 촬영 방식 연구 - 다큐멘터리 <서울역>, <옥포 조선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ocumentary Filming Method for Specific Places - Focus on the documentary and -)

  • 오세현
    • 트랜스-
    • /
    • 제11권
    • /
    • pp.37-63
    • /
    • 2021
  • 특정한 장소를 중요한 대상으로 하는 다큐멘터리 <서울역>과 <옥포 조선소>를 중심으로 촬영가의 입장에서 다큐멘터리 촬영의 방법론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구 서울역사'와 '대우조선해양'이라는 장소는 그 자체로 근대적 가치가 반영된 기념비적 공간이며 한국인들의 집단 기억과 무의식, 그 장소에 대한 특유의 감정이 공유되는 곳이다. '구 서울역사'는 장소 정체성이 '문화역 서울 284'라는 새로운 공간으로 변화하였고, '대우조선해양'은 지금도 활발히 기능하는 대규모 산업단지로서 산업구조의 변동에 따라 변화를 모색하는 유기체 같은 곳이다. <서울역>과 <옥포 조선소>는 장소 정체성과 관련된 공간의 이미지들과 그곳과 관련된 사람들의 모습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특정한 장소의 공간을 응시하고 그 곳에 속한 사람들의 노동과 휴식 같은 실재적인 경험의 순간들을 지속적인 기록과 반복적 배치의 구성을 통해 보여준다. 이를 통해 기록하지 않으면 휘발되는 장소 정체성과 관련된 무형의 서사를 단면을 엿보게 하고 영화를 통해 특정한 장소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이런 장소 특정적인 다큐멘터리의 촬영방식에 대한 고민과 의미를 두 편의 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각각의 장소 특징에 맞는 촬영 방식과 진행방향에 대한 것을 제작론에 입각하여 기술하였다.

도시환경과 건물 재생을 위한 파노라마 이미지 공간구성 방법 (A Study on the Panoramic Perception for Restoring of Urban Environment and Architecture)

  • 전수경;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78-8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noramic perception and space organization for restoration of urban environment and architecture. Panorama is a collective visual catalogue composed by series of perspective images. It is a product from continuous movements of viewer by defamilarizing real image and structuring order between city and building. Through understanding the panoramic image, the viewer is able to achieve the total image of the city. For example, achieving visual perception of the city by employing the panoramic view from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s and cultures, Berlin developed its urban characteristic by rebuilding panoramic view as an aesthetic device. First, this paper mention theory of panorama as an aesthetic device for shaping the city from the building. Second, this paper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istics of panorama and historical contexts for why those panoramic views are valuable by mentioning the Altes Museum, the Berlin National Gallery, Museum of Modern Literature, and Folkwang Museum of panoramic view.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visual perception such as panoramic view is the valuable device for organizing the image of the city's own identity. Constructing vision of each city influences not only shaping the city but also mapping the mental views of the building. Also, historical conditions and open spaces are one of the inherent elements combined with panoramic view for establishing urban identity. In search for good place making,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historical context and fabric plan in shaping how a resident sees - literally, sees- their city with buildings. Berlin serve as excellent counter example in how the valuable place making panoramic mental views of urbanities take shape.

『돈키호테』에 나타난 모리스꼬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The Identity of Morisco in Don Quijote de La Mancha)

  • 임주인
    • 비교문화연구
    • /
    • 제38권
    • /
    • pp.265-295
    • /
    • 2015
  • This article is concerned about a reason for which Cervantes participates an arabic author named Benengeli and morisco translator in his work instead of christian author. From the multi-cultural point of view, the time in which Don Qujote was published, belongs to the Golden Age. In other words, the society can not be supported by the ideology of Purity of Blood in that the morisco, converso (Christian Jewish) have been permitted to coexist in the name of christian proselyte or New Christian despite of invisible discrimination. An invisible discrimination is based on the prejudice and negative stereotype of Old Christian against the New Christian. Cervantes offers an o open space for readers to participate in the creative reading, giving up the absolute authority of author named Benengeli. The deep-rooted prejudice against morisco or muslim author makes the readers of Don Quijote do reinterpret the contents and have question about his sincerity. This disbelief is partly on the basis of hypothesis that Don Quijote would be passed on orally by an arabic or morisco. Leaving the hypothesis alone, Romance, festival performances of morisco or the aljamia literature in the Iberian Peninsula have the chivalry or knights of the Occident. The chivalry in Romance of morisco means that morisco would seek assimilation into the mainstream of Occidental Christian community. At the same time, morisco would be faced with the dilemma of loss of religious identity. But Taqiyya, islamic doctrine, offsets the dilemma between yearning to assimilate into mainstream and religious conscience of morisco in that Taqiyya permits morisco to convert to Christianity in case that they are in danger of life or the following risk. From this point of view, There is no room for doubt about the fact that Taqiyya contributed to social assimilation or multicultural society of the Iberian Peninsula. It has been a long time since a narrow-minded religious dogma and ideology became a anachronistic relic in multicultural society of Spain such as the Purity of Blood. From a relative viewpoint, Don Quijote provides a ground for the collective intelligence among christian, muslim(morisco) and converso through a liberal community between readers and authors who form a pluralistic society.

종족 현상의 다층적 맥락: 에티오피아 아셀라 타운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Multi-layered Context of the Ethnic Phenomenon: Focused on the Case of Asella Town, Ethiopia)

  • 설병수
    • 비교문화연구
    • /
    • 제48권
    • /
    • pp.253-287
    • /
    • 2017
  • 이 글의 목적은 본 연구자가 에티오피아 아셀라 타운에서의 현지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종족 현상을 다층적 맥락에서 살펴보는 데 있다. 생태학적 조건, 양대 종족의 숫자상 균형, 빈번한 종족 외혼 및 '젖 먹이기'라는 사회문화적 관행의 영향 등으로 인해, 이 타운에서는 집단적 수준의 종족 갈등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러한 관행의 긍정적인 영향에도 불구하고, 아셀라에서는 지배 종족에 의한 차별과 위협이 지속적으로 발생해 온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개의 제보자는 종족 외혼이 종족 집단 및 공동체 구성원의 유대를 강화하고, 상이한 종족 문화를 습득하고, 사람들 간의 관용 정신을 배양하고, 혼종적(다중적) 종족 정체성을 가진 우수한 2세를 생산하는 데 기여한다고 여기고 있었다. 그러나 일부 제보자는 종족 외혼이 그 당사자의 이기적인 선택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종족 정체성을 손상시키므로,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니라는 입장을 견지했다. 상당수의 제보자는 현재 진행 중인 오로모화가 지극히 당연한 현상이라 여기고 있는 반면, 일부 제보자는 오로모화를 강제성, 피상성 및 생존 전략의 맥락에서 파악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민담 <개구리 왕 혹은 충직한 하인리히>의 융심리학적 해석 : 민담에 나타난 대극의 합일 (The Interpretaion of the Fairy Tale <The Frog King or Iron Heinrich> in Light of Jungian Psychology : The Unification of Opposites in the Fairytale)

  • 이보섭
    • 심성연구
    • /
    • 제36권1호
    • /
    • pp.55-86
    • /
    • 2021
  • 이 민담의 시작 부분은 집단의식의 중심에서 땅-모성-여성적 원리가 집단무의식 속으로 사라지고 일방적으로 하늘-부성-남성적 원리가 지배하는 상황을 보여준다. 이 원리는 왕으로 나타나 있다. 어머니 없이 자라는 왕의 딸은 긍정적 부성 콤플렉스의 영향과 진정한 여성적 아이덴티티를 발견하는데 중요한 땅-모성-여성적 원리로부터의 단절로 하늘-정신의 세계에 머물며 자기(the Self)를 상징하는 금공을 가지고 노는 것과 같은 자아팽창의 위험에 처하게 된다. 그녀에게 필요한 원리는 왕자였으나 마녀의 마법으로 변신한 개구리를 통해 다가온다. 이 개구리는 부정적 모성 콤플렉스의 영향을 받은 남성의 모습이라고 융심리학적으로 볼 수 있다. 혐오스럽고, 흉측하게 느껴진 개구리는 공주의 그림자, 땅적인 동물적 본능을 상징한다. 깊은 우물에 빠진 금공은 오직 그의 도움으로만 꺼낼 수 있다. 그의 도움의 대가에 대한 대화는 그들의 대극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개구리가 원하는 것은 여성적 가치인 관계, 땅적인 에로스이지만 공주가 줄 수 있는 것은 남성적 가치인 하늘적 로고스이다. 개구리가 그녀의 잃어버린 공을 가져오자, 즉 공주가 그녀의 잃었던 리비도(libido)를 되찾자, 그녀는 개구리와의 약속을 완전히 잊는다. 일반적으로 의식화되기 시작한 내용은 쉽게 다시 무의식으로 떨어지고 억압된다. 개구리는 아버지 형상이자, 집단적 질서의 철저한 집행자인 왕의 도움이 없었다면 공주와 함께할 수 없었다. 공주는 처음에는 아버지의 로고스에 마지못해 복종한다. 그러나 그녀의 순수한 본능의 충동이 강해지면서 자아를 그녀의 부성 콤플렉스의 세력으로부터 풀려나게 한다. 바로 이 순간 개구리는 왕자로 변한다. 그도 모성 콤플렉스로부터 해방된 것이다. 공주와 개구리-왕자의 결혼은 대극의 합일을 상징한다. 하늘은 땅적이 되고 땅은 하늘적이 된다. 젊은 왕의 하인 하인리히가 공주와 왕자를 마차에 태우고 왕자의 나라로 되돌아가는 동안, 하인리히의 심장을 감싸고 있던 세 개의 철끈은 끊어진다. 땅모성-여성 의식의 장소인 심장이 이제 해방된 것이다. 무의식 속으로 사라졌던 원칙이 집단의식으로 나타나서 전체성이 회복되었다. 하늘-부성-남성적인 원리, 땅-모성-여성적인 원리 모두를 포함하는, 즉 로고스와 에로스 원칙을 동시에 적용하는 자기에 의해서 집단의식이 기능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온라인 가상공간의 커뮤니케이선 활성화방안 -MMORPG(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중심으로- (Revitalization Plan for Communication Structure Among Users of Online Virtual Space)

  • 임장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115-125
    • /
    • 2007
  • 본고는 유저 활동의 중요성, 유저간의 소통의 중요성, 플레이어 캐릭터의 성장과 변형을 통한 정체성 확립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가상공간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원만한 사회관계를 활성화하고자 그 방안을 모색하고 유저들이 가상 사회 안에서 보다 책임 있는 행동을 유발하도록 제안하였다. 하루에도 수 천 명이 접속하여 교류하는 가상 공간에서 유저는 솔로스토리를 진행하며 타인과의 인간 관계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찾게 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가상 공간을 사회로 인식하고 타인에 대한 언행에 대해 연대 책임 의식을 갖는 유저들의 자세일 것이다.

지방화시대에 따른 제주지역의 주환경 개선 사업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for the Improvement Project of Housing Environment in the Cheju Island Region the Era of Globalization)

  • 김봉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69-76
    • /
    • 1995
  • Recent opening of the era of local government and management randers study tasks concerning the improvement of the housing conditions by improving the problems in the residential conditions of the cheju Island region so as to help improve the life qualities of this legion make the area as an international resort place, and thus develop the indentify in the heat of the people in this region.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o improve the collective housing. housing construction plan shall b made in harmony with the skylines of the Hanra mountain alongside the East-West rides across the long diameter of the oval shape of the Island, which includes 1) the construction of housing complex in harmony with and taking advantage of the natural scene of the area. and 2) the construction of variable housing readjustable in accordance with each family structure of variable housings for multi-families, which are believed not to provide quality housing conditions. Shall be entrained. (2) Encouraging the construction of detached house : 1) construction of housings in which three generations can reside together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in the region. 2) construction of the pastoral housings. 3) construction of tenement housings partitioned for each two families. 4) development of sliver town in the rural area. (3) Using the construction mateials produced in the Cheju I land will help promote the development of identity in the heart of the people in this region.

  • PDF

Effects of Individuals, Leader Relationships, and Groups on Innovative Work Behaviors

  • Yang, Hoe-Chang;Cho, Hee-Young
    • 산경연구논집
    • /
    • 제6권3호
    • /
    • pp.19-25
    • /
    • 2015
  • Purpose - The intent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the factors that enhance innovative work behaviors of group members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enterprises. In addition, we verify that employee job characteristic factors have an influence between antece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in the work situations at small compan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is focused on identifying the factors, such as self-efficacy, leader member exchange (LMX), and collective efficacy, which promote innovative work behaviors. A total of 305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Results - The results of a path analysis showed that LMX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ask significance, and autonomy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novative work behavior. Conclusions - These findings of the study imply that even though leaders supported the groups in accordance with official procedures by placing group members within or outside certain groups, task identity perceived by group members was not impacted. In addition, autonomy given to those with relatively less capability might be a burden rather than a positive outcome.

콘텐츠의 원형 재현의 양상 연구 (A Study on Aspects of Reproduction of Contents Archetype)

  • 이재홍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73-82
    • /
    • 2016
  • 스마트디바이스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디지털미디어적인 콘텐츠 소비속도가 매우 빨라지고 있다. 그로 인하여 다양한 이야기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야기를 창작하기 위해 문화 원형들의 재현이 많아지고 있다. 원형은 집단적 무의식 안에 내재된 행동이며, 상상과 경험에서 오는 전형적인 본보기인 만큼, 콘텐츠에 재현되는 원형이 왜곡되거나 변질되는 현상들은 민족 전통의 정체성까지도 위협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원형 재현에 성공한 서양 콘텐츠와 원형재현에 실패한 국내 콘텐츠를 분석하고, 문화원형 재현의 실패에 따른 양상들을 파악하여, 향후의 스토리텔링 방법론을 고찰해 보았다.

장항의 국민주택 건립 배경과 건축·도시적 특징 (Construction Background, Architectural and Urban Characteristics of National Housing in Janghang)

  • 박성신;정재욱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2호
    • /
    • pp.127-136
    • /
    • 2019
  • National Housing in Janghang was built intensively from the mid 1970s to the early 1980s, and has become a collective complex at Jangma-ro and Shinchangdong-ro. This Company House is a typical building for employee welfare, at the same time shows moder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general, it forms a housing complex and serves as industrial tow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Janghang, the housing complex is called National House based on the supply method and is also classified French Styled House in terms of housing style. Although Janghang was one of small local administrative units, it pursued urban style with mini-2-story. It ha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division of the owner's living space and rental room, and independent layout of restrooms and washrooms. House is transformed to accommodate residents' lifestyles, so National Housing Complex of Janghang has undergone various changes such as the replacement of spatial structures and exterior materials for 40 years after construction. National Housing in Janghang is a symbol of local identity and an important spatial asset that shows the urban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